식량전쟁 - 배부른 제국과 굶주리는 세계 세미나리움 총서 20
라즈 파텔 지음, 유지훈 옮김 / 영림카디널 / 2008년 12월
평점 :
절판


  언제부터인가 먹거리가 우리들의 삶의 한 축이면서 화두가 되어진지 오래다. 먹거리의 안정성은 어떤 것들이어야할까? 단순히 농약의 피해로부터 우리의 음식문화를 지키는 일은 이제 너무나 버거운 싸움으로 인지된다. 돌아보면 세상은 더 없이 풍족해 졌지만 우리들의 행복지수는 날로 급하강하고 있다. 나는 시골로 내려가 사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조만간이라는 말을 입에 달고 살면서 막상 두려운 건 사실이다. 따라서 지금 현실을 보다 직시할 필요가 있을 것 같다는 생각이든다. 지금 나는 그 현실을 알기 위해서 책을 샀다. 그러나 내가 막연하게 생각하는 세상은 냉혹하고 무서운 현실이라는 것을 알았다. 그렇다고 해서 그 욕구(내가 고향으로 낙향학자 하는 이유)가 사라졌다는 것은 아니다. 더욱 더 그 욕구가 샘솟는다. 그리고 그 욕구를 보다 현실화하기 위해서 더 많은 준비가 필요하는 것을 느끼게 된다. 언젠가 이런 다큐멘터리를 본 것 같다. 위기상황에서 식량의 자급자족이 가장 잘 이루어지고 있는 나라가 쿠바가 아닐까? 미국의 경제적 제재와 소련의 원조로 부터 자생적으로 살아남기 위해서 그들의 식량은 보다 체계화 되어진 모습을 볼 수 있다. 자신이 살고 있는 곳의 어떤 곳에든지 먹거리를 생산하고 있는 모습을 쉽게 발견할 수 있다. 과학과 교통 그리고 식량의 질은 날로 발전하고 있지만 그리고 그 수확량은 엄청나게 늘고 있지만 여전히 배고픈 사람은 배가 고프고 배 부른 자들은 그들로부터 더 많은 것을 빼앗아가고 있다. 세상은 무서운 전투이다. 책 문구에 이런 글귀 비슷한 것이 있다. 일단 빵을 먹인다. 빵을 먹고 난 후 사람들은 그 빵을 만들고 그 빵에 들어가는 재료를 구입하게 만드는 것이다. 그러면 자연적으로 농산물의 거래는 이루어진다는 다국적 기업들의 경제논리가 감추어져 있다. 그게 선의의 호의인줄 알았는데 나중에 그것이 독이 되어서 자신의 목을 조르고 있는 줄 모르는 배신감... 하지만 이미 그것에 길들어진 사람들은 그 틀에 맞추어 살아야만 하게끔 되어있다. 

  교통이 발달하고 대형수퍼마켓이 생겨났으면 식품의 원거리 수송이 가능하게되었다. 물론 계절의 제약을 받는 과일도 드물게 되었다. 우리가 원한다면 어떤 날 어떤 때라도 맛 볼 수 있는 과일과 음식은 구하는 것이 그다지 어려운 문제는 아니게 되었다. 식품의 장거리 운송과 대량구매와 대형수퍼에서의 판매는 제품의 질적인 면을 간과하게 만드는 면이 있다. 종국에는 보다 양적인 생산성 향상을 위해서 유전자변형식물을 식품의 원료에 사용하고 있다. 그것이 인체의 미치는 영향은 시각의 차이를 드러내고 있지만 이 또한 거대한 힘에 의해서 진실이 왜곡되어지고 있다는 사실이다. 우리는 스스로 생산하고 스스로 구매해 나가야 하는 현실 앞에 놓여 있다. 싸워야할 대상이 현실이라는 것을 잊어서는 안된다. 현재 그 길로 접어든 사람들이 있고 그 길에서 싸우는 사람들이 존재하고 있다. 유기농 생산물을 재배하고 판매하는 사람들은 주변에서도 이제는 어렵지 않게 발견할 수 있을 것이다. 지나온 시간이지만 불과 70년도만 해도 우리 농촌에서는 농약을 사용하지 않았다. 그래서 마을 어귀 냇가에는 물고기, 우렁, 미꾸라지 등등의 생명체가 무수히 많이 존재하고 있었다. 그러나 불과 20년 사이 우리의 농촌의 현실은 어떤가? 화학물질에 찌들어 있는 토양, 생산량은 늘었지만 여전히 가난한 농촌의 현실. 이런한 현상은 무엇으로 대변할 수 있을까? 그러다 사람들은 현실을 하나하나 알아가기 시작한 것이다. 그 내면에는 다국적 기업의 횡포가 존재하고 있다는 것을  그래서 이제 깨달음을 얻었다. 모든 세상에서 공짜는 없다. 가난한 나라의 원조도 결국은 순수하지 못한 면들이 너무 많다는 것을 가난이 멈추지 않는 이유를 이제 세상사람들은 너무나 잘알고 있다. 문제는 앞으로다. 이제 먹거리가 전쟁이 되는 날이 멀지 않았다는 느낌이 든다. 그 먹거리를 사수하는 일조차 우리는 점차 힘의 논리 앞에서 하나하나 잃어가고 있다. 그리고 전쟁은 머지 않아 보인다. 우리가 먹는 음식이 안정성보다는 경제적 논리에 의해서 좌우되고 있는 현실이 개탄스럽다. 그렇다면 이러한 현실의 대안이 될 수 있는 일은 무엇일까? 어디에 살든 경제적 활동은 필요하다고 본다. 그렇다면 생산된 상품의 유통구조이면서 가격의 결정이 가장 기초적인 문제라고 생각한다. 그래서 무엇보다 더 필요한 것이 도.농간의 유기적이면서 탄단한 네트워크가 가장 절실하다고 생각한다. 현실은 쉽지않다. 그렇지만 그러한 환경을 만들기 위해서 많은 사람들이 움직이고 있고 세상의 시선도 점차 변화되고 있어 긍정적으로 바라보고 있다. 이미 많은 사람들이 인지하고 있어 다행이다. 하지만 큰 틀에서는 너무나 많은 먹거리 생산이 위기에 직면하고 있다는 사실이 두려울 뿐이다. 그렇지만 충분히 가능하다고 본다. 그래서 희망을 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