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찮은 인간, 호모 라피엔스
존 그레이 지음, 김승진 옮김 / 이후 / 2010년 8월
평점 :
절판


파종성 영장류  질환-인간이라는 병적 존재가 지구 전역에 퍼져 지구가 병을 앓고 있다는 의미로 쓰인 병명-이 생명체의 서식지인 지구를 파괴하고 있다는 저자의 문제 의식은 인본주의나 인간 중심주의에 대해 근원적인 질문을 던진다. 물론 이 질문에 대해 고민하고 성찰하고 대안을 만들어 내야 할 주체 역시 인간이라는 점이 아이러니칼 하기는 하다. 

저자의 문제의식은 사실 새삼스러운 것은 아니다. 인간이 세상의 중심이 아니라는 생각이나  인류가 진보하고 있는 것은 아니라는 생각은 인간의 이성이나 합리성에 대해 회의했던 탈근대 시대의 보편적 지성의 한 흐름이었다. 근대의 자연과학의 발전과 함께  일반화 되었던 역사 발전에 대한 사회 진화론적 여러 주장들은 자본주의 영속성에 대한 낙관론이나 자본주의 이후 사회주의의 필연적 도래에 대한 믿음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현실의 경험을 통해 자본주의와 사회주의 모두 인류의 대안이 될수 없다는 생각이 퍼졌던 60-70년대의 사회과학과 철학적 흐름은 대부분 인간의 이성이나 합리성에 대한 부정으로 부터 시작 되었다. 또한 인류나 사회의 진화나 진보에 대한 환상도 대부분 부정 되었다.  

재미있는 것은 이성이나 합리성에 대한 회의 역시 이성과 합리적인 논증을 통해 이루어 진다는 사실이다.  그렇다면 문제는 이성이나 합리성이 아니라 어떤 이성이고 어떤 합리성인가에 있지 않을까? 연장선상에서 기계나 기술 자체가 문제가 아니라 이것들이 어떤 맥락에서 사용되는가가 문제의 핵심이 아닐까하는 생각이 자연스럽게 든다.  

물론 인간 중심적인 사고에 찌들어 지구와 자연과 생태를 복리와 개발이라는  명분을 내세워 오히려 파괴하는 세력에 맞서 이런 생각을 깨뜨릴 필요에 대해서는 동의한다. 하지만 저자의 주장만으로는  이러한 강력한 세력에 맞서 싸울 수 있는 구체적인 전략과 전술이 무엇일까에 대한 답이  잘 떠오르지 않는다. 문제의 핵심은 문제를 야기하는 것도 인간이고 해결할 수 있는 것도 결국 인간 속에서 찾을 수 밖에 없기 때문일 것이다. 인류는 지구에 대해 악마일 수도 천사일 수도 있지 않을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