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은 이것을 상상력이라고 한다 - 우리가 오해한 ‘과학적 상상력’에 관한 아주 특별한 강의
이상욱 지음 / 휴머니스트 / 2019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상상력이 풍부해야해
창의력 있는 사람으로 커야해

어릴 적부터 많이 들어온 말이다.

4차 산업혁명을 맞이하는 시대,
나의 아이들이 맞이하는 시대를 위해 강조되는 단어다.

공룡과 별, 우주를 좋아하는 딸과의 대화를 나눈다.
딸은 유치원 교육에서, 그림책에서, 영상물에서 졉했던 지식을 열심히 전달한다.

아이의 얘기를 듣다가 질문을 한다. 사실에 대해 확인하는 질문도 있고, 다소 황당한 질문을 던지기도 한다.
그러면 아이는 지식과 자신의 바램과 상상을 버무려 자신의 생각을 열심히 내게 이야기 한다.

아이와의 대화를 나누다 문득
과학자들 역시 (아이보다는 더 고차원적인 것이겠으나) 
자연에 대한 영감이나 상상력을 갖고 자연 현상에 접근할 가능성도 있겠구나 하는 생각이 들었다.


그런 생각을 하는 시점에 만나게 된 책이 있다.
<과학은 이것을 상상력이라고 한다>

물리학을 전공하고 석사 학위까지 받았다는 철학과 교수. 
이상육 교수가 실제 대학교에서 다양한 전공의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수업 <상상력과 과학기술>
그 강의 내용을 중심으로 기술된 책이란다.

과학을 우리가 알고 있는 난해한 과학이 아닌 다른 방식으로 접근하는 수업을 들을 수 있다니
그의 학생들이 조금 부럽기도 하다.

책의 시작에서
이상욱 교수는 과학기술의 연구에서의 상상력은 우리가 알고 있는 상상력은 아니라는 전제하에 이야기를 시작한다.

태양중심설을 주장한 코페르니쿠스
만유인력의 법칙의 뉴턴
상대성이론의 이인슈타인

잘 알려진 과학자들과 관련 일화를 들고 과학자들에 대한 오해와 과학기술 연구에 있어서의 상상력,
그리고 과학연구에서 필요한 요소들을 재미있고 쉽게 설명하고 있다.

과학자들이 결코 책상 위 칠판 앞에서 머리만 쓰는 사람이 아니라
예술가처럼 머리 뿐 아니라 몸을 쓰는 사람이라는 점도 알려준다.

연구 결과인 논물에 그들의 그런 노력과 과정이 드러나지 않을 뿐이라고......

P146
우리는 과학연구에 수많은 선택의 순간이 있으며 그 선책을 현명하게 수행하려면
상상력과 이성적 분석을 성공적으로 결합해야 한다는 점을 알았습니다.
그런데 바로 이 점이 과학연구의 최종결과물로서 출판된 눈문에는 드러나지 않기에
사람들은 과힉이 순수한 분석적 판단만을 요구하는 무지건조한 지적 게임이라고 생각하기 쉽습니다.


예술 속에서 상상력을 다양한 미디어로 표현하면 되지만.
과학연구에서 상상력은 떠오르는 영감이 과학적으로 바로 연결되지 않는다.
실험을 통해 정돈된 개념이 필요하고, 논문으로 작성하고. 동료 과학자들의 비판적인 검토를 통과해
후속 세대의 교육 교과서에 실릴 수 있어야 할 정도의
엄청난 시간과 노동을 요하는 활동이라고 이야기한다.


그리고 과학기술 연구의 위대한 성취를 위한 비결을 제사한다.
이 부분은 비단 과학 뿐 아니라 지금을 살아가는 나와 앞으로를 살아야가 할 아이들에게 중요한 부분이라 느꼈다.

바판적으로 읽고 이해할 것
집요하게 문제를 파고 들 것 - 집중력과 끈기와 재도전의 자세
주의깊에 관찰할 것 - 개별사실 뿐 아니라 그들 사이의 연관관계를 파악해 내는 힘 => 과학적 상상력
다양한 자원을 집합할 것 - 타분야의 의견을 무시 배체하는 게 아니라 그 분야 사람들로부터 내가 얻을 수 있는게 무엇인지에 초점

P258
저는 지금 모둔 분야에 두루 박식한 사람이어야만 창의적일 수 있다는 말을 하는 것이 아닙니다.
다만 다양한 분야와 교류할 기회가 주어졌을 때 그것을 자기 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능력을 키우자는 말입니다.
마찬가지로 자기 통제 능력을 발휘해야 할 떄는 그렇게 하더라도, 굳이 그러지 않아도 될 떄는
장난치고 재밌게 놀기도 해야하는 겁니다. 책임과 무책임, 상상 공상과 현실에 뿌리박은 의식 사이를 오갈 줄 아는 것이 정말로 중요해요.

어렵게만 느껴졌던 과학, 과학적 상상력을 
내 삶 속에서 우리 아이들의 환경 속에서 실천할 수 있는 방법을 알려준 책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