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트르담 드 파리 청소년 모던 클래식 1
빅토르 위고 지음, 박아르마.이찬규 엮음 / 구름서재(다빈치기프트) / 2014년 7월
평점 :
구판절판


세계적인 명작이라는 말에 용기를 내어 읽어본 책이 노트르담 드 파리, 내가 책을 읽던 시점에 나의 지인은 뮤직컬을 본다고 하더라. 관람 소감을 물었더니 너무 좋다더라. 도대체 이 책의 어떤 내용이 그리 좋을까 궁금하지 않을 수 없었다. 읽기 전에는 뭐 그리 대단한 소설일까 반신반의하면서 책보다는 빅토르 위고의 명성에 한껏 부풀려진 것이 아닐까 부정적인 시각이 강했다. 하지만 그것도 잠깐의 오해, 가슴 한 켠을 짠하게 하는 감동은 있더라.

우리 인생에서 사랑을 빼놓는다면 무엇을 말할 수 있을까? 사랑얘기가 이젠 뻔하고 식상하다 말하지만 그래도 우리는 여전히 사랑얘기에 빠져들고 달콤한 사랑을 꿈꾼다. 이 책도 내가 생각한 다양한 시각의 사랑을 그린 것이다. 자식을 잃은 어미의 사랑이나 연인을 사랑하는 다양한 감정을 여기서 살펴볼 수 있다. 미인박명이라고 했던가! 뛰어난 외모 때문에 자신의 의지와는 상관없이 흘러가는 에스메랄다의 삶에서 연민을 느끼게 된다.

뿐만 아니라 외모는 일그러지고 볼품없고 표현이 부족하지만 사랑하는 감정만은 그 누구보다 순수할 수 있는 콰지모도의 사랑은 어떤가? 집착이 낳은 사랑이라던가 그저 하룻밤 즐기겠다는 심상이라던가 우리 주변에서 접해 봄직한 다양한 사랑의 모습을 보게 된다. 이 소설을 읽으면서 나는 어떤 사랑을 하고 있는지 생각해보지 않을 수 없다. 누군가를 집착하는 것인지 일편단심의 마음을 갖고 있는 것인지? 소설을 읽고 나의 모습을 빗대어 생각하자니 결론 내리기가 쉽지 않다. 마음도 갈대와 같기 때문이다.

왜 빅토르 위고는 이런 가슴 아픈 사랑이야기를 썼을까? 대략적인 작가의 마음을 설명을 했지만 그저 성당 한 켠에 쓰여진 단어 때문이었을까? 거기에 작가적 상상력이 빗어낸 소설일까? 단어 하나가 이렇듯 대단한 글을 만들 수 있다는 게 신기하기만 하다. 인간의 무지가 빚어낼 수 있는 참혹이라는 게 이뿐만은 아닐 것이다. 에스메랄다가 마녀로 몰려 죽임을 당하는 것은 그 시대의 일반적인 일이었을 것이다. 시대의 부조리가 한 사람의 무고한 생명을 빼앗는 일이 비단 저 때뿐만은 아닐 것이다. 지금 우리가 사는 세상에서의 부조리가 없는지 두루 살펴봐야 하지 않을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