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2의 기계 시대 - 인간과 기계의 공생이 시작된다
에릭 브린욜프슨 & 앤드루 맥아피 지음, 이한음 옮김 / 청림출판 / 2014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인류가 나타난 이후로 기술발전이 요즘처럼 기하급수적으로 급성장한 시대는 찾아보기 힘들다. 최근 100년 동안 인류의 기술은 상상을 초월할 정도로 눈부신 발전을 이뤘다. 지구 밖으로 인류를 보내어 달에 도착하기도 했다. 요즘 논의되는 계획 중에 하나가 화성에 인류가 거주할 수 있도록 만들겠다는 것이다. 실질적으로 성공할지는 좀 더 지켜봐야겠지만 인류의 가파른 기술발전을 보고 있자면 이 세기가 지나기 전에 가시적인 성과이 있지 않을까 생각해 본다.

 

우리 인류는 언제부터 인간과 비슷한 조형물을 창조하려고 생각했을까? 인간과 외모나 행동, 생각이 비슷한 창조물을 인위적으로 만들고자 했던 시도는 비단 최근의 일만은 아닌 듯 하다. 오래 전부터 이런 비슷한 생각은 계속되어 소설의 주인공으로 발현했다. 지금은 반도체 기술과 프로그래밍 기술이 향상되어 기초적인 로봇이 등장했다. 전반적으로는 인간의 능력에 한참 모자라지만 특정 부분에 있어서는 인간의 능력을 훨씬 뛰어넘는다. 아마 시간이 더 흐른다면 생김새나 행동 등이 인류와 비슷한 결과물이 만들어지지 않을까 기대해 본다.

 

이 책에서는 인류의 기술발전과 삶이 어떻게 변화했는지 가늠할 수 있다. 기술발전을 통해 인구가 급속도로 성장을 이뤘다. 이런 현상은 여러 가지 요인이 있겠지만 기술발전이 인류의 삶에 질을 향상시킨 것은 틀림없는 사실이다. 이것뿐만 아니라 앞으로의 기술발전 향방에 대해서도 가늠할 수 있다. 미래에 나타날 기계들은 인간의 모습을 더욱 닮아갈 것이다. 외형뿐만 아니라 행동이나 사고도 인간과 비슷하게 발전할 거싱다. 이러면서 현재 인류가 행하는 다수의 일을 기계가 대신하게 될 것이다.

 

그렇다면 과연 인류와 기계가 평화롭게 공존할 수 있을까? 일부 사람들은 기계에 대해 반감을 가질 수 있다. 인간의 일자리를 기계가 뺏었다고 생각하여 적대적인 감정을 느낄 수 있다. 이들 생각대로 인간의 필요성이 사라진 미래를 상상하면 끔찍해진다. 영화에서처럼 인류와 진화한 기계의 전쟁만이 남을 것인가? 물론 그럴 수도 있겠지만 너무 부정적으로만 생각하지 말고 인류와 기계의 공존을 생각하며 서로의 부족함을 채워주고 일정 부분의 일을 기계에게 일임하나면 인류는 또 다른 도약을 할 수 있지 않을까 생각해본다. 이 책을 읽으면서 좋았던 것은 그런 부분에 대해 폭넓게 생각할 수 있다는 것이다. 앞으로의 인류가 나아가야 할 길에 기술이 어떤 도움을 줄지 상상만 해도 짜릿해진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