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도세자의 고백
이덕일 지음 / 휴머니스트 / 2004년 3월
평점 :
구판절판


조선시대 왕가의 비극을 손꼽으라면 영조와 사도세자를 빼놓을 수 없을 것이다. 아버지 영조에 의해 죽임을 당한 사도세자의 베일에 가린 의혹이 조금씩 풀리는 느낌이다. 그저 아버지와 아들의 어긋한 관계에서 비롯된 죽음이 아니라 대리청정을 하는 세자의 죽음은 거대한 정치적 사건이었음을 알 수 있다. 조선후기의 슬픈 역사라고도 말할 수 있는 사건이 벌어진 이유는 왕의 권력이 신하의 권력을 넘어서지 못한대서 비롯된 현상일 것이다. 조선시대는 절대적인 권력을 휘두른 왕은 그다지 많지 않다. 일반적으로 왕과 신하는 서로를 견제하는 시스템으로 조선시대는 개국되었다. 이러다 보니까 중국처럼 절대권력을 휘두르지 못하고 왕의 의사결정을 관철시킬 때도 신하들과 지루한 싸움을 해야 할 때가 많았다. 그 중에 대표적인 행동은 전위결정을 내리는 것이었다. 실질적으로 조선시대의 많은 왕들이 전위소동으로 자신의 의사를 관철시키려 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이를 통해 만족할만한 성과를 얻었다. 아무리 조선시대의 왕이 절대권력자는 아니라지만 왕은 왕이다. 신하들은 왕의 한마디에 목숨을 잃을 수도 있다. 이 때문에 정치적으로 노회한 영조도 이와 같은 방법을 많이 사용했다. 아무래도 사도세자와의 갈등은 여기서부터 시작된 듯 하다. 조선후기 주요 정치세력인 노론과 어긋나다 보니까 사도세자는 계속해서 궁지로 몰린 듯 하다. 생모뿐만 아니라 장인, 아내 모두 그에게 등을 돌렸다. 이 때문에 사도세자는 외로운 투쟁을 해야 했고 정신적으로나 육체적으로 많이 피폐해졌을 것이다. 이것이 조선후기의 실상이다.

이 책이 출간되었을 때부터 학계에서 이슈가 되었듯 하다. 한중록에 대한 해석이 다르기 때문이다. 저자는 혜경궁 홍씨가 쓴 한중록이 영조시대와 사도세자에 관해 사실을 왜곡시켜 노론의 입장만을 대변한 아니 정확히 말하자면 사도세자를 죽음으로 몰아간 1등 공신인 본인의 홍씨 본가를 지키기 위한 책이라는 것이다. 이런 저자의 해석은 한중록을 또 다른 시각으로 해석한 정병설과 대립이 된 듯 하다. 우연찮게 알게 된 이런 배경이 이 책을 읽게 된 동기인지도 모르겠다. 논란이 배경이 된 부분은 정확이 무엇인지 알 길은 없지만 역사학계에 흥미로운 이슈임은 틀림없다. 역사서를 전문지식이 없는 일반인이 판단하기는 무리가 있다. 수많은 고서적을 참고하고 타당한 논리를 세워 주장을 하는 것인지 판단하기가 어렵기 때문이다. 이 책도 온전히 이 책만을 놓고 본다면 충분히 설득력이 있다. 하지만 이 책만을 읽고는 사료적 배경이 된 영조실록이나 한중록의 내용을 전체적으로 파악하기가 어렵다. 이 책을 읽으면서 또 하나의 과제가 남겨진 듯 하다. 한중록과 영조실록에 대한 관심을 갖고 읽어보고 싶다. 역사에 관심이 있는 사람으로서 이런 논쟁은 분명히 흥미로운 부분이다. 더욱 우리 학계에서 다양한 시각과 해석이 등장하여 일방적인 논리가 아닌 다양성이 뿌리내렸으면 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