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흔에 살고 싶은 마당 있는 집 - 아파트 전셋값으로 도심 속 단독주택 갖기 프로젝트
이종민.이승헌 지음 / 인사이트북스 / 2013년 5월
평점 :
품절


어린 시절 꿈 중에 하나는 멋진 집을 갖는 것이었다. 크고 화려하지는 않지만 사람이 살고 싶어지는 따뜻함과 포근함에 사람냄새가 가득 배인 그런 집 말이다. 이런 집에서 사랑하는 사람들과 함께 사는 꿈을 꾸는 것이 내 어린 시절 또 하나의 행복이었다. 요즘은 여기에 한가지가 더 늘었다. 바로 친환경 집이다. 에너지 자급자족이라는 말로도 설명이 가능할 것 같은데, 인위적인 생산이 아닌 자연친화적인 방법을 통해 에너지 효율을 끌어올리고, 획일적인 모습을 갖춘 그런 집이 아니라 나만의 개성을 충분히 돋보이게 할 수 있었으면 좋겠다. 물론 주변 경관과도 너무 잘 어울린다면 금상첨화일 것이다. 이런 집에서 사랑하는 내 아이들이 맘껏 뛰어 노는 상상을 하는 것만으로도 너무 행복해진다. 미래에 내가 살고 싶은 집을 가만히 상상해 보자. 편안함과 안락함을 위해 따뜻한 계열의 베이지색을 기본으로 단조롭지 않게 포인트를 구성할 수도 있을 것이다. 옷이나 물건을 수납할 수 있도록 붙박이장으로 꾸며 깔끔함을 유지하고, 1층은 가족이 도란도란 이야기 꽃을 피울 수 있도록 하고 2층은 각자의 주거공간으로 구성한다. 물론 2층에 서재와 하늘을 관찰할 수 있도록 한다면 더욱 좋을 것이다. 테라스로 연결된 2층에서는 화창한 날씨에 일광욕을 하기 너무 좋을 것이다. 거기에는 다양한 화분이나 나무도 자랄 수 있다. 저녁이 되면 시원한 밤공기를 마시면서 딸들과 이야기를 나눌 수도 있을 것이다. 이런 곳에서 산다면 가족과 함께하는 시간이 얼마나 행복할까? 집이 인생의 전부이거나 목적이 될 수는 없지만 화목한 가정을 꾸리는데 중요한 요소인 것도 틀림없는 사실이다. 책을 읽으면서도 내가 마흔에 살고 있을 집은 어떤 집일까?”라는 질문이 머릿속을 떠나지 않고 맴돌았다. 작은 마당에서는 내 딸들이 맘껏 뛰놀고 화목한 모습을 볼 수 있을까, 여러 가지 생각이 스치지만 지금 같아서는 그냥 더 이상 전셋값만 오르지 않았으면 좋겠다는 바람이 있을 뿐이다.

 

 

이 책을 읽고 있으면 생소한 단어 하나를 접할 수 있다. 노후주택 리노베이션이라는 신조어이다. 낡고 획일적인 집을 요즘 주거환경에 맞도록 고치는 전반적인 과정을 말한다. 리모델링이라는 단어와 무슨 차이가 있는지는 이 책에서 상세히 설명을 해준다. 리모델링은 대형건물이나 상가 등에 적용할 때 주로 사용되는 용어이고, 일반 주택은 리노베이션이라고 한단다. 뭐 용어의 차이는 큰 의미가 없어 보이지만 뭔가 주택에 획기적인 요소를 첨가시킨 것만은 틀림없어 보인다. 이 책을 읽으면서도 획일적이고 노후화된 주택이 바뀌면 얼마나 바뀔 수 있을까 의구심이 들었다. 주택 리노베이션은 주요 뼈대만 남겨놓고 모든걸 바꾼다는 저자의 설명에 그럼 새로 집을 짓는 게 더 낫지 않을까라는 생각도 해보았다. 하지만 비용적인 측면에서도 새로 짓는 것보다 훨씬 저렴하며, 법적인 절차도 훨씬 간소한 듯 하다. 물론 내 마음에 쏙 드는 집을 찾는 것이 우선일 것이다. 여기서는 저자가 처음으로 시공한 자신의 주택 사진을 물론이고 여러 주택의 사진을 실었다. 집을 한눈에 바라볼 수 있는 사진이 없다는 게 아쉽지만 부분적인 사진만으로도 이전의 집과는 너무도 다른 느낌을 받게 된다. 예전에 신동엽이 출연한 해피하우스에서 오래되고 지저분한 집들이 새롭게 개조되는 것을 본적이 있을 것이다. 여기서 말하는 개념도 그와 동일하다. 단지 비용을 내가 지불한다는 것이 다를 뿐이다.

 

 

리노베이션이란 단어는 생소하지만 복잡하고 어렵게 생각할 필요가 없다. 그저 오래되고 볼품없는 집을 내 마음에 들도록 개조하는 것이니까 말이다. 이를 위해서는 어느 정도 건축에 관한 지식이 필요한 듯 하다. 아는 만큼 힘이 되다 보니까 아는 만큼 볼 수 있으며, 의견을 제시할 수 있을 것이다. 특히 작업공정이나 자재의 특징, 법적인 절차 등을 잘 알고 있다면 시공이 된 후에도 기분 좋게 살 수 있을 것이다. 은근히 디자이너와 시공자, 집주인 간에 불화가 많은 듯하다. 이 책에서는 깊숙하지는 않지만 입문자가 이런 기본적인 정보를 얻을 수 있다. 좀 더 깊이 있게 알고 싶다면 별도로 공부를 해야겠지만 입문서로는 적당하다. 복잡하지 않고 다양한 사진들이 게시되어 있어서 내 집을 갖는 다른 방법의 꿈을 가질 수 있다. 이 책을 기반으로 다양한 책을 섭렵한다면 내가 살고 싶은 집을 얻는데 한발 더 접근하게 될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