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쁜 세계사 - 제멋대로 조작된 역사의 숨겨진 진실
엠마 메리어트 지음, 윤덕노 옮김 / 매일경제신문사 / 2013년 4월
평점 :
절판


지금껏 우리가 알고 역사가 진실된 역사일까이전에도 말했지만 역사란 시점과 시각에 따라 해석이 달라진다살아있는 생명체와 같이 세월의 흐름에 따라 조금씩 변하기 때문이다그렇다고 그 때 일어났던 사건 자체가 변한 건 아니라 그것을 바라보는 사람이 변하는 것이다그렇다 보니까 같은 사건을 시대마다 사람의 성향마다 긍정적이거나 부정적으로 해석하는 경향이 있다또한 그 사건을 기록하는 과정에서 왜곡시키거나 자신의 시각을 투영시키는 것이 다반사다어쩌면 당연한 것일지도 모르는 사실들을 이 책은 뒤집어 해석하는 것이 흥미롭다. 

 

단지 내가 유럽이나 미국의 역사를 제대로 알지 못해 이 책을 읽으면서도 많은 아쉬움이 남았다이 책의 내용을 수긍하려면 어느 정도 유럽과 미국의 역사에 대해 알고 있어야 한다단지 이 책의 내용 이해 여부를 떠나서 서양사가 지금까지 어떻게 이해됐으며이 책은 어떻게 반론과 이의제기를 하는지 알 수 있다뭐 그렇다고 이 책의 내용이 전혀 이해하기 어려운 수준의 책은 아니다가볍게 읽을 수 있으면서 이 책만으로도 충분히 그런 사건에 대해 다시 한번 생각하게 된다단지 안다면 더 좋다는 것이다. 

 

내용 중에 그나마 낯익은 것은 서부시대에 관한 오해다어린 시절 서부영화에서는 악당과 주인공이 대결을 하는 장면을 수없이 봤는데 그 장면이 사실이 아니란다서부시대는 무법천지라는 편견이 있었는데이 책에서는 서부개척시대가 영화에서처럼 무법지대는 아니었다고 말한다아무데서나 총을 꺼내서 난발하는 장면은 찾아보기 힘들었다고 한다이 외에도 로마시대 검투사는 죽을 때까지 싸웠을 것이라고 생각한다하지만 이 책에서는 경기장에서 목숨을 잃는 인원이 생각보다 적었다고 한다영화에서 보여졌던 것처럼 사생결단을 내리는 일은 드물었으며 검투사는 괜찮은 대우를 받으며 일반인들보다 더 오래 산 경우도 많다고 한다. 

 

이 뿐만 아니라 우리가 한번쯤 들어봤을 사실들을 뒤집어서 아니다라고 이야기를 한다당연히 그랬을 거야가 아니라 이런저런 이유를 대며 이래서 아니었다라는 주장을 편다책의 구성도 여러 내용이 그다지 길지 않아 지루하지 않게 읽을 수 있다만약 유럽이나 미국의 역사를 어느 정도 이해했다면 좀 더 재미있게 읽지 않을까 생각해본다그런 면에서 우리의 상식을 깨는 이런 책은 분명 호기심을 자극한다특히 역사를 새로운 시각으로 바라본다는 것은 진실탐구에 한 발짝 다가서려는 노력이 아닐까 생각해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