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진핑과 오바마
이하원 지음 / 김영사 / 2013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현재 우리는 미국과 중국 사이에서 외줄타기를 하듯 눈치를 살피는 정책을 펴고 있다어느 한쪽으로 쏠릴 수 없는 불안한 외줄타기이다경제적으로 급성장하며 우리에게 많은 영향을 미치는 중국과 군사적으로 오랜 동맹관계인 미국을 어느 한쪽이라도 외면할 수 없는 입장이다. 21세기에는 이 두 나라의 잦은 충돌이 예상된다원인이야 많겠지만 급성장하는 경제력에 맞는 대우를 받기 원하는 중국과 경제적으로 어려움을 처했지만 패권국가인 미국의 충돌은 어쩜 당연한 일인지도 모른다이런 기류변화로 우리나라는 더욱 난처한 입장에 놓이게 되었다이를 슬기롭게 극복하기 위해서는 미국과 중국의 변화에 대응하여 한발 앞서 나가는 노력과 정책이 필요하다.한반도의 지정학적 위치는 우리에게 항상 양날의 검과 같았다부정할 수 없는 사실은 우리 조상들은 중국에 많은 영향을 받았다또한 2차 대전 이후 미국의 직접적인 영향을 받으며 대한민국은 성장하였다이런 관계는 강대국의 입장에 따라 우리나라에 많은 영향을 있어왔다. G2로 불리는 이 두 나라 사이에서 어떻게 대처할 수 있을까이 책에서 조금이나마 그 답을 얻을 수 있다. 

 

이 책은 앞으로 10년동안 중국을 이끌 시진핑과 연임에 성공한 오바마의 대립에 틈바구니에서 살아남을 대책을 제안한다패권국가로 거듭나기를 원하는 중국이 대양으로 진출하며 주변국들과 끊임없는 마찰이 있다우리나라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는 사안으로 주변국과의 문제를 어떻게 해결할지 초미의 관심사다경제가 위축되는 미국은 패권국가의 위상이 점차 낮아지고 있어서 오바마 2기에서는 아시아로 회귀하겠다는 정책 방향을 제시했다이 부분에서 중국과 마찰이 예견된다이는 경제적정치적내적 요인 등 다양한 요소들이 작용하여 단순히 섣부른 예측을 어렵게 한다미국은 한국일본과의 전략적 동맹을 더욱 강화해야 하는 입장이고중국은 한국을 자신의 세력권 안으로 끌어들이고 싶어한다독이 될 수도 약이 될 수도 있는 입장에 있는 한국은 현명한 정책이 필요한 시점이다말인즉 중국이나 미국 전문가들을 더욱 많이 양성하여 적절한 대응이 필요한 시점이다또한 여기서는 새로운 대통령 박근혜에 관해서도 간략하지만 분석을 했다책 후반부에는 우리나라 중국 전문가드의 의견을 실었는데 앞으로 한국이 나아가야 할 길에 대해 각자의 의견을 전한다같은 상황을 보며 전문가마다 의견이 다르다는 점이 주의 깊게 살펴봐야 할 대목으로 생각된다이런 의견은 전술의 문제이지 전략은 초두에 설명했듯이 중국과 미국 사이에서 균형 잡힌 줄타기를 해야 한다는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