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주 속으로 걷다
브라이언 토머스 스윔 외 지음, 조상호 옮김 / 내인생의책 / 2013년 1월
평점 :
절판


어떤 말로 시작해야 할지우주에 관해 내가 무슨 말을 할 수 있을까? 그저 밤하늘의 별을 바라보며 어린 시절을 추억하는 것이 고작이었는데, 막상 우주의 존재와 생성에 관한 거시적 탐구를 접하다 보니까 우주의 경이로움에 더욱 매료된다. 우주라는 거대함을 생각하다 보면 인간의 존재가 하잖게 여겨진다. 지금 내가 겪거나 힘들어 하는 모든 것들이 무의미해 진다. 하찮게만 느껴지는 인류의 존재가 우주 탄생과 밀접한 관계가 있다고 책에서는 밝히고 있다. 우주의 탄생부터 태양계의 생성, 지구 생명체의 요동에 이어 인류의 탄생까지 전반적인 흐름을 연관시켜 설명하는 것이 이 책의 매력이다.


 

이 책은 여타의 책에서 보여지는 빅뱅 이후 우주 기원에 관한 법칙이나 수치적인 해석이나 설명은 하지 않는다. 그저 철학적인 질문과 그에 관한 대답 정도로 광대한 과정을 물 흐르듯이 술술 풀어서 설명을 한다. 이런 서술형식이 여타의 우주를 다룬 서적과 차별화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렇다고 이 책이 기존에 연구한 과학적 업적을 모두 부정하며 새로운 이론이나 주장을 내세우는 것은 아니다. 접근 방법이 철학적 관점과 과학적 접근이 융합되어 끊임없는 질문을 통해 독자로 하여금 진지한 고민을 이끌어 낸다.
 

 

이는 우주의 기원과 인류의 존재와의 상관관계를 설명함으로써 동양철학의 입장과 일맥상통하는 부분도 많다. 과학적 접근으로 설명하지 못하는 부분을 철학적인 사고로 채우며 앞으로 우주에 관해 접근하는 방향을 제시한다. 또한 우주의 탄생부터 인류의 존재까지 순차적으로 서술하여 내용이 끊기지 않고 자연스레 연결되어 책에서 말하고자 하는 흐름을 이해하는데 많은 도움이 된다. 비록 우주에 관한 최신이론 등의 설명이 없는 것은 아쉬움으로 남지만 사고의 방향을 알아가는데 많은 도움이 되어서 나는 이 책에 흥미를 더 느꼈다.

 

 


인류가 존재한 이후로 자연관찰은 지속되면서 우리 삶의 일부로 받아들였다. 이로서 인류는 자연에 순응하며 살다가 어느 시점에서인가 자연을 지배하려는 욕망을 갖게 된다. 아마 서구에서 시작된 산업혁명 이후가 될 것이다. 인류는 산업혁명으로 물질적 풍요를 얻었지만 자연과 교감하는 능력을 잃어버렸는지도 모른다. 인류는 오랜 시간 시간에 걸쳐 자연에 순응하는 삶을 터득한 인류와 우주의 기원이라는 연결고리에서 이 책은 출발한다. 별로 연관성이 없다고 생각할 수도 있겠지만 이 책을 읽고 있노라면 ~”라는 감탄사가 절로 나온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