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의 비밀을 찾아라 생각하는 수학동화 1
남호영 지음, 스튜디오 돌 그림 / 작은숲 / 2012년 12월
평점 :
구판절판


스토리텔링이라는 단어가 요즘 한참 회자되고 있다. 이런 추세에 맞춰 올해부터 초등학교 수학이 스토리텔링 방식으로 교과과정이 바뀐다고 한다. 초등학교 교육변화를 예의주시하는 나로서는 관심을 가는 부분이다. 이 책을 접하기 전부터 학습지 선생님들과 상담을 하면서 대략적인 유형을 살펴보긴 했는데, 예전에 내가 배우던 산수와는 접근방법이나 유형이 전혀 다르다. 국어와 산수가 결합된 형식의 스토리텔링 수학은 읽기능력, 이해능력 및 연산능력 등이 두루 갖춰져야만 문제를 이해하고 풀 수가 있다. 내가 어릴 적에 배운 교과를 생각하다가는 큰코다치기 십상이다.

 

 

 

이 책을 읽으면서도 과연 이게 수학책이 맞나 싶을 정도다. 그저 동화책을 읽는데 찬찬히 살펴보면 그 안에서 도형에 관한 비밀이 조금씩 밝혀진다. 사회생활에서 어떠한 프로젝트를 수행하는 과정과 비슷하다고 해야 할까? 문제를 파악하고 아이들이 자연스레 참여할 수 있도록 이야기 형식으로 문제점 파악, 해결과정 도출 등이 일련의 과정이 자연스레 이뤄진다. 책을 읽는 나도 원주율에 대해 자연스럽게 익히게 된다. 물론 연산 위주로 배운 나로서는 결과를 바로 확인할 수 없어서 답답한 마음이 들기도 했지만 말이다.

 

 

 

책의 구성을 잠깐 살펴보면 시골 큰아버지 댁으로 놀러 간 담이가 시내와 함께 도형나라로 여행을 떠나 원주율 문제를 해결한다는 이야기이다. 그 과정에서 도형의 특징들을 배우게 된다. 전체적인 줄거리는 아이들 호기심을 자극하기에 충분하지만 책의 구성이 조금 미흡한 듯 하다. 유아시절에 접했던 그림동화와 비교하여 그림이 드문 이 책은 초등학교 저학년이 읽기에는 다소 부담스러울 수 있다. 입학 전 아이들이 그림동화책을 읽다가 스토리텔링 수학이라고 해서 친근하게 접했던 그림들이 사라진다면 아이들이 쉽게 좋아할지 의문이다.

 

 

 

이 책을 읽으면서 어른인 나도 학창시절에 배웠던 원주율이나 도형에 관한 개념을 새롭게 익히게 된다. 학창시절에 원주율이나 도형에 관해 배웠다고는 하지만 아직까지 기억하기 만무하고 아이들의 공부를 봐줄 부모로서도 많은 도움이 되었다. 이런 교육방식의 변화는 부모의 도움이 필요한 초등학교 저학년 아이들이 문제를 이해하고 결과를 도출하는 중요한 시발점이 될 것이다. 기존의 교과과정에서 부족하다고 느낀 개념이해를 스토리텔링 수학에서는 어느 정도 해소될 수 있으리라 믿는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