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중계, 중국을 논하다 - 중국 정협 대변인 자오치정과 <메가트렌드> 저자 존 나이스비트가 말하는 중국의 어제와 오늘, 그리고 미래
도리스 나이스비트 외, 홍민경 / 자음과모음 / 2011년 5월
평점 :
절판


요즘 들어 더욱 중국의 질주를 눈 여겨 보게 된다. 중국의 성장원동력의 끝이 어딜까? 많은 전문가들이 평하듯이 중국은 세계패권을 양분할 수 있는 나라인가? 이런 질문에 답하려면 중국에 대해 좀 더 실질적인 분석이 필요할 것이다. 전 세계의 눈들은 중국의 성장을 부러워하면서 경계심을 늦추질 않는다. 전에는 겪어보지 못한 한 나라의 급성장에 세계인들이 적응하지 못하는 결과일 것이다. 또한 기존의 기득권 국가들의 경계심은 분명 현재의 중국을 바라보는 두려움이 투영됐을 것이다. 말처럼 중국의 성장은 전세계를 긴장하게 만든다.

 

특히 중국이 지척에 있는 우리나라는 역사적으로나 지리적으로 많은 영향을 받았다. 이런 중국을 경계하면서도 중국에 대해 깊이 있게 다뤄진 책들은 드물다. 서양에서 쓰여진 많은 책들은 물론 일부 우리나라에서 쓰여진 책도 중국에 대해 제대로 아는가에 대해서는 의문을 가져볼 만하다. 색안경을 쓴 눈으로는 올바른 판단을 하기가 힘들어진다. 제대로 알고 싶다면 편견이나 선입견을 버리고 올곧게 그것만을 바라봐야 한다. 그런 면에서 이 책의 색다른 시도는 눈 여겨 볼만하다.

 

기존에 많은 책들이 중국의 그늘진 곳을 파헤치고 부각시켰다면 이 책은 중국 정부를 대표하는 인물과의 토론을 통해 중국이라는 거대한 나라를 하나하나 짚어본다. 이 책의 이런 구성과 시도가 독창적이고 다른 책들과 비교되는 점이다. 물론 기존의 중국의 부정적인 면을 부각시켰던 점과 다른 접근법으로 중국을 집필한 것은 중국의 성장이 무시할 수 없는 수준에 왔으며, 중국의 저력을 제대로 알고 싶어하는 서양의 입장이 반영될 것이다. 이 책에서 언급되는 모든 내용들이 공감할 수 있는 부분은 아니지만 분명 중국은 거대성장을 이루면서 하루하루 세계에 영향력을 키우고 있다. 이런 자신감에서 나온 것인지 중국이 취하는 행동들이 무조건 긍정적인 것만은 아니다. 요즘 들어 주변국들과 빈번하게 마찰을 일으키며 경제위상에 맞는 목소리를 내겠다고 공공연히 떠들고 있다. 경제적인 위상이 발전함에 따라 주변국들에 영향력을 행사하려 했던 것은 비단 중국뿐만이 아니다. 하지만 중국의 비대칭적인 힘의 과시는 지리적으로 근접한 우리에게는 고민해야 할 문제이다.

 

이 책은 중국 지도부의 생각을 읽을 수 있다. 그들이 어떤 생각을 하고 있는지 앞으로 어떤 방향으로 나아갈지... 중국의 성장이 모두에게 이롭기만 하다면 좋겠지만 지금 상황에서는 그들의 성장의 주변국들을 긴장시키고 있다. 이런 상황은 여러모로 유익하지는 않다. 우리는 좀 더 많은 공을 들여 중국을 파악하고 이해한다면 분명 우리에게도 많은 기회가 올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