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 레터 - 나희덕, 장석남 두 시인의 편지
나희덕.장석남 지음 / 좋은생각 / 2011년 9월
평점 :
절판


더 레터라는 제목보다 편지라는 두 글자가 더 잘 어울릴법한 책이다. 편지라는 두 글자는 언제 들어도 마음 설렘을 간직하고 있다. 이 책을 읽다 보면은 예전에 연예편지랍시고 글자 하나하나를 정성껏 써내려 갔던 기억이 난다. 밤새 고민해서 쓴 편지를 아침에 읽고는 얼굴이 붉어져 보내지 못했던 편지가 얼마나 많았던가, 그때 그 시절을 생각하면 지금도 입가에 미소가 지어진다. 많은 사람들이 사춘기 시절에 설레며 편지를 썼던 기억이 있을 것이다. 이런 것이 추억으로 남아있다는 것이 참으로 서글프다. 가끔은 두근거리는 감정을 글로써 옮겨 누군가에게 보내고 싶지만 그렇지 못하는 것이 못내 아쉽다. 요즘은 컴퓨터를 통해 빠르고 정확하게 e-mail을 보낼 수 있어서 예전처럼 편지를 쓰지는 않을 것이다. 기술의 발전으로 세상이 편해지는 건 좋은데 인간적인 맛은 예전만 못하는 것 같다.

 

두 작가가 한해 동안 주고받은 편지를 수록한 책인데, 이 편지를 쓴 이유야 알 수 없지만 글에서 풍기는 그윽함은 기분을 상쾌하게 만든다. 아마 누군가에게 마음을 전하는 편지라서 더 그런 것 같다. 이 책의 제목만 읽고 나는 우리가 일반적으로 생각하는 남녀간의 사랑의 마음을 전달하는 것을 쉽게 떠올렸지만 이들이 쓴 글은 사랑을 구걸하는 연예편지는 아닌 것 같다. 그저 소소한 일상의 이야기를 편지로 썼을 뿐인데, 글 속에서 풍기는 느낌이란 가슴 속 밑바닥에 숨어있던 사춘기 때의 감정을 모락모락 올라오게 만든다. 이 편지를 찬찬히 읽고 있노라면 그들의 삶이 내 눈앞에 훤히 비치는 것 같다. 작가의 편지라서 그런지 글에서 느껴지는 풍부한 표현력과 은유는 잔잔한 호수에 돌멩이를 던지는 것과 같이 내 마음에 파장이 만들어지고 가슴속 한켠을 울렁거리게 만든다. 내가 쓴 편지는 아니지만 누군가가 정성껏 쓴 편지를 읽는다는 건 여전히 설렘이 있다.

 

이 글을 읽으면서 내내 부러웠다. 이들은 편지를 참 맛깔스럽게 잘 썼다는 것이다. 하고 싶은 말을 아무런 거리낌 없이 글로서 옮기는 재주란 세상에 그 어떤 능력보다도 부러운 재주다. 세상에 부러운 사람들은 많지만 그 중에 글 잘 쓰는 사람이 제일 부러웠다. 이들의 편지를 읽으면서 이래서 작가는 아무나 하는 것이 아니라는걸 새삼 느끼게 된다. 아마 내가 사춘기 때 이들이 쓴 편지를 읽었다면 충분히 그때 그 사랑에 성공했으리라 생각한다. 뭐 후회는 없지만 나도 꾸준히 글쓰기를 노력한다면 이들의 발끝만큼을 쫓아갈 수 있으리라 기대하면서 무작정 글을 써보려 한다. 잊고 지냈던 그 옛날의 감정을 기억해내며 나도 오랫동안 잊고 있었던 지인들에게 마음을 전하는 편지를 한번 써볼까 생각 중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