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성적 아이의 힘 - 이해하는 만큼 발견하는 아이의 잠재력
이정화 지음 / 21세기북스 / 2018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내성적인 아이의 힘

 

 

 

이 책은 우리 아이가 내성적인가요? 말하지 않는 아이의 속마음, 아이의 성격을 마주하는 순간, 아이의 감정을 읽으면 강점이 보인다, 한 걸음 더 성장하는 실전 코칭 기술, 내성적인 아이를 키우는 부모의 자세로 구성되어 있다. 외톨박이 아이, 방에만 틀어박혀 있는 아이, 친구를 사귀고 어울리는 것을 싫어하는 아이, ... 수많은 상상을 하며 아이를 걱정하는데, 실은 성장기를 지나가면서 부닥치는 무게에 지지 않으려고 싸우느라 그러는구나라  아이를 이해했을 때  정말 가슴이 서늘했다. 아직 어려서 아무 생각 없이 그저 살아가나보다 했는데, 아이는 어느새 성장해가고 있었다.

 

항상 뭔 이야기를 하다가 자기감정에 매몰돼서 눈물부터 흘리는 아이를 들여다보다가, 아이의 격한 감정의 원천은 무엇일까 걱정도 하고, 혹시 어디 모자란 것은 아닌지, 걱정스런 마음으로 들여다보곤 한다.

 

이 책에서는 내향적인 아이는 에너지가 안으로 흘러 어떤 문제가 발생했을 때 깊숙이 침잠해서 해답을 내적으로 해결한단다.  외향적인 아이는 에너지가 밖으로 흘러 어떤 문제를 만나면 밖에서 해결하려고 한단다. 저자는 우리가 살아가면서 늘 만나는 사람들의 성향을 하나하나 꼼꼼하게 이야기한다.

 

아이를 양육할 때 아이의 성향 못지않게 중요한 것이 부모의 성향이란다. 내향적인 아이와 외향적인 엄마, 외향적인 아이와 외향적인 엄마, 내향적인 아이와 내향적인 엄마가 있는데, 만약 아이와 엄마가 같은 성향으로 궁합이 잘 맞는다면 서로 이해하고 마음을 맞추기가 쉬울 텐데, 서로 다른 형이라면 서로 성향을 이해하지 못해 애를 먹는 경우가 많단다. 그래서 부모는 자기 성향도 잘 파악 해야하고, 아이의 성향도 잘 이해해서 서로 부딪히지 않고  이해하며 살아가는 방법을 시간이 흘러갈수록 깨닫게 된단다.

 

타고난 성격보다 중요한 것은, 아이가 원하는 표현으로 사랑하는 것이 중요하다. 아이를 바꾸려하기보다 있는 그대로 대해주는 것이 좋다. 부모가 되려면 마음을 비워야한다. 부모 기준의 잣대로 아이를 판단하지마라. 집과 사회를 정확하게 구분하라.

 

아이의 마음을 열 때, 내향형 아이가 소통하는 방법은 주제를 잘 살펴서 말하라. 삼천포로 빠지면 아이는 싫어한다. 내향형 아이는 은유와 비유를 사용하며 깊은 대화를 좋아한다. 내향형 아이는 자기가 싫어하는 일을 피하기 위해 혹은 에너지가 지나치게 한 곳에 편중되는 불균형을 해소하기 위해 행동한단다. 반면 외향형 아이는 자기가 원하는 것을 밖에서 찾아다닌다. 외향형은 목표지향형이고 내향형은 회피지향형이다.

 

아이의 자존감을 높여줄 때 아이는 성장한다. 아이의 잔존감을 높이는 기술로 인정 기술을 말한다. 당당하게 말하고 당당하게 자신을 표현하는 아이가 소통도 잘 한다. 내향적인 아이의 공부 방법은 손에 잡히는 목표를 만들고, 암기보다 맥락을 이해하면서 공부하는 방법을 개발하게 해야 한다. 한층 깊게 파고들어 공부하는 것을 좋아한다. 오감이 무척이나 풍부하게 발달한 아이이기 때문에 그것을 살려주는 것이 중요하다고 저자는 말한다.

 

딸아이가 내향적이라서 그런가. 외향적인 아이보다 내향적인 아이의 이야기가 더 눈에 들어왔다. 나도 어쩔 수 없는 부모인가보다. 힘들 때 혼자 방에 틀어박혀 속을 죽이는 아이를 보면서 가끔 가슴이 아프지만, 그러나 나름 아이가 자기의 에너지를 조절하느라 그런다는 것을 깨닫게 되었다.

 

이 책을 이 땅의 모든 부모님들께 권해드리고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