밥 딜런 자서전 - 바람만이 아는 대답
밥 딜런 지음, 양은모 옮김 / 문학세계사 / 2010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바람만이 아는 대답

 

 

 

얼마 전 송라이터이던 밥 디런이 노벨문학상을 수상했다는 소식을 듣고, 깜짝 놀랐다. 그가 그렇게 어이해서 노벨상을 탔을까? 어떤 사람은 송라이터인 그가 노벨문학상을 어떻게 탔지 의아해하는가 하면 어떤 사람은 야유를 보내는 사람들도 있었다.

 

그러나 그가 이제까지 작곡한 노래와 그가 부른 노래들을 보면, 그는 분명 시대를 도외시한 노래를 만들거나 부르지 않았다. 늘 시대의 표정을 노래에 실어내곤 했다. 그의 노래들은 시적이기도 했다. 수많은 노래들의 영감을 얻기 위해서 그는 피눈물 나는 노력을 했다.

 

미국 역사와 사회 발전에 따른 상황을 노래에 그대로 실기 위해 그는 끊임없이 작곡하고 또 작곡하였다. 그의 노랫말은 미국의 고등학교와 대학의 교과서에 실릴 정도로 문학적 가치를 인정받았다. 그의 노래는 세상을 바꾸기도 했고, 사람들의 귀와 눈으로 그들의 마음을 일깨우기도 하였다. 그의 노랫말로 인생을 배우는 사람이 있었는가 하면, 그의 노래로 그들의 영혼을 위로하기도 했다.

 

이름 없는 가수로 송라이터로서 꿈을 안고 온갖 고생을 겪어가면서 뉴욕에서, 맨해튼에서 고생하던 삶의 이야기를 담담하게 들려주고 있다. 그의 아름다운 표현 능력이 노랫말로 태어나면서 오늘날 노벨상을 수상하게 되기까지 끊임없는 삶의 물결을 차분하게 밀어올리고 있었다.

 

그가 작곡한 노래들에 대한 영감과 살아가는 모습을 담담하게 이야기하고 있지만, 타락한 퇴폐성 속에서도 포기하지 않았던, 그러나 실패했던 이야기들, 그러나 그 실패들이 아름다운 노래로 태어날 때, 결코 실패는 헛되지 않았음을 그는 말한다.

 

베트남 전쟁 이후로 시대상황에 대하 반항하기 시작한 미국 젊은이들, 히피들과 함께 어울리지 못하고, 그 당시 가족들을 지켜내야했던 딜런의 사연들, 그때의 그의 심정들이 담담하게 전해져왔다. 솔직하게 그 당시의 심정을 용기를 내어 표현하고 있는 딜런, 아이러니하게 그 히피들과 합류를 하지 않았지만, 먼 훗날 그가 시인으로서 결코 시대상을 외면하지 않고 문제제기를 하며 노래를 만들었다는 사실, 또한 우리는 알아야 한다.

 

락 음악에서 밥 딜런을 묻어버리고 락을 이야기할 수 없다. 밥딜런, 엘비스 플레슬리, 비틀스, 롤링 스톤즈는 그 당시 최정상에서 군림하던 사람들이다. 그 당시 그들이 무쟈게 잘 나갈 때, 딜런은 넘버 원 히트곡 하나 없다. 그의 노래에 대중성이라던가, 상업적이라던가 하는 말은 어울리지 않았다. 엘비스, 프레슬리 비틀즈, 롤링 스톤즈가 외향적인 모습이라면 딜런은 내면적이다. 노랫말이자 메시지이다. 사운드와 형식만이 중요한 것이 아니라 노랫말도 아주 중요한 것이다. 음악에서는....

 

딜런에게 우드스탁에 참여하지 못했지만, 그래서 더더욱 내면 깊숙한 곳에서 자신과 대결하면서, 깊고 깊은 인간적 고뇌를 하였을 것이다. 전쟁을 반대하고, 인권을 주장하는 멋진 우드스탁의 자리에 가지 못했던, 그래서 괴로웠던 그의 마음이 엿보이는 것 같아, 이 책을 읽는 내내 한편으로는 연민을, 한편으로는 공감을 가지게 되었다.

그는 시인이었다. 세상에 끝없는 메시지를 남기는 그는 휴먼니스트였다. 송라이터 딜런의 노래들을 좋아했던 만큼, 그의 자서전 또한 아주 반갑게 즐겁게 읽었다.

책속에는 재즈가 태어난 뉴올리언스가 언급되고 있다. 재즈하면 루이 암스트롱이 떠오르고 마일즈 데비스가 떠오르면서 뉴올리언스가 떠오른다. 그 뉴올리언스 마리 앙투아네트 호텔에 딜런이 머물었던 이야기가 나올 때 두 눈이 번쩍 뜨이기도 했다. 뉴올리언스에서 그의 노래들을 녹음하는 이야기, 또 뉴올리언스는 컨트리 라디오 방송국, 리듬앤블루스와 남부의 가스펠을 들려주는 방송국, 재즈 방송국 등을 딜런은 세상에서 최고의 방송국을 가지고 있다고 말한다. 그만큼 그는 뉴올리언스를 좋아하지 않았나 생각한다. 라디오를 통해서 들려오는 음악을 즐겼다.

 

노랫말을 짓는 동안 밥 딜런은 그 노랫말들이 자서전이었단다. 그의 내면에서 우러러 나오는 진실적인 언어로 이야기를 표현하기를 원했던 그, 음악도 역시 그랬다. 마음에 들지 않으면 불편한 마음으로 작업에 임했던 솔직하고 담백한 고백들이 가슴에 와 닿는다. 우리네 인생이 그렇지 않던가? 마음에 흡족하지 않으면 뭐가 턱 가슴에 걸리는 불편한 느낌... 그것을 아주 잘 우리들에게 이야기로 풀어내는 그, 노벨상을 탈만도 하다. 그렇게 고뇌해서 만든 노래들, 우리가 지금 들을 수 있는 것이다. 그는 쓰기 위해서 끊임없이 여행을 하고 산책을 하고, 관찰을 하고 영화를 보고, 대화를 나누고, 연주에 참여해서 고치고 또 고치고.... 끝없는 반복을 권태기를 느끼지 않기 위해 끝없는 돌파구를 찾아냈다. 그런 그가 명작을 써내지 않는다면 오히려 이상한 것이다.

 

뭐니뭐니 해도, 딜런에게 비틀즈와 그들의 노래들은 신선한 충격으로 다가왔을 것이다. 비틀즈의 노래에 인생철학적인 의미를 넣는 영향을 끼친 딜런, 딜런의 노래에 락적인 요소를 넣도록 영향을 끼친 비틀즈, 크게 영국의 대형 가수와 미국의 대형 송라이터 서로 역사적인 보이지 않는 영감을 주었다.

딜런은 선 파이의 말을 통해 전쟁에 대한 자신의 소신을 밝힌다. 선 파이가 전쟁이 나쁜 것만은 아니라 이야기를 했을 때, 딜런은 마음의 눈에서 피기 튀고 흐르는 것을 보았다고 했다. 그만큼 그는 전쟁에 대한 고통을 그의 내면에서 느끼고 있었던 것이다. 선 파이는 인간은 양심은 쓸모가 없다면서, 인간은 적당히 살아가기 마련이라고 했을 때, 딜런은 양심이 찔렸단다. 딜런은 선 파이에게서 영감을 받았던 것이다. 그동안 뭔가 내면적으로 풀리지 않던 것이 선 파이로 인해 싹 풀렸던 것 같다. 그가 마음속에 화두를 삼고 있던 문제, 전쟁을 외면했던 것이 양심에 찔려 뭔가 음악이 노래가 제대로 풀리지 않았던 것이었다. 그런 시기에 탁 꼬집어주는 선 파이로 인해, 그는 자신이 처한 문제, 즉 양심이 찔렸던 곳을 정면으로 바라볼 수 있었던 것이다. 삐거덕 거리던 데니와의 녹음 작업이, 선 파이로 인해 잘 풀렸다.

 

59번가 프라자 호텔로 돌아오는 길에 콜걸의 모습을 보고 쓴 <Dark Eyes>에는, 그녀에 대한 딜런의 따스한 연민의 마음이 담겼는데, 앨범에 너무나 잘 어울리는 곡이 되었다. 그때 딜런은 삭막한 뉴욕과 달리 뉴올리언스를 따스함이 촉촉하게 묻어나는 곳으로 느꼈고, 노래에서도 그런 느낌들이 묻어났다. 여기서 이런 생각이 들었다. 역시 사람은 감성의 동물이다. 따스함을 느끼고 연민의 마음을 느끼는 곳에 살면 창작 활동 속 작품은 그 무드가 배여 드는구나...라고...

 

밥 딜런은 가사의 주제를 연주자들에게 필히 이해를 시키고 연주하고 녹음하도록 했다. 가사를 이해하고 연주하는 것과 그렇지 못한 연주는 노래의 무드와 전달력이 전혀 다른 작품이 될 수 있다. 그것은 노래를 망치는 것이다.

 

딜런은 늘 라디오를 가까이 두고 노래를 들었다. 거기서 받는 좋은 느낌, 영감도 무시하지 못했으리라. 또한 영화를 종종 보곤 하는데 때때로 영화 속에서도 영감을 받아 곡을 쓰곤 하였다.

 

딜러는 멋진 말을 한다. 인간의 역동성은 대단한 역할을 하고, 늘 원하는 것을 얻는 것이 가장 중요한 것은 아니라고 말한다. 그렇다. 우리가 하고자 하는 일이 항상 다 성공하는 것은 아니다. 다 성공하는 것만이 가치 있고 중요한 것은 아니다.

 

녹음을 끝냈을 때, 스튜디오가 불길에 휩싸인 것처럼 느껴졌다는 딜런, 얼마나 열정적으로 투혼을 쏟아 부었는지 알 수 있는 문장이었다. 그의 문체는 솔직하면서도 거침이 없으면서도 따스하다. 어떻게 그런 아름다운, 시적인 표현들이 나오는지... 궁금하다. 아마 그것은 그가 인간을, 세상을, 따스한 사랑하는 마음으로 바로보기 때문일 것이다.

 

딜런은 노래가 쓰이는 환경을 이야기하고 있었다. 같은 환경에서 같은 느낌의 좋은 곡이 탄생하기는 힘들다. 그런 곡을 쓰기 위해서는 강한 정신력을 가져야 한단다. 비유적이 아니라 사물의 진실을 볼 수 있는 사람, 금속을 들여다보고 녹이기를 좋아하는 사람이 험한 말과 악의적인 통찰력으로 그것을 드러낸단다. 아 얼마나 예리한 말인가? 이 말이...

 

밥 딜런은 리듬을 다양하게 박자를 다양하게, 템포와 리듬을 바꾸면서 끊임없는 작업을 계속했다. 리듬을 결합하는 사람에게는 이 방법이 아주 좋은 방법이라고 말한다. 많은 음반들을 접하고, 많은 사람들을 만나고, 많은 여행을 하고, 많은 고민을 하고, 많은 연주를 하고, 많은 노래를 부르고, 많은 녹음을 하고, 많은 작곡을 하면서 그의 음악들은 점점 더 깊어져갔다.

 

구전 민요이던 포크음악을 창작한 우디 거스리의 제자를 자처하는 밥 딜런, 우리가 알고 있는 저항가수가 아니라, 직절적이거나 정치적이거나 선동적인 저항의 표현이 아닌, 개인의 느낌을 담은 은유로 노래를 표현하였다.

<Blowing in the Wind>를 예로 보자면, 반전노래지만 평화와 자유를 갈구하는 서정적인 가사와 멜로디로 인해 듣는 이의 마음을 얼었단다.

 

세상으로부터 가정을 지키기 위해 총을 들었다는 밥 딜런, 그의 일상은 평범한 가수의 얼굴이었다. 그래서 더더욱 우리들은 가깝게 느껴진다. 인간적인 그의 고뇌, 시류에 휩쓸리지 않으면서도 세속을 늘 통찰했던 송라이터 딜런의 노래를 한 곡 들으며 책장을 덮는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