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개더링
앤 엔라이트 지음, 민승남 옮김 / 랜덤하우스코리아 / 2008년 10월
평점 :
절판
심사위원 전원 만장일치로 맨부커 상을 수상한 '아일랜드 올해의 소설' <개더링>
요근래 가족에 대한 몇편의 소설을 읽었는데, 밝고 서정적인 기억을 더듬는 다른 소설들과 비슷한 느낌을 기대했던 탓일까.
책을 읽는 내내 유달리 어둡고 무거운 느낌을 떨칠수 없었다. 그도 그런것이 형제의 죽음을 둘러싼 어릴적의 아픔과 고통을기억해내고,
기억과 상상을 넘다들며, 어떤것이 기억이고 상상인지 구분할수 없을정도로 베르니카의 감정은 혼란스럽고, 그 혼란스러운 감정이 독자에게는 같은 느낌으로 다가오는건 당연할것이다.
가족의 아픔과 혼란을 이야기한 <개더링>은 베로니카의 오빠 리엄이 알콜중독자가 되어 방황하다 바다에 빠져 자살하여, 그에대한 동생 베로니카의 과거회상으로부터 시작된다.
오빠의 죽음의 원인에는 마치 그이전에 ,그의 할머니의 과거부터 시작되는듯 소설은 할머니가 할아버지가 처음 만날때의 사랑부터, 그리고 그들의 유년시절에 할머니집에서 보내온 이야기를 회상한다.
마치 오빠의 죽임이라는 결과를 나았다는듯 사실과 상상을 넘다들며 그녀의 할머니의 부적절한 사랑에 대해 상상하고 진실을 상상속에 이야기 하며 마치 믿고싶지 않은, 아니면 사실을 상상처럼 치부해 버리기도 한다.
할머니를 사랑했고, 사랑했지만 다른이의 아내가 된 그녀의 곁을 여전히 멤도는 너전트가 오빠에게 가혹한 성적 확대를 하는 장면을 유일하게 목격하고
어린 자신들을 돌보지 않고 할머니댁으로 보낸 엄마의 사랑과 관심의 부족을 원망하며, 너전트가 그들 가족곁에 머물게된 할머니와, 할머지를 원망하고 오빠의 죽음을 그들의 가족의 단절과 무관심, 무책임함을 적나라하게 이야기한다.
가족의 그런 애정결핍에 대해 토로하고 있지만 그녀또한 가족을 떠나 도망칠것인가를 두고 망설이며 가족에게서 벗어나고 싶은 그녀의 감정을 가지고 있다. 결국 그녀의 집으로 돌아가면서 비로소 무거웠던 과거의 무게를 떨쳐버리고모든것을 용서하기보다는 진실을 진실 그대로 받아들이면서 현실을 직시한다.
가족의 사랑과 아름다움을 주로 쓰는 책들 가운데서 새로운 가족형태, 가족사를 그린것만으로도 화제가 되는것은 당연한 일이지만 책을 읽는 내내 무거움과 답답함을 떨쳐낼수가 없었다.
소재와, 너무나 지나치게 건조한듯한 느낌의 문장은 다소 답답하기도 했지만 그것이 또한 베로니카의 마음이 아니였을까. 생각해보니 한편으론 이해가 되기도 한다.
현실과, 상상을 넘다들며 어느것이 상상인지, 현실인지 알수 없는 모호함이 아직도 남아있으니 , 평론가의 말처럼 이책은 여유를 두고 천천히, 두번 열어봐야하는가 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