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지 1 - 아모르 마네트
김진명 지음 / 쌤앤파커스 / 2019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사실.. 저는 역사책을 잘 안 읽어요.

고등학생 때는 근현대사를 재밌게 배웠었는데 졸업하니 흥미가 안 생기더라구요.

요즘엔 역사를 좀 알아야겠다는 생각이 들면서도 행동으로 옮기기가 쉽지 않았는데

마침 쌤앤파커스에서 역사 소설을 보내주셨어요.


오독 독서모임에서 얼핏 들은 게 '김진명 작가의 책을 읽으면 국뽕 맞는다'고 하더라구요.

국뽕이란 말이 좋은 뜻은 아니잖아요. 그래서 어떤 의미인가 했는데 읽어보니 딱 그 표현이 생각났어요.


간단한 줄거리를 말씀 드릴게요.

'직지'는 여러분이 알고 있는대로 '직지심체요절'입니다.

소설은 사회부 기자인 주인공 '기연'이 살인 사건을 취재하면서 시작해요.

살해를 당한 사람은 서울대에서 라틴어를 가르치다 퇴임한 교수인데 살인 현장에 가보니 드라큘라에게 피를 빨린 것처럼 목에 네 개의 구멍이 나있었고, 귀는 잘려있고, 가슴에는 창이 관통해 구멍이 뚫려있었어요.


이를 이상하게 느낀 기연은 사건을 파기 시작해요.

자동차 내비게이션의 최근 목적지를 검색하고 서원대학교 '김정진 교수'를 찾아갔습니다.

청주시와 서원대학교는 직지 알리기 운동을 같이 전개하고 있었는데 과거 직지가 유럽에 전해졌을 거라는 외국 학자들의 의견에 바티칸까지 가서 교황이 고려로 해석되는 '코럼'이라는 나라의 왕에게 보낸 편지를 찍어와요.


그리고 그 편지 해석을 살해 당한 전 교수에게 맡겼습니다. 그런데 사람들의 바람과는 다르게 전 교수는 다르게 해석합니다. 기연은 범행 동기를 여기에 초점을 맞추고 사건의 비밀을 풀기 시작해요.


조선, 중세, 현대를 넘나들며 사건이 빠르게 전개되어 손에 땀을 쥐면서 읽었어요. 얽히고 설킨 사건이 약간 복잡하게 느껴질 때쯤엔 사건을 일목요연하게 정리한 부분이 나와서 이야기의 흐름을 파악하는데 도움이 됐어요.


가장 인상 깊었던 한 문장을 공유해드릴게요.


82p

현대인의 가장 큰 오류는 과거를 함부로 무시한다는 사실이에요.

세상에는 현대의 기술이나 지식으로 이해하지 못하는 과거의 유산이 얼마든지 있어요.


세상이 빠르게 변하고 하루가 다르게 새로운 게 나오기 때문에 옛 것을 멀리하게 되고 단순히 '오래된' 물건이라고 생각했는데 이 문장을 읽고 온고지신이라는 사자성어를 다시 한번 마음에 새겼어요.


직지에 대해서는 단순히 세계 최초 금속활자라고만 알고 있었는데 이 책을 읽으면서 단순히 그 한마디로 정의될 게 아니구나 라는 생각이 들었어요. 우리 역사에 관심을 가져야겠다고 느꼈습니다. 오독 독서모임에서 알게된 '김진명의 한국사 X 파일' 조만간 꼭 읽어봐야 겠어요.


쌤앤파커스 덕분에 오랜만에 흥미진진한 소설 읽었네요.

역사 소설이라는 장르에 대해 재미를 느끼게 해주어서 감사드립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