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교 대인심리학
코이케 류노스케 지음, 최선임 옮김 / 지식여행 / 2010년 12월
평점 :
품절


현대사회는 각박한 세상이다. 살기가 매우 힘든 것 같다. 물질적으로는 풍요로워 졌을지는 몰라도 미래에 대한 불안과 정신적 긴장, 우울증 등으로 인해 마음의 안정을 찾지 못하고 방황하는 경우를 우리 주위에서 어렵지 않게 볼 수 있다. 삶에 대한 희망을 잃어버리고 힘든 세상을 하루하루 힘겹게 살아가고 있는 사람들을 볼 때마다 참으로 안타깝다는 생각이 든다. 사람들은 조금이나마 마음의 평안을 찾기 위해 종교에 귀이하기도 하고, 명상, 심리치료 등 다양한 방법을 찾고 있습니다. 이런 것들을 통해 마음의 평안을 얻기를 간절히 원한다.

얼마 전에 <심리치료와 불교>라는 책을 읽고 느낀바가 많았다. 심리학과 불교의 융합을 통해 어떻게 마음의 안정을 찾으며, 마음의 평화를 얻을 수 있는지 그 방법을 독자들에게 제시하고 있는 책이었는데 심리학과 불교가 공유하고 있는 다양한 이론과 방법을 통해 마음의 고통에서 벗어나 마음의 평안을 얻을 수 있는지 해법을 자세히 밝히고 있다.

심리학과 불교는 비슷한 점이 많다고 생각한다. 마음의 안정을 유지하기 위해 명상을 활용하는 것과 인간의 내면을 꿰뚫어보는 방법을 제시하는 것 등 두 학문의 접목을 통해 인간의 내적 안정을 추구하는 것에 대해 많은 학자들이 연구해 오고 있으며, 그 방법은 매우 효과가 있음이 다양한 연구를 통해 밝혀져 왔다. 정신적인 고통으로 많은 사람들이 힘들게 살아가는 요즘의 현실을 볼 때 <불교 대인 심리학>은 매우 유익한 책이다.

우리는 모두 ‘겉치레의 갑옷을 벗고 무장을 해제한 자신’을 누군가가 받아들여 주엇으면 하고 굶주려 있다. 현대인에게 “정말 원하는 것이 무엇인가?”라고 물으면, 일의 성공, 자기 집을 소유하는 것, 쓰고도 남을 만큼 많은 돈을 버는 것일 수도 있다. 하지만 이런 것이 이루어졌다고 하더라도 ‘누구도 나를 받아주지 않고, 아무도 나를 인정해주지 않는게 아닐까’하고 생각을 하게 되면 하루하루가 비참하게 될 것이다.

이 책은 자신뿐만 아니라 다른 사람들에 대해 이해하는 방법들을 귀여운 일러스트와 사례를 통해서 재미있고도 명확하게 보여주고 있다. 자신의 의지와는 다르게 움직이는 마음은 인간 관계에 있어서 서로의 사이가 가까워질수록 나쁜 모습만 보여주곤 한다. 코이케 류노스케 스님은 사람들이 그런 행동을 하는 이유를 자신의 ‘존재 가치’를 확인하기 위해 다른 사람과 자신을 괴롭히는 것이라고 설명한다.

저자 코이케 류노스케는 현재 쓰키요미지 주지스님이다. 신주쿠 아사히 문화센터 등에서 일반인을 위한 좌선 지도를 실시하고 있다. “내 마음은 사실 내 것이 아니다!” 나의 의지와는 상관없이 ‘마음대로’ 반응하는 마음, 그 정체는 무엇일까? 이런 의문을 그동안 많은 심리학 서적이 알려주었지만 그러한 책들과는 달리 불교 심리학적인 관점에서 바라보고 마음의 정체를 밝히고, 또한 마음의 뒷모습을 투영해봄으로써 스스로가 매어놓은 족쇄에서 벗어나 진정한 자신을 깨닫는 방법을 제시하므로 이 책을 통해 남과 나를 속이는 마음속의 두려움을 뛰어넘어 ‘진정한 나’를 찾고, 내 마음을 조종하는 실을 끊어버리고 자유를 찾아야 할 것이다. 이 책을 읽고 사람의 심리를 투영하는 것에서 더 나아가 인간의 본질에 대해 생각할 수 있는 기회가 된 것은 나에게 큰 수확이라고 하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