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성이 글을 쓴다는 것은 - 연인, 환자, 시인, 그리고 너
김혜순 지음 / 문학동네 / 2002년 1월
평점 :
구판절판


여성시인이 쓴 시를 이해불능이라는 말을 자주 들었다. 그러나, 여성인 나는 그런 시를 읽을 때면 그 시의 화자가 내가 된 기분이 들었고, 이해 불능이라 말하는 사람들이 이해되지 않았다. 어쩌면 생소할 수도 있는 여성의 글쓰기라는 말은 이제 이 책을 통해 우리에게 시원하게, 또는 속이 확 풀릴 정도로 명쾌하게 다가온다. 환상의 세계와 알 수 없는 어둠 속에 서 있는 타자와 대화하고 있는 시를 이해하기에는 우리들이 길들여진 사회가 너무 정형화되어 있고, 이성적인 것만을 중요시 여겼다는 생각을 한다.

여성들은 자신 속에 또다른 여성인, 어머니, 할머니 등 많은 타자를 지니고 있다. 그래서, 나는 어머니이기도 하고, 할머니가 되기도 하고, 딸이 되어 어머니를 바라보기도 한다. 성으로 문학적인 세계를 금을 긋는 것은 위험하고 편파적이라 말할 수 있다. 그러나, 명확하게 말할 수 없는 여성들만의 언어가, 세계가 있다는 사실은 인정할 수 밖에 없다. 여성의 언술은 이성적이지 못하고 또한 체계적이지 못하다. 여성시인의 텍스트를 이해하기 위해선 여성의 화자(또는, 그 속에 웅크리고 있는 타자) 속을 들여다보아야 한다.

이 글에는 바리데기의 수많은 텍스트를 꼼꼼히 되분석하면서 여성성을 체계적으로 이해하도록 하고 있다. 바리공주는 병에 걸린 아버지를 구하기 위해 여행을 한다. 그 여행은 죽음의 세상, 즉 신의 세계이다. 죽음을 경험하는 고통을 겪으면서 바리데기는 어머니되기를 실현한다. 바리데기를 구송하는 자, 무가의 연희자들이 버려져 죽은 아이를 살려내기 위해, 망자 혹은 자신의 통과제의를 치를 때마다 한 번씩의 나서을 굽이돈다.

그러면서 그녀들의 일생이 코스모스의 시간의식을 벗어나 시적 이미지의 시간 속으로 진입한다. 그렇게 되어야만 바리데기 구송자들은 바리데기를 서천서역국이라는 공간 안에서 살려낼 수 있게 된다. 여성은 물의 이미지이다. 그릇에 담으면 그릇 형태의 물을 담아내고, 흘러 강물에 닿으면 강물의 일부가 되어 바다로 향한다. 물은 지나가면서 수많은 물의 길들을 새끼친다. 물의 길은 깊고 멀다. 어머니의 사랑처럼, 어머니의 몸처럼, 노자가 여성을 상징, 지칭하는 명사 앞에 붙였던 감을 현은 적막하고 깊은 물을 가리키는 형용사이기도 하다.

그런 여성의 몸에는 병이 살아 들끓는다. 병은 몸이 쓰는 답장이다. 여성의 병든 목소리는 이 세상의 중심 질서에 대한, 그 질서가 묘사해온 여성에 대한 거대한 이분법에 대한 답변이다. 이 거대한 이분법은 여성 스스로를 자신들의 무의식으로부터, 자신들의 성 자체로부터 소외시켰다. 여성시의 해체는 여성들이 시'함'으로써 구축한 것이다. 그것은 기본의 시에 대한 열림이라기보다는 오히려 주체성을 상실하기 위한 열림이다.

너의 거울에 나를 비추고, 나의 거울에 너를 비추기 위한 열림이 아니라, 너의 거울에서 나를 상실시키기 위한 열림이다. '나의 아이는 나의 어머니들의 아이면서, 동시에 나이면서, 나의 어머니들이다. 아이는 나의 타자이면서 동시에 내가 낳은 나이다. 아이는 태어남으로써 나를 타자의 자리에 갖다놓는다. 나는 출산을 통하여 어머니 되기와 아이 되기를 동시에 달성한다. 나는 출산을 통해 '몸'이 된다. 몸 됨으로 나는 나를 벗어나 타자가 된다. 또한 '내'가 된다. 이것이 내가 내 시들에서 무수한 타자들과 맺는 나의 관계 맺기 방식이다. 나는 한 타자를 넘어서 다른 타자에게로 가는 것이 아니라 그 타자와 함게 거미줄을 짜나가는 것이다.'

한 문장이 다른 문장과 연결을 하고, 고리를 맺어서 그녀의 이 시론서는 어느 한 줄을 빠트려도 이해가 되고, 또 이해가 되지 않는다. 그렇게 그녀는 그녀의 시론을 여성적 글쓰기의 본보기를 보여주기 위해 신들린 무녀의 춤과 노래처럼 주술적이게 우리를 사로잡는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