존재의 세 가지 거짓말 - 상 - 비밀 노트
아고타 크리스토프 지음, 용경식 옮김 / 까치 / 1993년 8월
평점 :
구판절판


세 권의 책을 읽을 때 여름비가 내렸다. 우울한 날씨에 소설까지 어두워 읽는 내내 우울했던 것이 생각난다. 이년 전에 읽었지만 시간이 지날수록, 이 소설의 부분들이 나의 머릿속에서 떠나질 않았다. 한 권을 읽을 때마다 어두운 곳에서 깊은 계단을 밟는 것 같은 느낌이 들었다. 다음에 내딛을 발걸음을 조심스럽게 움직이게 하는, 그런 계단 말이다.

이 글은 루카스의 작문으로 생각되는 부분의 글들, 실제로 보여지는 상황, 다시 루카스가 모르는 실제의 상황들이 나온다.

「비밀노트」에서 화자를 1인칭 단수가 아닌 복수(우리)로 해서 낯설게 한다. 다른 인물도 토끼 주둥이, 당번병, 서점주인으로 호명된다. 그것은 당시의 나치스와 사회주의자가 등장하는 혼란 속에서 정체성의 상실을 암시하고 있다. 1부를 다 읽는 순간까지도 독자는 소설의 서사를 믿지만 그것은 루카스가 작문노트에 쓴 하나의 허구였다는 사실이 밝혀진다.

'우리'라는 복수를 사용함으로써 주관적 표현을 배제해준다. 쌍둥이 형제가 할머니 집에서 생활하게 된 그 지점(실제는 루카스가 재활원 폭파 후, 노파에게 맡겨지고 루카스는 외로움을 달래기 위해 작문노트에 글을 쓴다)은 그들 주변의 폭력적이고 암흑세계이며 지옥과 같은 악마적인 진실의 소용돌이를 보여준다.

「타인의 증거」에서는 쌍둥이의 한 명인 루카스가 등장하고, 그 외의 다른 이들도 이름을 갖게된다. 아버지의 시체를 밟고 국경을 건넌 클라우스를 보내고, 혼자 남은 루카스가 살아가는 모습을 나타내고 있다. 2부의 내용들은 1부에서 보여주었던 지옥의 이미지들이 더 구체적이고 암울하게 나타난다.

아버지의 아이를 낳고 방황하는 처녀, 남편의 죽음으로 정신과 치료를 받는 도서관 여직원, 책을 쓰겠다는 꿈에 폐인이 되어 가는 알콜 중독자인 서점 주인, 소심한 동성연애자인 공산당 간부, 늙은 불면증 환자 등, 이들은 삶에 있어 어둡고 습한 인물들이지만 작가는 거리를 조정하여 결코 감상이나 주관적으로 다가가는 것을 거부한다.

2부의 6장에서 모습을 들어낸 클라우스는 소설의 내용을 뒤엎는 역할을 한다. 그러나, 그의 존재에 대한 증거는 불확실하다. 인물들에게 각자의 이름을 부여하면서 정체성을 드러내지만 실제로 자신의 정체성 문제에 대한 의문을 다시 던진다.

「50년간의 고독」을 읽다보면 다시 혼란에 빠진다. 1부 내용이 루카스가 쓴 작문 노트이고, 2부에서 클라우스는 원래 루카스이며,실제 클라우스는 어머니를 모시며 단둘이 살아 가고 있었으며, 루카스는 할머니의 집에서 살면서 혼자 작문 노트를 썼다,

2부에서 할머니의 집에 남은 루카스와 국경을 넘은 루카스(국경을 넘어서 클라우스라는 이름으로 산다)는 한 명의 인물이다. 즉, 남아있던 루카스가 작문에 존재하는 루카스인 것이고, 국경을 넘은 루카스(클라우스)가 실제의 인물이다. 국경을 넘은 루카스(클라우스)가 자신의 형제를 찾아오면서 그동안 작문노트에 나왔던 인물들과의 관계들이 다시 정립이 된다. 어머니를 모시며 사는 클라우스는 루카스라는 필명으로 시를 쓰고 있다. 루카스는 그를 만나지만 클라우스(루카스라는 필명으로 쓰는)는 루카스(클라우스라는 신분증을 가지고 있는)의 존재를 부인한다.

3부에서는 루카스, 클라우스의 시점에서 똑같이 '나'라는 주어로 서술지만 여전히 주관적인 생각이 배제된다. 클라우스의 부인에 루카스는 자살을 하고, 그 소식을 들은 클라우스도 같은 방법으로 자살할 것이라는 예감을 하면서 이 소설은 끝난다.

이 소설은 읽는 내내 암울한 분위기와 동시에 시점들의 변화와 인칭(우리→루카스, 클라우스→나)변화에 시도를 한다. 그러나, 시도는 단지 실험적인 것이 아니라 전쟁시의 상황, 정체성에 대한 질문을 던진다. 이 소설에는 단지 어두운 현실을 보여 주는 암울한 소설을 뛰어넘어 정체성에 대한 많은 생각을 주는 소설이다. 또한, 자신의 반쪽의 영혼을 찾아 낯선 도시를 헤메이는 영혼을 만날 수 있다. 그리고, 그림자는 언제나 그의 뒤를 따르고 있다.


댓글(1)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tnr830 2004-05-19 12:37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퍼갈께요
그 책보다는 님의 글을 읽고 알은 게 많아서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