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아무도 없는 곳에서, 모두가 있는 곳으로
최진영 외 지음 / 픽션들 / 2023년 11월
평점 :
이 책을 구하고자 동네서점을 찾았었다. 평소 대부분의 책을 예스24라는 인터넷 서점을 이용하는 나였으나, 이 책은 입고가 되지 않았었다. 그래서 찾은 순천의 독립서점, @simdabooks 에서 어느 비오는 날 오후에 구입하였다. 겨울과 어울릴 것 같은 표지와 작가진에게 빠져 샀던 책, 읽다보니 강아솔 님의 음반과 연관되었다는 걸 알았다. 강아솔 님의 4집 발매 공연의 이름은 아무도 없는 곳에서 모두가 있는 곳으로. 노들섬 라이브하우스에서 진행됐다고 한다. 그리고 이 책 역시 <아무도 없는 곳에서, 모두가 있는 곳으로>.
시작은 최진영 작가님, 눈이 녹아 새싹이 움틔우는 봄을 지나 작열하는 태양의 여름을 지나는 와중에도 작가님은 겨울의 중간에 서 있는 것 같았다. 그리고 나 역시 아직 나를 사랑하는 법을 모르겠다. 아니 확실히 모른다.
그리고 인상적이었던 문장은 신해욱 작가님의 ‘이제 양쪽에서’에 나왔던 “어떤 말들은 뒤늦게 도착한다.”였다. 과거에는 미처 몰랐던 말들이 현재에서야 와닿는 경우가 있다. 가령, 어린 날의 언젠가 나는 학교가 가기 싫어 아프면 좋겠다는 생각을 했다. 입원을 해본 적 없던 나는 그것 또한 안경 쓰는 친구를 부러워하던 것과 같은 어린날의 시기와 질투가 녹아있었다. 그렇게 30대가 되어 아팠고, 독한 진통제 탓에 간이 망가지고 그 탓에 눈 또한 급격히 나빠져 안경 또한 쓰게 되었다. 결국 늦게서야 도착한 말이 되었다.
이 책을 읽고 내가 아무도 없는 곳을 꿈꾼다는 걸 알았다. 그런 반면, 타인에게 의지를 많이 하고 있다는 걸 알았다. 결국, 혼자이고 싶으나 혼자를 견디지 못한다는 것 또한.
아직은 아무도 없는 곳을 꿈꾼다. 혼잡한 것 보다는 적막하리만큼 한적한 곳을 꿈꾼다. 그리고 그 어디쯤, 내 마음도 살짝 내려놓고 싶다. 끝 없는 겨울을 걷는 기분, 그 기분을 느꼈다. 이 책에서.
#아무도없는곳에서모두가있는곳으로
#최진영 #신해욱 #한정원 #김현 #안희연 #안미옥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