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부하는 그리스도인 - 그리스도인에게 공부란 무엇인가, 2017 세종도서 교양부문 선정작
이원석 지음 / 두란노 / 2016년 10월
평점 :
절판


책 전체를 관통하는 주제는 독서다. 흠...약간은 김샌다. 제목이 포괄적인 느낌이어서 무엇이 담겨 있나 긍금했는데, 역시 결론은 독서다. 하나 더 들어가면 성경과 기독교 고전읽기. 조금 더 들어가면 다양하게 읽지만 하나의 책을 반복하는 것이 매우 중요함을 강조.
그러면 저자가 말하는 공부가 무엇인지 보자.
지식을 머리로 흡수한다 그 지식을 행동으로 실천한다. 습관이 되어 무의식적으로 행동이 나오도록 그 지식을 체화한다. 여기서 반복적인 지식의 실천이 필수다. 이 정도 되면 이미 내 존재 자체에 변화가 일어난 것이다. 나는 이전과는 다른 새로운 관점을 가진 사람이 된다.
예를 들어서, “남에게 대접을 받고자 하는대로 먼저 남을 대접하라 “는 지식을 머리로 배우고 이해했다 치자. 그 다음은 이 지식을 행동으로 실천하고 습관이 될 때까지 체화한다. 이 정도면 나는 이미 남을 먼저 배려하는 사람으로 변화한 것.즉 존재 자체에 변화가 일어난다.
이렇듯 진정한 공부는 지식이 머리를 거쳐 몸에서 습관이 되어 존재 자체의 내적 변화를 일으키는 것이다. 즉 진정한 공부는 나를 좋은 쪽으로 변화시키는 것이다. 좋은 말이다.
그러면 여기서 잠깐, 우리 아이들이 죽어라 매달리고 많은 시간을 투자하는 공부는 무엇이란 말인가... 흠흠... 저자가 독서를 강조하는 배경 중 하나로 종교개혁을 든다. 저자는 문예부흥운동 즉 르네상스의 영향으로 종교개혁이 이루어졌다고까지 말할 수 있다고 한다.
그리스고전에 대한 부흥운동으로 루터가 희랍어 원문 성경을 읽게 되었고 거기서 십자가의 복음을 깨닫고 당시 카톨릭 교회를 비판하며 성경으로 돌아갈 것을 설파한 것이다. 그러니 종교개혁의 배경에는 안문고전 읽기를 강조한 르네상스가 있다라는 것이다. 이런 점에서 저자는 꼭 기독교 관련 서적이 아니라도 좋은 책 특히 고전을 다양하게 읽을 것을 권한다.
사실 난 이 부분에서 눈이 번쩍 뜨였다.
교회에서 많은 시간을 보내고 그리스도인의 정체성으로 살려고 노력하는 나는... 독서를 할 때 내 마음 깊숙이에서부터 어느 정도 죄책감과 불안감이 있다. 성경도 제대로 읽지 않으면서 이런 책들을 이렇게 재밌게 읽어도 될까. 문학이나 다양한 세계관를 다룬 책들이 나에게 어떤 영향을 끼칠까.. 그것은 긍정적인 걸까... 등 말이다.
그러나 이 책의 저자는 달라스 윌라드의 말을 인용하여 나에게 이렇게 말한다. “그분(예수)는 지성 생활의 모든 분야에 살아 계신다. 그리스도인들은 자신의 전공 분야에 들어설 때 막연해 할 필요가 없다. 단순히 선한 일에 힘쓰면 된다. 선한 시를 쓰고, 선한 노래를 작곡하며, 선한 사진을 찍고, 선한 영화를 만들고, 선한 풍경을 그리고, 선한 연구를 실시하고 선한 건물을 지으면 된다. 굳이 기독교적인 노래를 만들거나 가독교적인 시를 쓰거나, 기독교적인 연구를 하지 않아도 된다. 선한 일을 하면 그것이 최선의 기독교적인 일이다. 예수께서 선하시기 때문이고, 하나님의 은혜에 힘입어 행하는 선한 일의 증언이 인간의 증언만으로 이룰 수 있는 일을 확연히 능가하기 때문이다.” 이 구절이 내가 이 책에서 건진 최고의 보람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