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균 그리고 이순신
이은식 지음 / 타오름 / 2009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순신.

우리는 그와 가깝다.

가장 가까이는 최소의 단위가 아님에도 보편적으로 많이 통용되는 화폐에서 그러하고 의도되었건 의도하지 않았건 학교에서 가르침이 그러했고 많은 책들과 드라마나 미디어에서도 그러했다.

이순신은 나라를 구한 성웅이다. 그 말에 조금만치라도 의심이나 의문이 없었다.

오히려 이순신이 승리로 이끌어 나라를 위기에서 구해 낸 해전에 대해서 잘 알지 못함이 부끄러울 뿐이었다.

그런 이순신을 이야기 할 때 늘 한 켠에서 웅크린채 비난의 화살을 받아야 했던 이가 있으니 그가 원균이다.

원균에 대한 연구와 이해가 사실 지금에는 예전과 다른 부분이 많고 새로이 해석되는 부분도 많은 것으로 안다.

비겁하고 졸렬한, 전장에서 도망친 장수가 아니라 그 역시 나라를 위해 힘을 아끼지 않은 장수임을 이야기 해주는 책들도 이미 여러권이고 티비 프로나 각종 역사를 다루는 미디어에서 그의 이야기를 접한 일이 꽤 많았다.

 

어쩌면 이순신의 영웅적인 면모에 가려 제대로 된 평가나 조명을 받지 못한 것이 사실일지도 모른다.

재조명이나 재평가는 차치하더라도 왜곡되어서는 아니된다라는 생각에는 역시 동의 하는 바이다.

저가 이은식의 역사 이야기 시리즈중에서 원균을 재조명하고 평가절하된 그를 복원하는 책을 만났다.

원균 또한 나라의 위기에서 나라를 위해 애 쓴 부분이 어찌 없겠는가 하는 물음에서 부터 책장을 넘기기 시작했다.

저자는 선조실록과 선조수정실록을 비교 대립 시키며 원균과 이순신을 이야기 하고 있는데 , 이순신의문중인 이식이 45년 후인 1643년 수정 편찬된 선조수정실록을 들어 선조 당시의 기록인 선조실록과의 차이와 내용의 상이함을 비교하고 원균에 대한 기록의 차이를 이야기한다.

이식이 이순신 문중의 사람이라서 이순신의 편에 입각하여 선조수정실록을 편찬했다는 데는 상당히 설득력이 떨어짐도 사실이다.

역사를 재편하는데 있어 같은 문중의 사람이라는 자칫 오해의 소지가 있을 수 있는 부분이 그 당시에도 간과되었을리 만무하다.

이순신은 당파에 흔들림이 없는 인물이었음은 임난 당시 의주로 피난간 임금의 치우침에도 꺽이지 않은 모습에서 확연히 알수 있고 그런 이순신이 거짓 장계로 원균을 모함하여 벌주기를 청하고 역사왜곡의 발단을 제공했다는 저자의 논조에는 적잖이 동조하기가 힘들다.

후세의 사람들이 확실히 알 수는 없으나 피난을 간 임금과 조정은 바다의 상황을 잘 알지 못했고 외려 이순신에게 피난 조정에 필요하니 종이를 구해 올려보내라는 실소를 금치 않을 수 없는 명까지 내리는, 난 중에도 당파에 찌들은 임금은 왜적을 무찔러 명성을 얻은 이순신을 외려 경계했다.

그런 이순신을 저자가 원균의 정당성을 입증하기 위해 선 예로 들은 선조실록의 사료가 모아지던 피난 조정에서 그에 대한 호의적인 이야기를 찾을 수 없는 것이 당연한 일이 아닌가싶다.

 

이순신을 경계하는 임금과 이순신이 가지는 힘을 경계하던 조정의 신료들이 이순신을 폄훼하고자 하였음을 지금의 어리석은 사람인  본인 조차도 알겠는데, 그러한 선조실록이 옳지 못하여 수정실록을 편찬하고-단지 이식의 혈족이라 이순신에세 호의적이고 원균에게는 비겁한 장수라는 오명을 씌웠다는것은 억지스럽다 아니할 수 없다.

역사를 기억하는 것은 살아있는 사람들의 몫이고 그 역사의 옳고 그름 역시 살아있는 사람들이 평가해야 하는 것임에는 틀림없으나 저자가 말하고자 하는 원균에 대한 불합리하고 불의한 역사의 오명은 이순신을 흠집 냄으로써 얻어지는 것이 아닌 원균 스스로의 정당성과 설득력있는 역사의 기록에서 찾아야하는게 아닌가 한다.

 

원균을 높이고자 이순신을 끌어내리는 이야기가 없었더라면, 오히려 원균의 사람됨과 나라를 구하는데 애를 쓴 장수로서의 모습을 더 부각 시켜놓았더라면 저자의 이야기는 훨씬 설득력이 있었을 것이다.

저자의 입장에서 본다면야 이런 생각을 하는 사람인 본인 조차도 이순신이 거짓 장계로 역사 왜곡의 발단을 제공하였고 이순신의 혈족인 이식이 남긴 선주수정실록의 편파적인 기록과 교육되어지고 철저히 왜곡된 시각을 가진 어리석고 편협한 사람일 수도 있다.

 

그러나 원균에 대한 저자의 생각 역시 편파적이다 아니할 수 없고 원균이 뒤집어 쓴 것이 진정 오명이라면 시대를 바라보는 다양한 시각이 존재함을 인정하는 세대에 엄한 이순신을 패대기치지 않고서도 그 오명을 풀어줄 다양한 시각의 이야기들을 기대해본다.

 

이순신을 옹졸하고 졸렬하며 야비하기까지한 사람으로 묘사하는 시각에 울컥하는 목울대를 진정시키며.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