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덕여왕 - 마음으로 천하를 품은 여인
제성욱 지음 / 영림카디널 / 2009년 5월
평점 :
품절


때가 신라의 선덕여왕의 때인 모양이다.

드라마와 함께 선덕여왕에 대한 팩션의 소설들이 봇물 터지듯이 쏟아져 나오고 이미 출간된 책들도 두팔을 앞으로 나란히 하고 있는 듯 하니 말이다.

몇해전 김별아의 미실이란 책을 1억원 고료?당선작이라는 자극적 문구에 끌려 읽게되었는데 당시로서는 신라의 근친혼이나 이해할 수 없는 그들의 혼인풍습도 어려운 마당에 미실이라는 인물을 이해하지도 받아들여지지도 않았던 기억이있다.

손에 잡은 책은 읽고야 만다는 신념하에 꾹 참고 다 읽긴 했으되 당시의 나로서는 충격이고 그것이 진실이라면 알고 싶지 않은 불편한 진실일 뿐이었다.

학계에서는 아직 역사적 사실로 받아들여 졌는지 어떤지는  잘 모르겠지만 진흥.진지.진평왕때의 미실이 선덕여왕 때에 큰 알력을 행사했는지는 알수 없다는 생각이다. 드라마는 역사적 사실의 바탕에( 간혹 사서의 한줄 기록에 뼈를 만들고 살을 덧붙여 이야기를 만들어 내는 경우도 더러 있지만) 흥미로운 이야깃 꺼리를 덧붙여 만든다. 드라마가 사실과 픽션의 경계를 명확히 하지 않는다면(명확히 할 수 도 없겠지만) 사실 많은 이들이 혼돈을 느낄 수 있는 부분이 충분히 있다고 여겨진다.

이런 생각의 연장선에서 선덕여왕의 일대기 위주로 쓰여진 책을 접하고 화젯거리가 되기싶고 재미 또한 있으니 관심의 대상이 되기 쉬운 드라마와 구분을 위해서라도 선덕여왕, 그녀만의 이야기를 읽어보는것이 어떨까 하는 생각이 들었다.

 

처음 신라의 여왕이자 이땅의 첫 여왕인 선덕여왕에 대해 배우고 들었을때 묘한 자부심이 가졌었다.

아마도 신라땅인 곳에서 그것도 최초의 여왕 이야기에 매혹되어 옛부터 여왕도(!)있었다는 은근한 자부심으로 코흘리개 남자아이들을 대했던 그때는 성골이고 진골이고 아무것도 몰랐을때니 그저 선덕여왕의 신비한 일화를 듣고 신기하고 재미있고 그랬었던것 같다.

 

632년 진평왕의 뒤를 이어 신라의 왕이 되는 덕만공주 선덕여왕은 삼국의 혼란스러운 시대와 수당의 변화하는 정세 속에서 독자적인 연호를 사용하고 첨성대, 분황사, 황룡사 구층목탑 등을 건축하고 김춘추, 김유신 등의 인재를 등용함으로써 삼국 통일의 기반을 닦았다.

고구려의 연개소문과 백제의 의자왕, 수. 당의 패주들과 당당히 맞선 당대의 여걸이었으며, 백성을 마음으로 살피고 마음으로 아낀 여왕이었다.

이야기 속의 선덕여왕은 그녀가 왕이 되기까지 주변인물들과의 반목과 갈등을 지혜롭게 극복하고, 또한 그를 통해서 자신의 마음을 한층 성장하고 지혜와 현명함을 갖추게 된다.

언니 천명공주의 왕위에 대한 야심으로 선덕여왕과 갈등을 이루는 이야기의 구조가 흥미롭다.

또한 숙부 백반과 그 주변의 인물들이 다양한데 그들이 원하는 것 역시 왕위에 대한 야심이었으니 성골과 진골로 이루어진 신라 왕실의 폐쇄성과 그들만의 왕위에 대해 생각해 볼 수 있었다.

선덕여왕의 이야기를 전개 함과 동시에 여러 인물들에 대한 이야기를 마치 호흡이 길고 넓은 시선으로 구석구석 훑어 보는듯한 느낌이 든다.

600페이지 가까이 되는 방대한 분량의 이야기가 그 시선들 하나 하나에 담겨있어 저자의 수고로움이 과히 짐작되고도 남는다. 개인적으로는 남자인 작가의 눈으로 바라본 선덕여왕이라는 점이 조금 아쉽기도 하다.어디까지나 지극히 개인적인.

책중에서 수나라에 고구려 정벌을 요청하는 원광법사의 걸사표가 나오는 부분에서 당시의 수. 당과 고구려, 백제, 신라 삼국의 미묘한 관계에 고개가 저어졌다.  사족을 달자면 나당연합군으로 삼국을 통일하고 고구려의 영토를 회복하지 못한 통일 신라가 못내 아쉽고 자못 분노했던 기억을 떠올리자면 지금 중국의 동북공정 같은 역사 왜곡 역시 불편한 마음을 감추어지지 않는다.

 

인평이라는 독자적 연호를 사용할 정도로 자주적이었던 선덕여왕.

마음으로 천하를 품은 여인, 선덕여왕- 그녀의 모습을 촘촘하고 빼곡한 글들이 내려 앉아있는 책 속에서 만났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