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리아 푸르셰 지음, 김주경 옮김 / 비채 / 2023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권태로운 유부녀 로르와 무기력하고 공허한 미혼남 클레망의 자기파괴적인 사랑이야기.

사회학과 교수인 로르는 ‘이 시대’를 논하는 심포지엄의 진행자가 되고 패널로 초청된 클레망과 어느 레스토랑에서 짧은 만남을 가진다. 둘은 곧 첫 눈에 반하게 되고 그대로 불이 붙고만다.
두 사람 모두 사랑과 열정이라는 감정과 죄책감과 수치심이라는 상반된 감정이 서로 공존한다. 로르는 죽은 어머니와 클레랑은 반려견‘파파’와 대화를 하며 감정을 서술한다.
둘은 같이 불타오르지 않고 각자 따로 타오르며 소멸한다.

어찌보면 결말이 빤히 보이는 불륜이야기지만 뒷 맛은 씁쓸하기만 하다. 불은 다양한 모습을 가지고 있다. 맨 처음 불꽃이 튀며 시작되었다가 세상을 태울 듯 활활 타오르기도 하고 언제 그랬냐는 듯 소멸하기도 하고, 결국엔 하얀 재로 남아버린다. 두 사람의 사랑 이야기는 이 모든 것을 보여준다. 하얗게 남은 잿더미에서 나는 무엇을 찾을 수 있을까.

둘 사이 점점 불이 붙으면서 갈수록 파국이 되어간다. 글쎄. 불륜남녀의 처참한 결말을 기대하고 읽긴 읽었지만 이 정도 까지 바라지는 않았다. 하지만 그 결말 덕에 책을 덮고도 한참 생각하게 되었다. 왜 그 편지는 로르에게 가고 만걸까. 하얀 재에서 다시 새싹이 자랐던 로르는 그 뒤에 어떻게 되었을까. 그의 딸들은 어떻게 살고 있을까. 클레망의 어머니는 어떤 감정을 갖고 지금은 어떻게 살고 있을까. 잔뜩 그을린 채 살아가고 있는 걸까.

책 마지막에 실려있던 옮긴 이의 글에서 이 시대는 타고남은 하얀 재같은 피로의 시대라고 했다. 그래서 이 시대를 살아가는 우리는 저마다 무언가를 위해 다시 뜨겁게 타오르기를 바라는 지도 모른다고. 신을 향해서든, 연인을 향해서든, 혹은 예술이나 욕망을 향해서든. 타오를 수 없다면, 하다못해 훨훨 타오르는 불길을 아무 생각 없이 바라보기라도 원하는지 모른다 고 했다.
책을 읽는 내내 타오르는 불길을 하염없이 바라보는 기분이 들었다. 결국 하얀 재로 남았지만 말이다.

올해의 마지막으로 읽게 된 책이다. 아주 잠깐이나마 열정과 냉정사이가 떠오르기도 했다. 결혼과 마지막 사랑. 혹은 그 후에 빠지게 된 사랑.
사랑이 뭐길래 사람을 이렇게 만드는 것일까. 나의 사랑은 어떠한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