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유산 - 역사와 과학을 꿰는 교차 상상력
고려대학교 공과대학 기획 / 동아시아 / 2021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첨단X유산 #고려대학교공과대학

 

우리학교에도 박물관이 있고 전시회도 열린다는걸 알고 있었지만 한 번도 가본 적이 없었다. 남의 학교도 마찬가지. 더더욱 관심이 없었다. 학교도서관만 그런 것이냐 하면 또 할 말이 없다. 해외 여행지에선 꼬박꼬박 갔던 박물관도, 도슨트도 한국에선 잘 듣지 않았다. 정말이지 무관심했다.

 

이 책은 고려대 교수진들이 고려대학교 박물관에서 소장중인 문화유산을 소개하며 첨단과학기술로 재조명을 한다.

1장에서 10장까지 각각의 유산들을 기술과 접목하여 소개한다.

(동궐도-드론), (고려청자-디스플레이), (조선백자-리소그래피),(사인검-기가스틸),(보성관,보성사-인공지능),(대동여지도-자율주행차), (수선전도-스마트시티), (오마패-5G), (혼천시계-양자통신), (태항아리-바이오기술)

 

유일하게 내가 알고 있던 건 동궐도이다. 서양미술과 동양미술의 차이점에 대한 강의를 들은 적이 있어서 좀 더 쉽게 읽을 수 있었다.

서양의 원근법과 동양의 부감법은 너무나 달랐다. 조선회화의 정수라고 표현되는 동궐도는 시점이 하늘에 있다. 내려다본 세상을 그대로 표현해 궁궐의 장대함이나 많은 인원이 동원된 행사의 장엄함을 효과적으로 나타낼 수 있었다. 꼭 드론에서 촬영한 사진처럼 말이다. 이야기는 바로 드론으로 넘어가 드론의 개념과 종류를 설명한 뒤 일상생활에서의 활용법으로 넘어간다.

다른 장들도 마찬가지로 우리나라 유물에 대해 먼저 설명을 한 뒤 관련 학과 교수가 이야기를 시작한다. 사학과에서 시작해 건축학과, 지리학, 미디어학부에 이르기까지. 그 부분역시 흥미로웠다. 정말 전공수업을 듣는 기분.

 

몇몇 부분에서 연결이 억지스럽다는 생각을 갖기도 했으나 독창적인 유물들을 보며 한국인으로서의 긍지도 느꼈다. 책을 읽으며 우리 유산에 무관심했던 나 자신에 대해서 반성을 했다.

아는 만큼 보이는 법인데 정말 무지해서 보이는 게 없었나보다.

 

본격 고려대박물관 홍보글. 책을 읽는 내내 직접 가서 보고 싶다는 생각을 했다. 이제 뭘 좀 알거 같고 보일 거 같고 말이다.

우리에게 남겨진 문화유산에 과거가 깃들어 있다면, 최첨단의 과학기술을 통해 앞으로의 세상을 엿볼 수 있다. 무엇보다 문화유산 속에는 당대 과학 의 디테일이 숨어 있다. 역사와 과학의 눈으로 문화유산을 바라보고 현대의 첨단기술에 도착할 때, 과거와 현재는 연결되고 우리는 새로운 시공간에서 새로운 질문들을 만날 수 있을 것이다. - P9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