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누가 내게 말해다오. 공중의 달이 뿜어내는 빛과 땅 위의 깨진 유릿조각 위에서 반짝이는 한줄기 빛은 어떻게 다른가? 내 인생의 빛나던 달은 어디로 사라졌는가? 한때 빛나던 것 은 그 자취 흐릿하고 빛 잃은 꿈은 깨진 유릿조각마냥 함부로 나뒹군다. 지상에 술집들이 늘어나는 것은 삶의 덧없음에 실망한 자들을 위로하기 위함이다. 세월이 흐르면서 마부, 굴뚝청소부, 신기료, 문선공, 밀주업자, 신앙촌 간장이니 빨간 내복을 팔던 이들이 감쪽같이 사라졌다. 그새 많은 직업들이 없어졌구나. 나는 더 이상 자살을 꿈꾸지도 않고, 기성 질서를 바꾸고자 무모하게 저항하지도 않는다.” p.50

 

그런 어느 오후 나는 혼자 웃고 있었다.

 

한 문장을 덧붙여 본다. 삶의 덧없음은 일찍이 무수한 작가들과 예술가들뿐만 아니라 모든 사람들이 입을 모아 이야기하던 주제 중에 하나이다. 내세를 믿던, 사후세계를 믿던, 소멸을 하리라 생각하던, 결과적으로 우리는 지금의 삶 말고 어떤 기억도 가질 수 없고, 가진 적 없다. 그렇기 때문에 우리는 어떤 허망한 결말을 항상 마음에 품고 있어야 한다.

 

일찍이 두 편의 긴 에세이를 남긴 전혜린은 죽음의 공포에 대해 이야기 했다. 어째서 아무도 그 이야기를 솔직히 털어놓고 함께 나누지 않는지 한탄했다. 그녀의 산문에는 우울과 죽음이 내리깔린 독일의 풍경이 담겨 있었고, 이는 음습하고 퇴폐적인 어떤 동경을 낳았다. 궁극의 두려움이란 결국 피할 수 없는 것이기 때문에 그녀는 공포에 떠느니 목숨을 끊는 것을 선택했다. 그것이 전혜린의 답이었다.

 

무라카미 하루키는 노르웨이의숲에서 이야기했다. 죽음은 삶의 한 가운데 존재하는 것이라고. 우리는 언제나 죽음의 가능성을 안고 있다. 당장 오늘밤 잠을 자다가 죽을수도, 내일 아침 길을 나서서 죽을 수도 있다. 죽음이란 삶의 끝에 예정된 것이 아니라 어떤 순간에 다가오는 하나의 피할 수 없는 그림자다.

 

또한 죽음이란 절대적인 허무라는 점에서 무엇인가를 영원히 앗아가는 것이다. 기즈키를 잃어버린 나오코와 와타나베는 기즈키가 영원히 가져가버린 무엇이 남긴 상실에 허덕인다. 결국 나오코는 그 상실을 견디지 못해 스스로 목숨을 끊고, 와타나베는 그 둘의 이야기를 홀로 지키는 아무도 오지 않는 박물관을 지키는 관리인이 되어 살아가야만 한다. 그렇다. 와타나베는 새로운 연인 미도리를 통해서 살아가기로 한다.

 

장석주의 에세이는 어딘지 허무의 냄새가 난다. 왜냐하면 그의 말대로 삶의 오후에 다다랐기 때문이다. 아마 삶의 밤이란 심연을 일 터이니 달빛마저 꺼지는 순간이 바로 죽음이 아닐까. 해가 져가고 끝나지 않을 밤이 다가오는 오후에 장석주는 담담히 삶에 대해 이야기 한다. 많은 작가들이 했던 이야기들과 썼던 문장들을 조금쯤 기대어 오후의 감회를 말한다. 우리는 이 산문이 인생의 오후에 쓰였음을 곱씹고, 또 곱씹으며 읽어야 한다. 이 산문에 내리쬐는 빛은 시작의 빛이 아니라 끝에 다가가는 빛이기 때문에.



"오, 누가 내게 말해다오. 공중의 달이 뿜어내는 빛과 땅 위의 깨진 유릿조각 위에서 반짝이는 한줄기 빛은 어떻게 다른가? 내 인생의 빛나던 달은 어디로 사라졌는가? 한때 빛나던 것 은 그 자취 흐릿하고 빛 잃은 꿈은 깨진 유릿조각마냥 함부로 나뒹군다. 지상에 술집들이 늘어나는 것은 삶의 덧없음에 실망한 자들을 위로하기 위함이다. 세월이 흐르면서 마부, 굴뚝청소부, 신기료, 문선공, 밀주업자, 신앙촌 간장이니 빨간 내복을 팔던 이들이 감쪽같이 사라졌다. 그새 많은 직업들이 없어졌구나. 나는 더 이상 자살을 꿈꾸지도 않고, 기성 질서를 바꾸고자 무모하게 저항하지도 않는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