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1 | 2 | 3 | 4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
너의 특별한 점 달곰달곰 4
이달 지음, 이고은 그림, 김성미 꾸밈 / 달달북스 / 2021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세상의 모든 것이 작은 점이 모여 만들어진 거라며 점을 순서대로 연결해 그림을 완성하는 장면이 등장하는 순간 오호 이 그림책 재미있겠다 싶었다. 어릴 적 추억이 새록새록 돋는 점선 잇기 게임. 지금은 Dot 2 Dot라는 모바일게임도 있네요.

 

태어나면 첫 숨이 흩어지지 않고 그대로 몸에 달라붙어 특별한 점이 돼.

클 수도, 작을 수도, 많을 수도, 적을 수도, 동그랄 수도, 삐딱할 수도, 진할 수도 흐릴 수도, 검을 수도, 푸를 수도, 붉을 수도, 흴 수도, 보이는 데 있을 수도, 숨어 있을 수도 있어.

 

점이 없는 사람은 없겠지만 점에 대해 이렇게 진지하게 생각해본 적이 없다. 그리고 모두에게 있는 그 점이 특별한 이유는 바로바로 그 점에 꿈씨가 살고 있기 때문이란다.

 

내 몸에는 어떤 점들이 있을까? 내 몸이지만 내 몸을 자세히 살펴본 적이 있던가? 눈에 띄는 곳 말고 어디에 어떤 모양의 점이 있나?

딸의 왼쪽 손등에는 제법 큰 파란 점이 있다. 일종의 몽고점인데 자라서도 사라지지 않았다. 고등학교를 졸업하면 그 점에 타투를 하겠다더니 뭉게뭉게 구름으로 변신시킨 타투를 했다. 이 책을 읽고 난 후 딸에게 물었다. 그 점이 싫었니? 싫지도 좋지도 않았단다. 이 책이 딸아이가 어릴 때 있었더라면 아주아주 특별한 점이라고 얘기해 줬을 텐데. 삼신할미 버전으로만 얘기해 준 게 아쉽다.

 

나의 꿈씨는 어떤 모습일까?

내가 아기였을 때 나의 꿈씨는 어떤 얘기를 나에게 들려줬을까?

까마득히 잊고 있던 나의 꿈씨는 지금 어디에 있을까?

 

이 책을 읽고 나면 한동안 잊고 살았던 우리들의 꿈씨를 소환하게 될 것이다. 꿈씨의 이야기에 귀 기울이게 될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들어와 들어와 - 모두 하나 되는 마법의 주문 달곰달곰 2
이달 지음, 조옥경 그림, 김성미 꾸밈, 이주성 작곡 / 달달북스 / 2021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들어와 들어와

우리 하나가 돼.

 

여러 재료가 어우러져

김밥이 되고, 샐러드가 되고, 샌드위치가 되고

수박화채가 되고, 꼬치가 되고,

케이크, 떡볶이, 튀김, 만두, 피자가 되는 맛있는 책.

 

라임이 좋아서 리듬을 붙여 노래를 부르게 된다.

들어와 들어와~

 

이것저것 한데 넣어 쓱싹쓱싹 비벼 먹는 비빔밥도 떠오르고

여러 재료를 잘게 다져 넣은 볶음밥도 떠오르고

온 마을 사람들이 하나씩 가져온 재료들을 한 솥에 넣어 끓여 나눠 먹은 [돌멩이 수프]도 생각난다.

 

[아씨방 일곱 동무]의 친구들처럼 요리 속 재료들이 서로 잘났다고 다투는 일은 없을까?

한 가지 요리를 정해서 속 재료들이 자신이 주인공이라고 주장하는 놀이를 해봐도 좋겠다.

 

독후 활동으로 책에 나온 요리를 해 봐도 좋겠고, 모둠원들이 비밀리에 한 가지 재료를 가져와서 즉흥적으로 새로운 들어와요리를 만들어도 재미있겠다.

 

대부분의 요리가 그렇겠지만 여러 가지가 어우러져 하나의 요리가 완성되는 것처럼 우리도 그런 것 같다. 나는 무엇이 어우러져 있을까? 나의 주재료는 무엇이고 부재료는 무엇일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별일 없는 마을에 그냥 웜뱃 달곰달곰 3
이달 지음, 박지영 그림, 김성미 꾸밈 / 달달북스 / 2021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몇 해 전 주목한 뉴스가 있었으니 네모난 똥. 네모난 똥을 누는 동물이 있다는 것이다. 그 이름은 웜뱃. 작지만 통통하고 다부져 보이는 웜뱃.

 

이 그림책은 사실을 바탕으로 하고 있다. 그림책을 읽는 순간 어디선가 읽었던 뉴스인데 하고 검색하게 되었다.

 

1. 웜뱃은 어떻게 정육면체 똥을 누는 걸까

(기사 인용) 오스트레일리아에 사는 유대류인 웜뱃은 조약돌 같은 배설물을 내놓는데 이 가운데 상당수는 주사위처럼 각진 정육면체 꼴이다. 웜뱃의 똥이 특별하게 생겼다는 것은 오래전부터 알려졌지만 어떻게 만들어지는지 알려진 건 최근 일이다. 2018년 패트리샤 양 미국 조지아공대 박사 등 국제연구진은 웜뱃을 해부해 이 배설물이 항문이 사각형이어서가 아니라 큰창자에서 그런 꼴로 만들어진다는 연구 결과를 미국물리학회 연차총회에서 발표했고 연구진은 이 성과로 그해 이그노벨상을 받았다.

https://www.hani.co.kr/arti/animalpeople/ecology_evolution/1080895.html)

 

2. '땅굴 개발업자' 웜뱃이 산불에 지친 호주인을 웃게 했다

(기사 인용) 대규모 산불 사태로 호주 내 수많은 동물이 희생된 가운데, 자신의 땅굴을 다른 동물들과 공유하는 웜뱃의 습성이 알려지며 화제를 모으고 있다. 생태학자들의 기록에 따르면 웜뱃은 자기 굴에 다른 동물이 들어와 사는 것을 개의치 않으며, 이에 따라 산불에 쫓긴 작은 동물들이 웜뱃 굴을 피난처 삼아 죽음을 피할 수 있었다는 것이다.

https://www.khan.co.kr/world/world-general/article/202001151614001?utm_source=urlCopy&utm_medium=social&utm_campaign=sharing

 

 

별일 없는 마을의 웜뱃에게는 어떤 일이 생긴 걸까? 별일 없는 마을에선 그냥 웜뱃일 뿐이었는데 먼 나라 공주님이 올린 사진 덕에 인싸가 돼버린 웜뱃 이야기.

 

먼 나라 공주님의 행동에 대한 비판과 바람직한 행동에 관해 이야기 나누어 볼 수도 있고, 나라면 웜뱃처럼 굴을 파는 대신 어떻게 했을까, 웜뱃이 친절하지 않다고 화를 내는 사람들의 태도에선 친절이란 뭘까에 대해 생각해볼 수 있었다. 별일 없던 날을 그리워하는 웜뱃을 보며 웜뱃이 생각하는 별일 없는 날과 내가 생각하는 별일 없는 날은 무엇이 같고 다를까 생각해봤다. 작은 그림책이지만 현실에 발붙이고 이야기 나눌 수 있는 책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채식 흡혈귀 딩동 생각쏙쏙 마음쑥쑥 시리즈
임정진 지음, 박실비 그림 / 이숲아이 / 2021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흡혈귀 집안에 이백 년에 한 번씩 태어나는 채식 흡혈귀가 태어났어요.

채식 흡혈귀 딩동은 이백서른두 가지나 보통 흡혈귀와 달랐지만, 특별한 아이로 받아들여집니다.

 

아기의 이름을 뭐라 지을까 고민하는 오빠들

1. 우리도 아기 이름을 지어봐요

 

오빠들은 아기의 특이한 점을 수첩에 적어요.

2. 수첩에 어떤 내용을 적었을까요

 

딩동을 위해 즙이 많은 붉은 채소와 과일을 사러 간 오빠들

3. 어떤 과일과 채소들을 사 왔을까요

 

딩동 덕분에 흡혈귀 가족은 피 주스 대신 다양한 맛을 알게 되었어요. <가지가지 붉은 디저트 전문점>도 차렸어요.

4. 가지가지 붉은 디저트 전문점의 메뉴 아이디어를 내보세요.

 

책을 읽고 내가 상상하는 흡혈귀 가족을 그려봐도 재미있을 것 같아요

책 뒤에 아쉽게 탈락한 주인공 후보들(흡혈귀)이 있어요.

탈락한 이유를 짐작해보기, 내가 그리는 흡혈귀 가족도 독후 활동으로 재미있을 것 같습니다. 고학년 친구들과는 다름을 받아들이는 태도를 주제로 다름을 긍정적으로 받아들일 때 일어나는 변화에 관해 이야기 나누어도 좋을듯합니다. 학년과 관계없이 다양한 독후 활동이 가능한 책을 찾으신다면 추천합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호야의 숲속 산책 생각쏙쏙 마음쑥쑥 시리즈
박실비 기획,그림, 임정진 글 / 이숲아이 / 2020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새집으로 이사 오고 나서 처음 맞은 토요일,

아침 식사가 끝나자 호야가 말했어요.

엄마 아빠, 우리 집 뒤쪽에 있는 수에 놀러 가요.”

? 숲에 가자고?”

갑자기 왜 그런 생각을 했어?”

아이에게 숲은 위험해. 해로운 벌레도 있고, 독 있는 식물도 있어.”

깊이 들어가면 길을 잃을 수도 있지.”

 

엄마, 아빠랑 가자

했으면 얼마나 비현실적이었을까? 호야의 부모님은

아주아주 리얼리티 하게

우리 동네 숲이 안전한지 일단 인터넷으로 알아보자.”

엄마 아빠는 노트북과 휴대폰으로 검색하기 시작했어요.

난 이 부분이 정말 정말 마음에 들었다. 리얼다큐를 선호하는 나에게 이 부분은 순도 100% 찐부모의 모습, 아니 현실의 우리이기 때문이다. 짬뽕 한 그릇을 위해서도 인터넷 검색을 하는데 하물며 숲에 간다는데 말할 것도 없지. 첫 부분부터 마음에 드는 전개다.

 

하지만 이 집 호야 또한 얼마나 현실적인가. 기다리다 지쳐 몰래 집 밖을 나와 숲으로 가버린다. 느긋하게 누워 휴대폰으로 검색하는 엄마나, 의자에 앉아 노트북을 두드리는 아빠한테 지긋함을 느끼려는데 우리 호야는 나가버린다. 아 이 얼마나 건강한 아이인가?

언제부터 우리는 행동하기 전에 검색부터 한다. 안전하고 계획적일지 모르지만, 거기엔 우연도 모험도 없다. 낯선 동네 그냥 걷다가 우연히 작고 커피 맛 좋은 카페를 만날 수도 있고, 어느 집 담장을 삐죽이 나온 장미 넝쿨을 만날 수도 있는데 이런 우연 따위는 철저히 봉쇄해 버린다. 어딘가 가자고 하면 검색부터 해대는 통에 진절머리가 나는 무계획적인 나에겐 호야는 건강함 그 자체다. 내 아이면 토닥토닥 칭찬해 줄 테다. 검색 대신 행동을 택한 호야는 나무도, 벌레도, 새소리도, 산딸기 넝쿨도 만난다. 게다가 길 잃은 호야를 위해 캠핑을 제쳐두고 성심껏 집을 찾아 주는 오지랖 넓은 친구들도 만난다. 이 친구들 호야만큼 맘에 든다. 나이가 들수록 왜 이리 오지랖이 넓어질까? 나만 그런가. 20대였다면 창피해서 애써 외면했을 일을 나서서 돕고 싶어 하는 대한민국 50대 아줌마 같다. 이 책엔 건강한 호야와 숲속 친구들이 있다. 지치고 힘든 사람들은 호야와 함께 숲속 산책을 떠나보자. 아이 때로 돌아가도 좋고, 내 아이의 아이 때로 돌아가도 좋다. 책 속에서 만나는 크레파스를 부드럽게 문지른 듯한 숲은 덤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1 | 2 | 3 | 4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