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도에서 온 허왕후, 그 만들어진 신화
이광수 지음 / 푸른역사 / 2017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금생의 천연(天然)은 수로왕의 직성(直星)을 보고 좌우종자기허인(左右從者幾許人;몇사람)과 함께 석주도해시(石舟渡海時)에 신룡부주(神龍負舟)하고 일행만리(日行萬里)라.
기시(其時)에 갈밭속에 영접나온 왕(王)을 만나니, 서기승천 (瑞氣昇天)하는 길기(吉氣)를 보고 식별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인도에서 온 허왕후, 그 만들어진 신화
이광수 지음 / 푸른역사 / 2017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허씨 부인 장자(長子)는 김씨(金氏)요,차자(次子)는 김해 허씨요,기차(其次) 칠자(七子;일
곱 아들)은 만고역사 이래로 처음으로 대성칠불(大聖七佛)이 동방에 탄생하였다.
그 기념으로 칠불암(七佛菴)을 창건하니석불(釋佛)이후에 처음으로 동방에 천하대성 칠불
을 모시는 아담한 대웅전을 세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인도에서 온 허왕후, 그 만들어진 신화
이광수 지음 / 푸른역사 / 2017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만고에 전무후무한 칠불을 이렇게 모시는 나라는 없다. 중국은 유관장 3인(유비, 관우, 장
비 3인)을 불(佛)로 모시고 예불공양하니, 동방의 대성 7불이 중국에 탄생하였으면 천하가
숭배한다.

신룡부주(神龍負舟;신룡이 배를 지고 다니는 것)는 상고의 하후씨 이후에 여러 분이 있고
시금(時今)도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한자가 한글인 萬가지 이유
김진수 지음 / 글모아 / 2014년 5월
평점 :
절판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한자가 한글인 萬가지 이유
김진수 지음 / 글모아 / 2014년 5월
평점 :
절판


복잡한 획수와 점이 소위말해 중국인들도 펜을 들었으 되 글자가생각이 나지 않는다고한다.심지어 간자체로지금도 변형해사용한다.사실 문자사용엔 비효율적이다.
그러나1.한글이전 우리의 언어사용 흐름.
2.본디 초기한자의 뜻을 풀이하는데,
3.우리말 어원이 한자습득에 일종의 어근 vocabulary

댓글(1)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human 2016-10-05 05:54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필요한자는 익히겠다면 우리말 어원으로 익히는
한자 습득을 하면서 우리말어원도 되새길 수 있다.
예를들어 실지 한자를 외울때
하늘 천 땅 지 할때도 천(天), 지(地)를 외울때
우리말 옛고어인 하늘,땅으로 그 뜻을 되내어
외우지 않던가 말이다.
실지 우리말 어원으로 어근으로 놓고다른 연관한자들도
그것으로 연상을 해 비교적 쉽게 외울 수있게된다.
우리말어원으로 한자로 풀지않는다면 옛 초기 한자원형의 본디 뜻을 모르지 않겠는가.그런점에서 본디 우리말어원으로 해석되는 한자를 풀어내는 신해석 작업도 필요하다고 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