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출처 : LoveIt! > 라깡이론의 친절한 안내서
라캉과 정신의학 - 라캉 이론과 임상 분석
브루스 핑크 지음, 맹정현 옮김 / 민음사 / 2002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정신분석가를 위한 정신분석 연구를 진행하며 현대 인문사회과학에 큰 뿌리를 형성한 라깡의 이론을 체계적으로 분석, 정리한 책입니다. 라깡에 대해 무지몽매한 상태에서 접근을 시도했던 저같은 사람에게도 이 책은 차근차근 따라가다보면 책의 말미에선 어느 샌가 이론적 핵심들이 체득되어 있음을 느낄 수 있게 해주었습니다.

분석가가 정신분석의 과정에서 분석주체(환자)에게 어떤 역할을 해야하는가? 라깡의 작업은 분석가를 향한 것이었지만 결국 이 책을 읽어가며 우리에게 유의미하게 던져지고, 우리가 포착해내어, 우리의 것으로 만들게 되는 것은 '인간정신'이란 큰 화두입니다. 상상계, 상징계, 실재계의 강을 건너는 인간 정신 형성의 여정에서 우린 분석주체들에게서 당혹스런, 일반과는 다른 문제들을 목격합니다. 정신병과 신경증의 주체들은 통념과 달리 가엾은 존재들입니다. 또 우리 모두 가엾은 존재의 가능성을 가지고 있다는 것은 그들에 대한 우리의 인식구조를 변화시킵니다. 나아가 데까르트 이후 인간 정신을 괴물처럼 지배해온 주체의 계사 구조, 인간대 대상이라는 인식구조가 우리의 정신을 어떤 방식으로 규정하는지까지 거슬러 올라가 생각할 수 있습니다.

주체는 타자의 욕망을 욕망한다고 합니다. 과연 우리는 주체로 설 수 있을까요? 그의 후기 작업은 우리 모두를 대상으로 하고 있다고 느껴집니다. 우리 모두는 상징계에 얽매여 살아가는 사람들입니다. 그것은 아마 사회성에서 연루된 것일 것입니다. 최초의 언어구조 습득에서 시작하여 사회라는 존재하지 않는 실체가 상징을 만들어내고 우린 상상적 단계에서 '인간 사회'에서 적응해 살아갈 수 있는 '적응된 생물'이 됩니다. 이것은 상징적 체계를 체화해 나가는 과정일 것입니다. 타자의 욕망을 욕망하는 우리에게 가장 일반화된 형태의 타자의 욕망은 '돈'일 것입니다. 돈을 욕망하는 인간들, 무의식에서 충동을 버겁게 억누르며 살아가는 비정상인인 인간 모두들에게 라깡은 인간이 되라고 충고합니다. 어쩌면 우리는 너무 왜곡된 삶을 살고 있는지 모르겠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