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든 것 알이알이 명작그림책 46
쇠렌 린 지음, 한나 바르톨린 그림, 하빈영 옮김 / 현북스 / 2017년 8월
평점 :
절판




 


알이알이 명작그림책 46

(A STORY ABOUT EVERYTHING)


 


글 쇠렌 린 / 그림 한나 바르톨린 / 옮김 하빈영



 


모든 것, EVERYTHING?

우리들이 막연하게 생각하고 있든 '모든 것'에 대해

새로운 접근 방식으로 알려주는 철학 그림책 <모든 것>

쇠렌 린이 쓰고 한나 바르톨린이 그린

<아무 것도 아닌 것>에 이은 두 번째 책이랍니다. ^^




 


책을 좋아하는 오빠를 보면서 덩달아 책 읽기를 좋아하게 된 둘째.

새 책 <모든 것>을 발견하자마자 펼쳐서 읽기 시작하네요.


요즘 한글 공부를 하면서 읽을 수 있는 글자가 늘어나자

스스로 책을 읽으려고 노력하고 있는 둘째.

가까이 다가온 막내에게 더듬더듬 책을 읽어주었답니다. 



 

 


오래전, '모든 것'은 빽빽하고 단단한 하나의 덩어리였으나

지금은 수많은 것들이 제각각 고유한 이름을 가지고 세상에 존재해요.




 

 


일일이 다 열거하기 어려운 '모든 것'은

날마다 조금씩 많아져요. 아주아주 많아서 가득하더라도

더 많은 것들이 있을 공간이 존재하죠.




만질 수 없거나 볼 수 없어도,

더러운 양말 냄새도 모든 것일 수 있어요.

하나라도 빼고 나면 모든 것이라고 할 수 없죠.




모든 것은 색깔을 바꾸기도 해요.

슬플 때엔 모든 것이 시커멓게 보이지만

행복할 때는 모든 것이 장밋빛으로 보이죠.


 

즉, 사람의 감정과 기분에 따라

모든 것은 색깔을 바꾸기도 한다는 것!


 같은 상황, 같은 모습이어도 보는 사람의 시각에 따라 달라 보이며

다르게 느껴질 수도 있음을, 색과 구도를 사용해

감각적으로 그려내면서 보여주고 있어 아이들이 자연스레 이해할 수 있어요.




만약에 모든 것을 커다란 병 속에 넣다가

겉에 살짝 얼룩이 생긴다면....

모든 것이 병 속에 들어 있다고 할 수 있을까?


 

만질 수 없거나 볼 수 없다고, 아니면 사소한 것이라고 그것들을 제외하면

 '모든 것'이라고 할 수 없다는 철학적 사고를 '모든 것'을 병 속에 넣는다는

구체적인 상황을 예시로 들어 쉽게 설명해 주고 있어요.




 

 


알이알이 명작 그림책 <모든 것>을 읽고 독후 활동으로 

'모든 것'에는 이러 이러한 것들이 있다고

예시를 들어 설명한 많은 단어 중 모르는 단어를 찾아

뜻을 검색해서 써 보았어요.


참 많은 단어들이 나열되어 있었는데..

 그중 어는점, 십자수, 석고 단어를 찾아 뜻을 적었답니다.



 


 


사실... <모든 것>은 모든 것에 대한 이야기를 철학적으로 그리고 있어

처음 읽었을 때는 이게 뭐지? 무슨 내용이지? 하고 싶은 이야기가 뭐지?

하고 내용을 잘 이해 못했어요.

 하지만, 그럼에도 아이들과 계속 읽고, 또 읽어 보니

차츰... 작가가 무엇을 이야기하고자 하는지 알겠더라고요.


 

 <모든 것>은 '모든 것'은 어디에나 있으며,

'아무것도 아닌 것'도 모든 것이니

 '모든 것'은 누구라도 볼 수 있음을 보여 주는 철학 그림책이랍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