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사라는 참을 수 없는 농담 - 짧지만 우아하게 46억 년을 말하는 법
알렉산더 폰 쇤부르크 지음, 이상희 옮김 / 추수밭(청림출판) / 2017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세계사라는 참을 수 없는 농담



알렉산더 폰 쇤부르크 지음 / 이상희 옮김



 

<세계사라는 참을 수 없는 농담>은 역사, 세계사 책이라면

응당 있어야 하는 그림도, 연표도 지도도 없고,

또, 수많은 이름과 사건, 날짜도 빠져있어요.


사실 역사나 세계사를 공부하는 것이 어려운 이유 중 하나가

시대순으로, 사건 순으로, 그림이나 연표를 보면서

사건의 이름이나 날짜를 기억하고 암기해야 하기 때문이었는데...

<세계사라는 참을 수 없는 농담>에는 오직 텍스트만 있을 뿐이죠.


왜냐하면 전투나 혁명이 언제 일어났는지,

 지배자의 이름이 무엇이었는지는 중요하지 않고, 

역사를 살펴보면서 우리에게 던지는 질문들,

또 당시 사람들이 던졌던 질문에 대한 대답이 지금 우리들에게 중요하기 때문이랍니다.




 

 

 


<세계사라는 참을 수 없는 농담>의 1장 '단숨에 살펴보는 46억 년의 이야기'는

마음 급한 독자들을 위해 속성 코스...

인류 역사의 가장 중요한 사건, 주요 도시 발전을 통한 세계사,

역사를 만든 영웅들, 역사를 바꾼 중요한 사상 및 예술작품,

혁명적인 발명품, 악당과 세계를 바꾼 말, 세계의 종말에 관한 것까지

각 장마다 전체적인 내용을 다루지만 서로 다른 관점에서 세계사를 다루고 있어요.


 


 

 

 

"역사란 누가 어디서 무엇을 이야기하는지가 무엇보다 중요하다."

그래서 저자는 유럽의 관점에서 역사를 서술하고 있답니다.


왜 중국은 호주를 발견했지만 정복할 생각이 없었을까?

왜 유럽이 아메리카를 '발견'했고, 그 반대의 일은 벌어지지 않았을까?

왜 마야족은 유럽으로 아니면 남아메리카로 정복을 떠나지 않았을까? 등

지극히 유럽적인 관점에서 백인이 피부색이 다른 사람, 자연, 동물,

 생명체 전체를 다루는 방식을 설명하고 있어요. 


 



 

 



제가 좀 역사 및 세계사라는 과목에 취약해서

책에서 설명하고 있는 것들을 완전히 이해할 수는 없었어요.

그래도 '우리는 왜 여전히 대악당들에게 끌리는지'

‘왜 근대 이후 서양이 세계를 장악하게 되었는지' 등은

집중해서 차근차근 읽게 되더라고요. ^^

 




 

 

 


 

그 중 가장 재미있게 읽었던 부분은 닫는 글을 대신해

'꾸준히 잘못된 내용으로 전해지고 있는 이야기들'을 다룬 부분이에요.


독일의 고속도로 아우토반을 최초로 건설한 이는 히틀러다.

아인슈타인은 수학을 못했다.

옛사람들은 지구가 평평하다고 믿었다.

후아나는 미친 여자였다.

카마수트라는 섹스 교과서다.

식인종들은 사람을 냄비에 넣고 끓여 먹었다.

미국을 처음 발견한 사람은 콜럼버스다.

마리 앙투아네트는 "그럼 케이크를 먹으라 하세요"라고 했다.
해적은 바다의 도적떼였다.

미국 남북전쟁은 노예해방전쟁이었다.

타이타닉호는 속도 신기록을 세우려 했다. 등


 

오해에서 비롯된 것들도 있고,

선전을 위해 의도적으로 조작된 것들도 있는데

이런 것들에 의문을 가지고, 다양한 질문하기를 시도하도록

끊임없이 자신을 훈련해야 한답니다.



 


 


 

<세계사라는 참을 수 없는 농담>에서는 지식인으로서 시리아 난민과 트럼프 시대의 개막,

 게놈 프로젝트와 인공지능 등의 이슈들을 역사에 비추어 바라보며

 습관처럼 반복하지만 그다지 나아지지 않는 것 같은

인류사의 고민들을 하나하나 되짚어보고 있어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