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꿈이 없다고 말하는 그대에게 - 변두리 공장에서 우주까지 "가무이 로켓" 꿈 특강
우에마쓰 쓰토무 지음, 최려진 옮김 / 마일스톤 / 2016년 8월
평점 :
절판
Dream can do,
Reality can do.
꿈 꿀 수 있다면,
이룰 수 있다.
내가 아이들에게 잔소리 하면서
무의식으로 한 부정적인 생각과 부정적인 말들이 부끄럽게 느껴지도록 만드는 책이다.
모두가 힘들것이라고, 안될거라고, 쓸데없는 짓을 한다고 비난하고 부정했지만
끝까지 포기하지 않고 자신이 좋아하는 일을 향해 나간 결과
아카비라라는 마을에서 로켓을 만드는 작은 공장을 운영하는 지은이.
전 세계 단 세 곳 밖에 없는 무중력실험탑을 있어 일본우주항공연구개발기구가 1년 중 3분의 1정도는 실험하러 찾아가는 지은이네 공장.
솔직히 우주관련 일을 한다면 엄청난 비용이 들고, 수 많은 전문인력이 필요할 것이라는 생각하는데
이 공장은 종업원수 20명도 안되고, 대학교에서 우주에 대해 공부한 적이 없는 사람들로 이루어져 있다고 하니 더욱 대단하다는 생각이든다.
로켓과 비행기를 좋아하는 지은의 열정과 주위의 비난과 모욕에도 좋아하는 일을 포기하지 않은 결과라고 생각한다.
일반인들 누구나 공장을 방문하여 실제 로켓을 만들고, 발사해 볼 수 있다고 하니
일본여행을 간다면 홋카이도 아카비라 라는 마을을 꼭 방문해 보고 싶은 생각도 들었다. ^^
실패 했을 때 '그럴 줄 알았어', '처음부터 안된다고 했잖아','어차피 안 돼"라는 부정적일 말보다
" 왜 이렇게 됐을까?
그럼 다음에는 이렇게 해 보면 어떨까? "
이 두마디의 말을 해보자. 그럼 그 아이는 실패를 자기 잘못이라고 자책하면서 자존감이 점점 낮아지는 것이 아니라
이것을 경험 삼아 더 나은 결과를 위해 열심히 노력할 것이다.
그 동안 실수를 하거나 말을 잘못했을 때, 내 자신을 책망하는 경우가 많았고,
또, 아이들이 사소한 잘못 하나하나에
"어휴~~ 왜그러니?"라는 한숨 섞인 말을 많이 했는데....
이러한 부정적인 생각과 말부터 고쳐야겠다.

"나중에 뭐가 되고 싶니?"가 아닌 "나중에 뭘 하고 싶니?"라고 물어보라!!
의사가 되고 싶은 것은 외길이지만 '사람의 생명을 구하는 일을 하고 싶다'는 건 꼭 의사가 아니더라도 의료기기, 의료용 헬기, 소방차, 구급차를 만드는 것도, 건강에 좋은 음식을 개발하거나 안전한 자동차를 만드는 것도 사람의 생명을 구할 수 있으니 무수히 많은 길이 있는 것이다.
꼭 기억해야겠다. 아이들의 장래희망을 물을 때 무의식적으로
'나중에 뭐가 되고 싶어?"라고 물음으로써
딱 정해진 한가지 직업을 대답하게 하고, '대통령' '우주비행사' 이런 답을 하는 아이들에겐
마음속으로나마 '힘들지 않을까?"라는 부정적인 생각을 했던게 미안해진다.
" 앞으로 만나는 사람마다 '꿈과 희망을 안겨 줄' 필요는 없다.
꿈과 희망을 그저 빼앗지만 않으면 된다.
포기하는 법을 가르치지만 않으면 된다. "
아이들에게 습관적으로 '안돼','하지마' 이런 부정적인 말을 많이 하는데,
이런 부정적인 말보다 아이들의 꿈과 생각을 존중해 주고,
도움을 줄 수 있는 그런 말들을 많이 해 주어야겠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