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진애의 도시 이야기 - 12가지 '도시적' 콘셉트 김진애의 도시 3부작 1
김진애 지음 / 다산초당(다산북스) / 2019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김진애의 도시 이야기/김진애/다산초당

서울대 공대 동기생 중 유일한 여학생,

도시건축가, 기획자, 편집자이자 발행인,

<타임>지 선정 '차세대 리더 100인' 중 유일한 한국인,

자문 건대통령설·건축문화선진화위원회 위원장,

국회의원, 베스트셀러 작가

타이틀이 참 많은 김진애 박사.

(물론 나는 처음 듣는 이름이지만 ㅡ.ㅡ;;;)

 

<김진애의 도시 이야기>

<도시의 숲에서 인간을 발견하다>

<우리 도시 예찬>

도시 3부작을 출간했다.

 

 

 

 

첫 번 권 <김진애의 도시 이야기>는

도시 3부작의 바탕에 깔린 주제 의식을

12가지 '도시적' 콘셉트로 풀어놓은 책이다.

 

익명성

권력과 권위

기억과 기록

알므로 예찬

대비로 통찰

스토리텔링

코팅과 디코딩

욕망과 탐욕

부패에의 유혹

이상해하는 능력

돈과 표

진화와 돌연변이

 

도시에만 적용되는 뭔가 특별하고

전문적인 용어들이 아니다.

우리가 많이 들어왔던 단어들이다.

 

이는 인간 사회의 가장 적나라한 모습이

모여있는 공간이 도시이고,

도시 공간이 우리 삶에 큰 영향을

미치기 때문이라는 작가의 생각이 고스란히

반영된 것이라 할 수 있다.

 

 

 

 

 

내가 예상했던 내용의 책이 아니어서

읽기 초반 책에 대한 흥미가 조금 떨어졌었다.

그리고 전반적인 내용을 이해하면서 읽기엔

도시, 공간, 건축에 대한 나의 배경지식이

매우 얕다는 취약점 때문에

다소 읽기 어려웠던 것도 사실이다.

 

하지만 내가 하루하루 생활하는

'나의 도시' 자체와 도시 공간, 도시 생활,

도시 삶에 대해 새로운 시각을 가질 수 있게 해 준 책이기는 하다. ^^

 

 

 

 

피렌체 두오모와 바티칸 산피에트로대성당에 이르는 '길'과 '광장'

권력자들이 남긴 대표 공간들

1가구 1주택과 주택 보급률의 양극화

<영화 1987>에 나온 남영동 대공분실 등

 

콘셉트마다 설명된 요 짜투리(?) 내용이

나에겐 더 흥미로웠다.

왜? 내가 알고 있는 공간과 도시에 대한

뒷담화 같은 내용이어서 더 오랫동안

기억에 남아있기 때문이다. ^^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