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런저런 집 짓다 시리즈 3
신현수 지음, 노준구 그림, 김태훈 감수 / 상상의집 / 2018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짓다 ③

이런저런 집


글 신현수 / 그림 노준구 / 감수 김태훈




옷, 밥, 집 등 인간이 의식주를 지을 때

일어났던 온갖 재미있는 이야기를 모아 만든 상상의집 '짓다' 시리즈!! 

<이런저런 옷>, 이런저런 맛>에 이은 세 번째

<이런저런 집>이 새로 출간되었어요.

<이런저런 옷>과 <이런저런 맛>을 재미있고 유익하게 읽었던지라

<이런저런 집> 역시 기대를 저버리지 않네요. ^^



 


큰형, 작은형, 큰누나, 작은누나 등 대가족과 함께 사는 케빈.

막내라는 이유로 자기가 하지도 않은 일들에 대해 온갖 구박을 당하네요.

가족들이 모두 없어졌으면 좋겠다는 소원이 이루어져

혼자만의 시간을 잘 보낸 것도 잠시.

가족들이 없으니 무섭고, 도둑들이 들어올 것 같아요.



 


급한 마음에 산타 할아버지께 도와달라고 외쳤더니..

이게 웬일인가요? 정말 산타 할아버지가 쌩~~하고 나타났어요.

그리고 세계의 여러 집을 돌아다니면서

크리스마스 선물을 전달해 달라고까지 하네요.


 

일곱 개의 열쇠를 가지고 산타 할아버지와 선물 배달에 나선 케빈.

과연 어느 집에 선물을 배달하게 될까요?



 

 

 

 

<이런저런 집>의 케빈과 산타 할아버지는

생존을 위한 집 / 자연환경에 맞춘 집

신분의 상징, 화려한 집 / 아픈 역사를 담은 집

따로 또 함께 사는 집 / 높이 더 높이 하늘 향해 솟은 집

환경과 미래를 생각하는 집

이렇게 일곱 개의 테마로 나누어진 집들을 방문하면서

각 시대별 집의 특징과 집의 재료, 집의 역사 등에 대해 알아본답니다.





 

 

생존을 위한 집

인류 맨 처음 집인 구석기 시대 동굴과 이동하는 막집 게르, 티피부터

신석기 시대의 움집, 흙벽돌집까지

사람들이 이런저런 집을 짓고 살 수밖에 없었던 이유를

그 시대 사람들의 생활 모습과 더불이 자세히 설명해 주고 있어요.





 


그중 하란의 아주 독특한 모양의 흙벽돌집 사진이 가장 인상적이었어요.

자연적으로 여름에는 태양열을 분산시켜 시원하고,

겨울에는 햇빛을 저장해주어 따뜻하다고 하니

생활에서 얻은 지혜가 고스란히 녹아 있는 모습이죠?



 

 


자연환경에 맞춘 집

역시 제일 먼저 떠오른 건 이글루와 수상가옥.

역시나 그에 대한 설명부터 시작되네요.


이글루는 칼로 눈덩이를 잘라 완성까지

 2시간 밖에 걸리지 않는다고 하네요. 아웃!

또, 마사이족의 쇠똥집, 습한 열대 지역의 수상 가옥,

땅바닥에서 2~3M 높이 올려 짓는 고상 가옥,

 일본의 갓쇼즈쿠리, 그리스의 산토리니 섬에 있는 집 등

살고 있는 곳의 자연환경에 맞추어 참 다양한 형태의 집들이 만들어지고 있죠?


그에 반해 지금 우리나라를 보면....

획일적인 모양의 아파트 위주라... 뭔가 아쉬운 느낌이 들기도 해요.



 


하지만 우리의 '한옥' 역시 자연환경에 맞춘

아주 훌륭한 집이란 사실을 잊으면 안 돼요.


자연에서 얻을 수 있는 나무, 짚, 흙, 돌을 재료로

환경에 맞춰 산골사는 사람들은 너와집을,

제주도는 투막집을 지었답니다.



 

 


먹고사는 것이 해결되면 사람들은 자신의 부나 권력을 자랑하고 싶어 하죠~

로마 귀족이나 이탈리아의 상인들은 집을 의리의리하게 짓고

화려한 것들을 이용하여 꾸미기도 했어요.

조선 후기 돈 많은 양반들이 99칸의 집을 지어

자신의 부를 과시했다고 하니... 쩝....


예나 지금이나 돈 많은 거 자랑하고 싶어 하는 사람의 심리는 똑같나 봐요.




 

 


반면 아픔을 지닌 집들도 있어요.

로마 제국에 의해 위협을 당한 터키의 기독교인들은

카파도키아의 바위에 집을 만들어 숨어 살기도 하고,

'데리쿠유'라고 땅속에 거대한 지하 도시를 만들어 살기도 했어요.

 

 

 



1996년 유네스코 세계 문화유산으로 지정된 트롤로와

일제 강점기의 문화주택도 아픈 역사를 지니고 있어요.



 


2018년 현재 세계에서 제일 높은 빌딩은?

바로 아랍 에미리트 두바이에 있는 '부르즈 할리파'에요.

국력을 과시하기 위해 마천루(하늘에 닿은 집) 경쟁을 하고 있는 여러 나라들.

우리나라도 예외는 아니랍니다.

타워팰리스, 부산 해운대의 두산위브더제니스, 롯데월드타워 등

마천루 경쟁을 하고 있어요.


 

우리나라에서 가장 높은 롯데월드타워의

지상 123층에서 아래를 내려다보면 느낌이 어떨까요?

전 생각만 해도 아찔해요.

최대한 땅과 가까이 있는 게 좋은 건...

제가 나이가 많아서 그러걸까요? ㅋㅋ



 

 

 

 

마지막으로 환경과 미래를 생각하는 집들에 대해 알아보았어요.

태양 에너지 등 신재생에너지를 사용한 집,

팍팍한 도시 생활 대신 평화로운 전원생활을 선택한 전원주택,

1인 가구를 위한 초소형 주택과 땅콩집까지...

현재 많이 만들고 있는 여러 집들의 이야기가 실려 있답니다.




 


<이런저런 집> 각 장의 마지막에선

그 주제와 관련해 생각해 볼거리가 실려 있어요.


대도시 집값 문제, 새집 증후군 문제. 주거권 문제 등

여러 가지 사회적 이슈를 다루고 있어

아이들과 읽어보고 이야기를 나누어 보면 좋을 거 같아요.

 

 

 

 

웃음의 집, 눈물의 집, 도전의 집

사연이 있는 세계 집은 다 모였다!


살아가는 생활 방식에 따른 집, 과시를 위한 집,

아픔의 역사를 지닌 집 등 집에 대한 다양한 역사와 특징을 알 수 있는

상상의집 짓다 시리즈 세 번째 <이런저런 집>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