살갗 아래 - 세상에서 가장 아름다운 몸에 관한 에세이
토머스 린치 외 지음, 김소정 옮김 / 아날로그(글담) / 2020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 글에는 스포일러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살갗아래(Beneath the Skin) 이란 제목은 왠지 끌린다.

제목을 빨간색으로 써놔서 더욱 그건거 같기도 하다.

사실 책을 처음 마주하였을때, 제목 뿐 아니라 정성들여 준비한듯 보이는 센스있는 도서의 표지도 보는 즐거움과

소장의 즐거움을 듬뿍 선사해 준다.


일단 그동안 그 어떤 책에서 우리 몸의 구석구석에 대해 이렇게 스토리를 가지고 기술한 적이 있었나 싶다.

살갗아래에서는 유명 작가 15인의 개인적인 경험담에서부터 몸의 각 부위에 대한 고찰, 그리고 역사적 문학적 관점에서 몸의 특정 기관에 대한 이미지 등에 대해 이야기를 이끌어 나가고 있다. 



특히 아래와 같이 '들어가며' 란을 통해 책에 대해 그리고 주제에 대해 작가가 간결히 정리한 글을 꼭 읽는데,

사람들은 자기 몸에 관해 얼마나 자주 깊게 생각할까? 라는 글을 보고 정말 와닿았다.

내가 건강할때나 아플때 말고 내 몸에 대해 문제가 발생했던 장기를 제외하고,

나머지 구성요소들에 대해 얼마나 진지하게 생각해보고 스토리를 가져보았는가를 생각해보면, 거의 제로였던 것 같다.

즉, 아파서 병원에 가기 전에는 존재감도 미미하고 언제나 건강할 것만 같았던, 눈에 보이는 장기 혹은 눈에 보이지 않는

면역 같은 신체의 메커니즘 등에 대해 아프기 시작하면서부터 한번씩 고민해 보게 되는 이 시점이 되어서야

비로소 나의 몸에 대한 관심을 갖기 시작하게 되는 것에 되는 것이 한심하게까지 느껴졌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100세 인생이라는 요즘 시대에 지금이라도 관심을 가지게 된것에 대해 한편으로는

감사해야 할 것만 같다.

 


 


책에서는 15명의 작가가 그들의 개성에 맞춰 멋진 15개의 장기에 대해 스토리를 풀어나가고 있는데,

난 그중에서 창자와 코에 대한  insight  가 나름 신선하고 읽는데 재미가 있었다. 


창자를 글로 읽을 줄 누가 알았겠는가...
나오미 앨더먼이 풀어내는 창자에 대한 스토리는 매우 흥미롭다.
입부터 항문까지의 역할을 설명하며, 아이러니한 이 둘의 역할에 대해 비교를 해주는 글을 읽노라면
마치 내가 왜 내 몸안에 있는 이런 환상적인 시스템에 대한 고찰이 없었을까 하는 아쉬움이 생길 정도다.
장의 한쪽 끝에서 여러가지 다른 즐거움을 만끽하는 입과 그 반대쪽끝의 항문의 역할에 따른 즐거움은
생물학의 지독한 농담이라고 까지 하는 글쓴이의 견해에 어찌  적극 공감하지 않을 수 있을까.



 

창자에 이어 코에 대한 A.L 케네디의 글 역시 내가 그동안 놓치고 있었던 코의 기능,

그리고 추억에 대한 매개체로서의 역할 등에 대해 다시금 코에 대해 생각해보게 되는 글이었다.

숨 쉬는 것 이상의 다양한 역할을 수행하는 코에 대한 고찰을 통해 다시금 거울에 비치는

내 코를 한동안 바라보니 새삼 "코" 에 대한 애정이 샘솟기도 하였던 것 같다.


 

 

몸의 각 부분들에 대해 스토리를 풀어나가는 것 이상으로 의미부여 그리고

이들을 풀어나가는 데 있어 시적인 표현들을 보고 있노라면, 이 책이 좀 더 일찍 나왔어야 한다는 생각이 들 정도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