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나는 빠리의 택시운전사
홍세화 지음 / 창비 / 1995년 3월
평점 :
구판절판
지은이는..
어떤 사건에 의해('남민전 사건'이라고 하는데.. 그 사건이 어떤 사건인지는 잘 모르겠습니다)
귀국하지 못하고 택시운전을 하며 살아가는 에피소드를 적은 책입니다.
이 택시운전사의 생활을 통해 프랑스라는 국가와 프랑스인들에 대해 아주.. 아주.. 간접적으로 이해를 할 수 있었습니다.
가장 크게 느낀 점은..
책을 마무리 하는 마지막 부분인데...
여러 회원분들도 그 부분에 많은 감흥을 받으셨더군요.
정리하는 부분에 나온 이 마지막 표현이 책을 통해 이야기 하고 싶은 가장 핵심이 아니었나 생각됩니다.
한국의 사회는 흔히들 '정(情)'이라는 것이 사회의 근간을 이루는 사회라고 한다면..
프랑스는 '똘레랑스'가 우리의 정을 대신한다고 할 수 있다고 합니다.
똘레랑스란..
다른사람이 생각하고 행동하는 방식의 자유 및 다른 사람의 정치적.종교적 의견의 자유에 대한 존중을 뜻합니다.
'당신의 정치적/종교적 신념과 행동이 존중받기 바란다면 우선 남의 정치적/종교적 신념과 행동을 존중하라'
이것이 바로 똘레랑스의 출발점이라고 합니다.
이웃나라이면서도 많이 다른 독일과 적절하게 비교해 가면서..
이 생소한 개념의 똘레랑스에 대해 자세히 설명해주고 있는데...
우리도 받아들여야 할 것은 받아들여야 한다는 생각하게 하네요.
* 똘레랑스의 문화를 통해 프랑스의 권력은 사회와 역사에 대해 강한 책임을 가집니다.
* 이에 반해 한국의 사회는 현대사가 증명하듯이 역사에 대해서나 사회에 대해서 전혀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또 국민들도 쉽게 잊고 용서한다는 것. 이게 두 나라의 결정적인 차이점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