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방인 민음사 세계문학전집 266
알베르 카뮈 지음, 김화영 옮김 / 민음사 / 2011년 3월
평점 :
구판절판


위대한 문학이라 불리우는 작품들은 대체 어떤 특성들을 가져야 하는 걸까? 일반인들에게는 난해하고 지루하며 복잡하여 알 수 없는 모호한 특징이 느껴져야, "적어도 이 정도 난해함은 가져야 문학걸작이지, 암 그렇고 말고"라는 말을 듣게 되는 걸까? 소위 먹물 꽤나 먹은 식자층들에게만 출입이 허용되고 일반인들을 동경어린 눈으로 담너머에서 기웃기웃거리는 그들의 사유지일지도 모른다는 생각을 했다. 


국가와 인종을 초월한 전 세계인들이 모두 공감하는 건 너무나 대중적이고 싸구려같아서 노벨문학상이라는 타이틀을 거머쥘 수 없는 걸까? 아니다. 그런 작품이 있긴 있지. 하지만 모든 작품들이 다 그렇지는 않지 않은가? 많은 대중들이 고전, 세계문학에 대해 이런 선입견이 가지고 있지 않은가? 이 마저도 부정한다면 현실감을 의심해봐야겠지. 어쨌든 <이방인>을 다 읽고 나서 든 생각은 어려운 문학작품을 읽을 때마다 생각났던 그 질문을 다시 떠올리게 했다. 


포털 사이트에 카뮈의 <이방인>을 검색어를 입력하면, <이방인>에 대한 리뷰와 함께 번역논쟁에 대한 많은 검색결과가 나오는데 의외였다. 불문학의 권위자인 김화영 교수가 쓴 <이방인>이 오역이 많아 '우리가 읽은 <이방인>은 카뮈의 <이방인>이 아니다'라는 도발적인 표지를 담은 새움 출판사간의 공방과 사람들의 편가르기가 낯설다. 오히려 웃긴다. 번역이란 자체가 원문을 온전히 담아 낼 수 없는 한계를 가진 태생적 문학임을 어쩔 수 없을 뿐인데... 역시나 결국은 알량한 인간들의 밥그릇 싸움일 뿐이다. 적어도 난 그렇게 본다.


그럼 책 이야기를 해보도록 하자.

총 2부로 나뉘어 이야기되는 짧은 소설 <이방인>은 지극히 냉소적인 아니 일상의 모든 것을 무덤덤하게 느끼는 한 사내의 이야기다. 카뮈가 이 소설을 통해 어떤 주제를 드러내고 싶었는가를 나 혼자의 힘으로 발견하기는 무리였다. 소설을 다 읽고 난 후, 작품 해설집을 통해서야 그 의미를 알 수 있었다. 내가 읽었던 대개의 고전 문학작품들이 다 그랬듯이...


어머니의 부고소식을 받는 것으로 이야기는 시작되고, 주인공은 어머니가 말년에 기거했던 요양원에 상을 치르기 위해 다녀온다. 이후 옛 직장 동료와의 밀회를 나누고 이웃 친구와 해변으로 놀러갔다가 우발적인 살인을 하게 된다. 그리고 살인에 대한 재판이 진행되는데 주인공에게는 사형이 선고된다. 무미건조함이 느껴지는 이 이야기가 <이방인>의 줄거리다.


어머니 죽음도 그렇고, 자신과 왜 결혼하고 싶으냐는 애인의 질문도 그렇고, 주인공 뫼르소는 자기 감정을 극적으로 표현하지 않는다. 세상 모든 일에 무덤덤하다. 그런 뫼르소의 모습이 사회화 된 사람들에게는 정나미 떨어지는 일일수도 한편으로는 허무주의자처럼 보일 수 있게 한다. 적어도 1부에서 뫼로소는 그렇게 묘사된다. 뫼르소의 이런 특징은 <달과 6펜스>에 나오는 주인공을 스트릭랜드를 연상케했다.


시시껄렁한 이야기로 1부가 지나고 나자 2부에서는 살인에 대한 뫼로소의 재판과정을 다룬다. 재판과정에서 1부에서 보여준 뫼르소 태도들이 판결에 불리하도록 흘러간다. 하지만 뫼르소는 자신의 솔직한 감정을 적극적으로 항변하기는 커녕 이 역시 무덤덤하게 받아들인다. 심지어 나중에는 귀찮아하기까지 한다. 결국 뫼로스의 이런 태도는 세상사람들로 하여금 사형이라는 판결에 이르게 한다. 


네이버캐스트의 해설에 의하면 카뮈는 어머니의 죽음과, 아랍인의 죽음, 뫼르소에게 선고된 죽음을 통해 인간의 실존에 대한 질문을 던지려 했다고 한다. 주인공의 거짓없는 자기 드러내기를 통해 카뮈는 인간의 삶에서 이방인이었던 인간 존재가 부조리를 자작하도록 이끌어 낸다고 적혀 있다.


아니, 이게 무슨 개소린가?


20세기의 지성이자 실존주의의 대표라고 불리우는 작가 카뮈의 대표작 <이방인>에게 이런 작가의 의도가 숨어 있었다니... 현실에서 소외되어 이방인으로 살아가는 현대인의 초상이라는 책 표지 타이틀에는 아무래도 수긍이 가질 않는다. 

아니 못했다라는 표현이 더 정확하겠지.


하지만 아무리 그래도 그렇지.

나 혼자서는 전문가적 수준까지는 아니더라도 적어도 작가가 어떤 말을 하고 싶겠구나라는 지레짐작은 가야 할 것이 아닌가? 대체 얼마나 더 지식수준이 올라가야 읽으면서 작가가 의도한 상징성을 해석해 낼 수 있단 말인가?' 


'정말 짜증나는구만'


순수한 등반을 즐기는 게 아니라 산을 탄다면 적어도 이 산은 꼭 올라가야 대화에 낄 수 있다라는 의무감에서 읽은 듯 한 느낌을 지울 수가 없다. 한편으로는 내 자신의 저질스럽게 낮은 지력이 더 아쉽고.


<이방인>을 읽으면서 카뮈가 실존주의에 대해 그 무엇을 말하려 했는지는 몰라도, 적어도 문학의 즐거움은 커녕 화딱지를 일게 한 책의 고리타분함은 확실히 느꼈다. 리뷰라는 이름으로 이런 글을 쓴다는 자체가 쓰레기가 아닌가 싶기도 하고, 이 글을 쓰려고 몇날 몇일을 투여한 시간이 아깝기도 하고...


여러모로 젠장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