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버드 글쓰기 강의 - 30년 경력 명강사가 말하는 소통의 비밀
바버라 베이그 지음, 박병화 옮김 / 에쎄 / 2011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카톡 그룹창에 <하버드 글쓰기>라는 책의 유용성에 대해 말한 적이 있었는데 그때는 책의 1/3 정도를 보고 있었던 때였다. 하지만 독자와의 소통을 제외한 나머지 후반부를 읽을 때는 처음에 느낀 유익성은 온데간데 없고 지루함과 싸워야 했던 시간이었음을 고백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하버드 글쓰기>는 시들해졌던 모닝페이지를 다시 시작해야겠다라는 강한 결심을 다시 해주게 했을 뿐만 아니라 나만의 글쓰기 활동 로켓을 쏘아올리게 하는 결실을 만들어 주었다.나의 결심을 상기시켜준 강력한 한 문장은, <이 모든 글쓰기 행위는 배워나가는 과정일 뿐>이라는 것이다.


<하버드 글쓰기>는 <아티스트 웨이>, <뼛속까지 써라>를 비롯한 다른 글쓰기 책보다 더 친절하고 자세하게 적혀져 있다. 심지어 짜증이 날정도로 자세하게 연습과제까지 적혀져 있다. 선생님이 이야기 하는 예술적 자아라는 부분을 <아티스트 웨이>나 <뼛속까지 써라>에서 말하는 것처럼 중요하게 생각하고 있으며 이는 반드시 필수적인 부분이라고 이야기 한다.


다른 점이 있다면 앞서 말한 두 책보다 더 자세하고 단계적으로 차근차근 설명해준다는 점이 다르다. <하버드 글쓰기>가 J형 언어로 이야기 하고 있다면 <아티스트 웨이>와 <뼛속까지 써라>는 P형 언어로 이야기 한다는 점이 다르다. 


<하버드 글쓰기>의 초반은 예술적 자아에 대해 이야기 한다. 왜 필요한지 그리고 예술적 자아의 글쓰기 단계는 어떻게 진행되는지, 그리고 어떻게 활용할 수 있는지를 친절하고 자세하게 설명한다.

예술적 자아를 전반부에 이야기 했으니 후반부에는 비평적 자아가 나올 것 같았지만 <하버드 글쓰기>는 다른 이야기를 한다. 역량과 독자와의 소통, 의무적 글쓰기 등등이 있었는데, 그 중에서 독자와의 소통이 가장 인상적이고 기억에 남는다. 이 부분은 글쓰기 수업에서 느꼈던 <컨셉력>과 일맥상통한다는 느낌이 들었다.


내가 하고픈 말이 무엇인가를 명확히 하는 것. 그리고 그것을 독자에게 어떻게 전달할 것인가에 대한 내용인데 이 모든 것은 대상이 정해져 있다는 것이고 대상을 위한 일이라는 사실에 의미가 있다고 생각한다. 나 자신을 위한 글쓰기가 아닌 다음에야 말이다. 특히나 책 출간을 목적으로 두었다면 더욱 더 말할 것도 없고.


세 권의 글쓰기 책에는 글쓰기를 단 번에 잘 할 수 있는 마법의 주문같은 것은 담겨있지 않다. 모닝페이지든 프리라이팅이건 어떻게 부르건 간에 꾸준히 글을 쓰면서 자신이 무엇을 쓰고 싶은지, 무엇에 흥미가 있는지를 발견하는 것이 가장 첫번째이자 시작이며 그것을 독자를 고려하고 생각해서 전달하려고 노력해라. 그것이 내가 배운 핵심적인 요점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