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찰 측 죄인
시즈쿠이 슈스케 지음, 김은모 옮김 / arte(아르테) / 2015년 6월
평점 :
품절


노부부 살인사건을 담당하게된 검사 모가미.

할아버지가 평소 경마를 좋아하고

지인들에게 돈을 자주 빌려주었던 것으로 보아

정황상 금전에 얽힌 강도살인사건으로 보였다.

용의자 명단을 훓어보던 중 그의 기억을 긁는 이름 하나가 눈에 띄면서

평소 냉철하고 철저히 사건을 파헤치기로 유명한 그의 사고에

뭔가 다른 것이 끼어들기 시작한다.

그 이름은 마쓰쿠라.

모가미가 학창시절 귀여워했던 기숙사관리인의 딸 유키를 살해했지만

교묘히 법망을 빠져나가 공소시효까지 만료된 상태이다.

유키가 살해당했을 당시 아무 것도 할 수 없던

자신의 무능함에 아직도 자책하고 있던 그는

이번에야 말로 법의 심판을 받게 하리라 다짐한다.

공소시효가 만료되어서인지 순순히 이전 살인사건을 자백하는 한편

노부부 살인사건은 일관되게 부정하고 있는 마쓰쿠라 때문에

사건은 점점 장기전에 돌입하게 된다.

하지만 증거는 부족하고 다른 용의자가 두각되면서

사건은 점점 마쓰쿠라에게 유리한 쪽으로 돌아가기 시작하자

모가미는 독자적으로 무대를 만들기로 결심한다.


그러나

나름 선인군자스타일인 우리의 모가미 선생님은

호랑이 새끼를 손수 거두어 키우고 있었으니

저는 원죄가 싫어요 제자 오키노는

모가미의 수사방침에 점점 반감을 갖게되고

결국 검사직을 내려놓고 스승과 대립하기에 이른다.


검사를 때려치고 난 이후 오키노의 행보를 보며

아니 이 바보 같은 자식이!’라고 생각하며

가기 싫은 곳에 억지로 끌려가는 기분을 맛보며 겨우 읽어나갔다.

마지막에 마쓰쿠라와 대면한 오키노,

모가미를 찾아가는 오키노를 보면서

2병만도 못한 정의를 실현한 자의 모습을 확인했다.


정당하지 않다는 것을 알면서도 모가미 편에 자꾸 서게되는 것은

원죄를 묻는 것이 부당하다고 생각하지 않는 내가 존재하기 때문이다.

도덕이나 법률로 학습하고 통제받고 있어 그렇지

원래 인간의 천성은 이기적인 존재라

나쁜 일을 저지르고 마음이 편치 않은 것은

잡혀갈까, 죄를 받을까, 나에게 해가 오지 않을까 걱정되서이지 죄책감때문이 아니다.

마쓰쿠라 같은 인간은 죄를 짓고도 안잡히면 그만,

바람이 잦아들기를 기다렸다가 또 다시 같은 일을 반복할 것이다.

본인이 누구 칼에 맞고 쓰러지더라도 참회는 모를 인간이다.


두꺼운 책이지만 엄청난 가독성을 보여주며

신나게 달려온 책이었다.

법도 처벌해주지 않는 범죄를 마주했을 때

모가미라는 검사 외에 변호사와 기자라는 인물들이 사건 이후

버텨내는 여러가지 삶의 무게도 함께 엿볼 수 있어 괜찮은 작품이었다.

다만 오랜만에 좋아하는 팀경기 직관하러 갔다가

연장 끝에 졌는데 에이스선수가 부상당하고

다음 경기엔 결장한다는 소식을 접하며 집에 가는 기분이랄까…ㅡㅅ-;;;



 

p.28:18 좋은 검사람 사디스트야 - 결코 좋은 사람이 아니라고. 정의 따위를 믿지 않아도 상관없어. 법을 위반한 사람의 약점을 파고들어 못살게 구는 거지. 범죄자가 이제 좀 용서해달라고, 이럴 줄 알았으면 나쁜 짓을 하는 게 아니었다고 뉘우칠 정도로 말이야. 그걸 기꺼이 해낼 수 있는 사람이 좋은 검사야.


p.529:11 마쓰쿠라 씨를 심판하기 위해 유미오카를 제거한다는 것은 어떤 의미에서 검찰 측 인간 특유의 논리가 아닐까 싶습니다 검찰이라는 테두리 바깥에 있는 사람이라면 가마타 사건에 관계없는 마쓰쿠라 씨에게 빨리 자유를 찾아준 다음에 마쓰쿠라 씨 본인을 죽이는 게 이치에 맞다고 생각하겠죠.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