명암 현암사 나쓰메 소세키 소설 전집 14
나쓰메 소세키 지음, 송태욱 옮김 / 현암사 / 2016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명암>,나쓰메 소세키 지음/ 현암사 - 관계의 지독함

 

 

 

​일본의 국민작가로 불리우는

나쓰메소세키는 <나는고양이로소이다>, <도련님>등

한국에서도 익히 알려져 있는 작가이다.

 


그 중 마지막 소설이자 미완소설 <명암>은

대화를 통해 세세한 심리묘사가 돋보이는 소설.

 

 

 

 

 

 

 

 


신혼부부 쓰다와 노부를 중점으로 두사람의 관계 뿐 아니라

직품 속에 등장하는 주변인물들 간의 관계와 관점,오해, 차이 등

다양한 관계로부터 미치는 영향을 엿볼 수 있는 흥미있는 책이다.

 


자존심이 강한 쓰다는 마음에 들진 않지만

반박할 수 없는 말을 하는

아내 노부에게  마음에 금이가고,

 


남에게 행복한 부부로 보이고 싶은 노부,

그렇기에 도움을 청할 상황에서도 허물을 보이기 부끄러워

감추기에 급급하다.

 


옛날이나 지금이나 부부사이는

남들이 보는 시선앞에 어쩔 수 없다는 것이

특별히 변한 건 없는 것 같다.

 

 

 

 

 

 

 

 

 

 

이 부부는 자신의 자존감을 절대 낮추기 싫어하면서

상대방이 자신을 배려해주지 않는것에 불만을 품는다.

 


경제적인 문제를 시작으로 옛 연인 기요코를 보러가기까지

열흘도 안되는 짧은 기간을 다루고 있지만

부부와 관련되어 있는 주변이야기는

단순한 대화를 하고 있는 것처럼 보이지만

긴장감있고 숨이 막힌다.

 


*******

 

 


<명암>은 남녀나 부부, 부모 자식이나 친척,

또는 그 주변으로 확대되는 '남들'이라는 세계 속에서,

따라서 그런 의미에서 극히 흔해빠진

일상적인 세계 안에서 추구한 것이다.

 


 거기에는 뭔가 극적인 대사건이나 파란만장한 드라마가 있는 것은 아니다.

 


쓰다라는 도시 중류계급의 위쪽에 속하는,

이를테면 '고등유민'의 퇴물 같은 미적지근한 남자,

그리고 소세키 문학치고는 드물 만큼

적극적으로 사랑을 탐구하고

모험을 마다하지 않는 오노부라는 여자.

 


신혼이나 다름없는 이 부부를 중심으로

부모 자식이나 친척, 먼 친척들, 친구들이 에워싸고 있는

'남들'이 소설의 무대가 되고 있다.

 

 

 

-강상중 (도쿄대 명예교수/해설 중)-

 

*******

 

 

 

"누구라도 상관없어. 그저 자기가 이 사람이다 싶은 사람을 사랑하는거야.

그리고 꼭 그 사람이 자기를 사랑하도록 하는거지"

 


아내 노부의 대사를 보면 생각나는 말이,

 


흔히 남자는 첫사랑을 잊지못하고

여자는 마지막 사랑에 최선을 다한다고 한다게 문득 떠올랐다.

 

 

미완으로 끝난 이 소설의 결말은 알 수없다.

하지만, 예측은 할 수 있다. 바로 오늘날 여전히 명암을 지닌채 살아가는

현대인들의 모습이 아닐까 짐작해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