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행자를 위한 고전철학 가이드
존 개스킨 지음, 박중서 옮김 / 현암사 / 2014년 6월
평점 :
절판



 

여행자를 위한 고전철학 가이드는 그리스,이탈리아, 터이키 인문여행을 위한 실속 있는 안내서이다.

사실 이 책의 서평을 하게 된 계기는 인문여행이라는 것이 매력적으로 다가와 선택했던 이유인데..

가벼운 마음을 첫장을 펼쳤다고 결고 가볍지 않은 내용으로 쿵!

여행이야기는 잠깐, 대부분 철학적인 이야기, 중고등학생때 배운 윤리를 심화한다고 할까.

종종 재미있는 에피소드가 나와 마음을 풀어주긴 하지만 책을 읽는 것보단 철학강의를 듣는 것처럼

집중하지 않으면 엉뚱하게 흘러가거나 딴 길로 새기때문에 처음부터 끝까지 공부하는? 마음자세를 지니고

책을 접하게 되었다.


잠시 책을 소개하자면 <여행자를 위한 고전 철학 가이드>는

고대철학 전문가인 존개스킨의 생생한 철학 안내서로 고대 헬레니즘 문화와

사회에 영향을 끼친 자연과 공간 ,삶과 죽음 등 철학적인 내용을 담고 있다.

위트넘는 스케치와 지명 사진이 이해를 도우며 책의 구성은 1부, 그리스 사람들은 누구인가

2부 호메로스부터 기독교 세계로의 개종까지, 3부 고대유적지와 그곳 출신명사들을

소개하는 부분으로 구성되었는데


내가 가장 집중하고 인상 깊게 읽었던 장은 2부 고전철학자들의 사상: 호메로스의 이상이었다.

호메로스를 읽었지만 잘 이해가 안 가 따로 강의를 수강해서 겨우 내용을 이해했나 싶었는데

마지막으로 <여행자를 위한 고전 철학 가이드>를 읽으면서 확실하게 각인을 하게 되었다.

인물의 성격에 작가의 생각을 집어넣으니 더 자세하게 이해가 된달까?

또한 별을 관찰하다 앞을 못본 탈레스의 이야기도 흥미롭게 다가왔다.


너 자신을 알라부터 나는 누구인가 등 철학은 항상 외면보다 내면, 진정한 자아를 생각하게 한다.

그래서 당시에는 당연히 철학을 중시했던 고전철학자들. 하지만 현재는 돈이 되지 않는 다 하여 인문학을 멀리하고

(그중에서 인문학의 꽃이라고 하는 철학을 특히 더 멀리) 오로지 물질적인 부에만 집착하여 현재는 겉으로보기엔

평화로워 보일지 몰라도 내면은 상처받고 나약해져 늘 힐링을 원한다.


어느 교양책에서는 95%이상의 사람이 우울증을 겪으면 대부분의 사람이 자살을 1번정도는 생각했다고 한다.

내면을 강화하지 않고 외면에만 신경쓰다보니 이러한 현상이 나온게 아닐까 생각이 든다.

여행과 철학을 겸비시킨 <여행자를 위한 철학가이드> 그리스, 이탈리아, 터키를 여행한다면 꼭 읽어보기를(반드시 펜과 연습장도 꼭)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