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금 쏜살 문고
강경애 지음, 심진경 엮음 / 민음사 / 2019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 글에는 스포일러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봉염어미는 민족 착취, 성 착취, 계급 착취가 중층적으로 압축되어있다. 첫 번째로 ‘젖유모’ 노동은 성차가 개입되는 노동이다. 두 번째로 소금팔러가는 일은 남성이 하는 일로 여겨지는 성별화된 노동이었다. 봉염어미는 살기 위해서 여성의 신체로서 남성이 하는 일에 개입하였다. 봉염어미의 서사에는 모성애/모성 신화가 담겨져 있다.

봉염어미는 아버지와 아들을 그리워하는 모습을 보이기에, 여성해방의 주체적인 인식으로 볼 수 있는가에 대해 교조주의적 페미니즘측에 균열을 일으켰다. 봉염어미는 서벌턴(하위주체, 권력의 중심에서 배제되고 억압을 당하는 사람)에 해당한다. 『서벌턴은 말할 수 있는가?-서벌턴 개념의 역사에 관한 성찰들』에서는 글을 쓸 수 없으며/자신의 상황을 논리적으로 발화할 수 없는 주체를 어떻게 해석해야하는가에 대해 다루고 있다. 유사하게 『제인에어』의 버사는 발화할 수 없었다. 『제인 에어』의 제인과 『몫』과는 대조적으로 봉염어미는 글을 알지 못하기에 3인칭으로 전개될 수밖에 없다. 그래서 『소금』은 봉염어미에게만 초점화되어, 내면에서 외면을 보는 프리징으로 전개되어진다.

봉염어미는 무엇인가를 먹고 싶어하고, 돈을 벌려고 한다. 이는 살고자하는 본능이 앞서는 모습이다. 봉염어미는 젖유모 일을 하며 돈을 번다. 이에 대해서는 어떤 식의 은유도, 상징도 없다. 이는 여성 신체의 섹슈얼리티한 측면이 아니라 ‘날 것 그대로의’ 물질성을 그리고 있다. 또한, 난민 여성이 처할 수 밖에 없는 착취적/억압적 상황을 드러낸다.

봉염어미가 가정, 남편에게 의존적인 모습은 봉염 어미의 생존 조건이 남편과 가정이었다는 점을 보여준다. ‘봉염어미’라는 자리가 봉염어미게에는 생존의 조건이었다. 즉, 『소금』에서는 봉염어미의 생존 조건에 대한 리얼한 재현이 드러난다. 『소금』은 민족/계급/젠더적 착취가 교차되어 있으며, 서벌턴(난민 여성)이 처한 곤경을 잘 보여주고 있다.

이 소설에서 ‘소금’이라는 소재가 함의하는 바는?

‘소금’은 젠더적으로 한정된 생존의 조건-소금밀수-를 하는 모습을 보여준다. 또한, 소금은 삶에 있어서 필수적 성분으로, 삶에 있어서 필요한 은유를 뜻한다. 소금은 마치 돈과 같은데, 이를 공산당이 지켜준다. 공산당이 지켜주는 모습은 공산당이 봉염어미에게 중요하다는 계급적 인식을 보여주고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