침묵의 미래 - 2013년 제37회 이상문학상 작품집
김애란 외 지음 / 문학사상사 / 2013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관념적이다. 「침묵의 미래」를 읽으며 내가 내내 되뇌던 말이다.

‘관념’이란 말도 제대로 모르면서 말이다.

소설을 읽고 함께 실린 평론들을 읽었다.

나는 그 속에서 이 소설이 관념적이라 이야기한 몇 명의 전문가들의 생각도 읽을 수 있었다. 얼마간 안심이다.


*관념(觀念)- 1. 어떤 일에 대한 견해나 생각.
2. 현실에 의하지 않는 추상적이고 공상적인 생각.
3. <불교> 마음을 가라앉혀 부처나 진리를 관찰하고 생각함.
4. <심리> 사고(思考)의 대상이 되는 의식의 내용, 심적 형상(心的形象)을 통틀어 이르는 말.
5. <철학> 어떤 대상에 관한 인식이나 의식 내용.


내가 생각한 이 소설은 2번 해석쯤 되겠다.

우리나라 소설을 많이 못 읽은 내가 단행본으로 나온 단편집은 모두 읽었다는 사실부터가 작가가 내게 주는 의미가 남다름을 알려준다.

'침묵의 미래'를 읽으면서 어디선가 박민규 작가의 냄새가 났다.

현실과 조금 거리가 있는 우주적 감수성을 지닌 작가.

나는 박민규 작가의 상상력이 지구보다 좀더 멀리 볼 수 있어 좋다.

지금껏 내가 본 김애란 작가의 작품은 추상보다 구체에 가까웠다.

방이 없어 시달리고, 취직자리가 없어 고민하며 살아가는 구체적인 인물들 말이다.

‘소수언어박물관’에 사는 사람들에게는 구체적이며 특별한 이름은 필요치 않아 보인다.

그들은 다만 소수언어를 박물관에서 읊조리다 주어진 시간이 끝나면 ‘멸’이라는 단어와 함께 사라지는 존재일 뿐이다.

그 존재란 것이 하는 이야기는 슬프다.

‘없어지기 위해 수집되었다’는 말, '새로운 인생'을 찾아 떠났다 다시 돌아올 수밖에 없었던 일.

억압된 구조에서 벗어나고자 하지만 인간은 사회적 동물이기에 사회가 파괴된 예전으로 돌아갈 수는 없었다.

나는 나무에 그려지고 돌에 새겨지며 태어났다. 내 첫 이름은 '오해'였다. 그러나 사람들이 자신들의 필요에 의해 나를 점점 '이해'로 만들어주었다. 나는 내 이름이었거나 내 이름의 일부였을지 모르는 그 단어를 좋아했다. 나는 복잡한 문법 안에 담긴 단순한 사랑, 단수이자 복수, 시원이자 결말, 거의 모든 것인 동시에 아무것도 아닌 노래였다. 하루치 목숨으로 태어나 잠시 동안 전생을 굽어보는 말이었다. -33p 5-11

언어는 사람을 가장 사람답게 만들어주는 것이라 생각했다.

몸짓이 아닌 글자로 소통한다.

이 소통은 시간과 공간을 초월한다.

글자로 새로운 미래를 상상한다.

소수언어가 아닌 단 하나의 언어만 살아남은 세상은 어떻게 변할까?

같은 언어를 쓰는 문화권이니 세계가 한 나라를 이루어 모두 합심해 밝은 미래를 만들어 갈까?

이쯤에서 딴지를 걸지 않으면 아마 나다운 화법이 아닐 것이다.

나는 많은 이들이 같은 언어를 써야만 하는 사실을 매우 바람직하지 않다고 생각하는 사람 중에 하나다.

(물론 내가 영어 등 기타 언어에 소질이 없어서 이런 말을 하는 것은 아니다. 흠흠-)

『1984』에서 윈스턴 스미드가 지겹도록 하는 일은 '단어를 줄이는'일이었다.

언어를 줄인다, 단어를 줄인다, 생각을 줄인다, 생각을 통제한다.

다양성이 존중되지 못한 사회가 인간에게 살기 좋은 때는 없었다.

어쩌면 세계의 대표들이 커다란 원탁에 마주앉아 세계경제를 하나로 모으자고 했을 때부터 불행이 시작됐을지 모른다.

침묵하지 않아도 되는 사회가 되기 위해서 어쩌면 우리는 나라별 인터넷을 끊고 각자 원시시대처럼 살아가야 하는지도 모른다.

성급한 일반화의 오류인가? 맞다.

그리 되지 않게 하기 위해서 우리는 감시역을 꾸준히 해야 할 것이다.

다행히, 아직 침묵의 미래는 오지 않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