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색 눈사람 - 1992년 제23회 동인문학상 수상작품집
최윤 지음 / 조선일보사 / 1992년 8월
평점 :
절판


“학생. 밖에 눈 왔어. 미끄러우니까 연탄재 있으면 밖에 좀 뿌려줘.”

이런 말을 듣게 된 학생은 아마 연탄재를 잘게 부수어 미끄러운 골목길에 뿌릴 것이다.

그리고 그 골목을 끼고 사는 아이들이 나와서 연탄재가 덕지덕지 묻은 눈으로 공을 굴려 눈사람도 만들고 눈싸움도 할 것이다.

물론 흰 눈으로 만든 눈사람처럼 예쁘지는 않을 것이다.

그러나 힘든 삶을 살아내는 우리의 아픈 모습일지 모르며, 누군가가 만들었다는 자체로 의미가 생긴다.

흰 눈처럼 예쁘던 회색 눈처럼 예쁘지 않던 우리는 모두 그 자체로 가치 있는 삶을 산다.

그러므로 마흔한 살에 혼자 살며, 노 교수의 조수로 일하는 ‘강하원’의 인생도 가치가 있다.

왜 우리 소설에는 이다지도 기구한 운명을 가진 사람이 많아야 하는지 알 수 없고 다소 불만이기도 하지만 「회색 눈사람」 속 주인공이 그 중 한 명이라는 사실은 분명해 보인다.

근대사회까지 우리사회를 점하고 있던 전쟁 때문일까, 아니면 이념전쟁의 산물인 분단의 역사 때문일까.

이도저도 아니면 무엇 때문에.

‘희망’을 극명하게 드러내기 위해서일까?

어둠 속 촛불이 더 밝아 보이듯, 절망적인 상황일수록 희망은 더 극명하게 드러난다.

학비를 마련하기 위해 닥치는 대로 과외를 하고 학기가 지나면 공부하던 책마저 팔아야 하는 상황 속에서 하원은 육체적, 정신적 궁핍에 시달리고 있다.

그때 ‘안’이 거짓말처럼 눈앞에 나타난다.

그는 동화 속 마법사 같다.

일거리를 해결해 육체적 곤궁을 채워주는가 하면, 그에 대한 사랑을 품게 해 정신적 곤궁까지 해결해준다.

그러나 그녀가 처음 밝혔듯이 짝사랑은 때로 사랑이라는 단어보다 ‘희망’이라는 단어로 더 잘 설명된다.

그 사람이 나를 봐줬으면 좋겠고 좀 더 잘 해줬으면 좋겠지만 그저 이편에서만 애가 닳을 뿐, 내색도 못하고 냉가슴만 앓기 십상이다.

할 수 있는 거라곤 돌아서서 상대의 행동이나 말에 끊임없이 의미를 부여하고 되새기곤 하는 것이다.

그것은 삶에 기쁨이 되기도 하고 괴로움이 되기도 하는데, 아무래도 한 가지 이름으로만 정의되기는 어려울 것 같다.

짝사랑은 대부분의 사람에게 좋지 않은 영향력을 행사하지만, 이번 경우처럼 가끔 삶의 의욕이 없던 사람들에게 희망이 되어주는 때도 있기 때문이다.

하원은 결국 도움 받던 ‘안’에게 이용당했으나, 그가 이전에 보여주었던 온정을 통해 새 삶을 얻는다.

아무것도 하지 못한다고 항상 성마르고 거칠게 대하던 세상에서 자신을 이해하려 노력하며, 도움의 손길을 뻗치는 인물이 있다는 것은 얼마나 가슴 뿌듯한 일인가.

이야기의 후반부에서 ‘안’이 하원의 여권을 요구하는 일이 처음에는 너무 심한 처사라고 생각했다.

우스운 건 다시 생각해보니 내가 하원이었더라도 아마 그렇게 하지 않았을까 싶다는 것이다.

우리는 누군가에게 무엇을 받는 것 이상으로 주는 대상에 애착을 느끼게 되기 때문이다.

하원은, 받은 온정을 되돌려 줄 수 있어 기쁘지 않았을까.

그녀는 그 ‘희망’의 기억을 안고 다시 시골로 내려간다.

결실을 맺진 못했지만, 사랑을 하기도 하고, 젊은이들에게 조언을 해 줄 정도로 한 사회에서 영향력을 주는 사람이 되었다.

소설의 마지막에 그녀가 말한다.

동네 아이들을 모아 눈사람을 만들어봐야겠다고.

동경이건, 감사건 어떤 단어로 표현되는 감정인지 확실치 않지만 그녀가 ‘안’을 사랑했다는 것은 진실이다.

연적이라 짐작되는 김희진이라는 여성을 위해 자신이 힘든 와중에 돈과 노력을 쏟아 만든 여권을 줄 정도로 하원은 안을 사랑했다.

이제 그녀는 희진의 부고를 접하며 청년시절 풋사랑과도 작별을 고한다.

연탄재가 덕지덕지 묻어있는 회색 눈사람이 아니라 깨끗하고 아름다운 흰색 눈사람을 만들면서.

‘아픔은 늙을 줄 모른다’고 그녀는 얘기한다.

천만에, 아픔은 늙는다.

‘아프게 사라진 모든 사람이 그를 알던 이들의 마음에 상처와도 같은 작은 빛을 남긴다’고 작가는 말한다.

상처는 아물게 마련이다.

또한 ‘작은 빛’은 ‘희망’의 다른 이름이 아니던가.

결국, 아픔은 늙어 희망이 된다.

하원에게 그랬고, 안에게 그랬듯이.

작가는 독자에게도 그러하기를 바라며 이 글을 쓰지 않았을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