멘토의 시대 - 강준만이 전하는 대한민국 멘토들의 이야기
강준만 지음 / 인물과사상사 / 2012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멘토, 멘토……, 멘토가 과연 뭘까?

지난해에는 삶의 지침을 전해주는 멘토들의 ‘말’이 주목을 받았다.

그래서 나는 이것도 비슷한 책인가? 했지만 이 책은 좀 다르다.

이 시대의 멘토가 어떻게 ‘멘토’로 인정받을 수 있었는지 이야기하는 책이다.


그러나 솔직히 처음엔 대선 이야기가 하도 많이 나와서 다시 표지로 가서 제목을 찾아 볼 정도였다.

책의 성격과 제목이 좀 동떨어진 것 같아 불만이었다.

모르던 그들에 대해 알게 되어 유권자로서 고민이 줄어들었으니 주고받은 셈이라 그냥 넘어가기로 한다.

그러나 저자가 책에서 밝혔던 ‘멘토의 제도화’ 시도에는 반대한다.

제도는 자의보다 타의가 많이 개입되게 마련이다.

대표적으로 봉사활동의 점수화가 많은 학생들에게 위법의 짜릿함을 맛보게 하는 제도가 아니었을까 생각해본다.

취지는 좋지만 의지가 없는 사람들까지 껴안기를 ‘멘토’는 싫어할 것 같다.

‘멘토와 멘티의 사회화’는 어떨까?

사회적으로 자신보다 미성숙한 사람의 이야기를 들어주고 힘이 되어주는 것을 사회적 기본 도덕률 같이 만드는 것이다.

이는 자신이 예전에 받았던 도움을 아래로 흘리는 것이다.

도움을 주고받는 과정을 통해 멀어져 가는 세대 간의 간극을 좁히는 사회 통합의 의미도 있을 것이라 생각한다.


이 책에 나오는 멘토는 총 12명이다.


1. 비전‧선망형 멘토 안철수


2. 인격‧품위형 멘토 문재인

3. 순교자형 멘토 박원순

4. 교주형 멘토 김어준

5. 선지자형 멘토 문성근

6. 멀티‧관리자형 멘토 박경철

7. 상향 위로형 멘토 김제동

8. 자유‧개척형 멘토 한비야

9. 경청‧실무형 멘토 김난도

10. 열정형 멘토 공지영

11. 자유‧도인형 멘토 이외수

12. 재미‧계몽형 멘토 김영희


이 책을 한 줄로 요약하자면 ‘멘토를 위한, 멘토에 의한, 멘토의 시대’쯤 되지 않을까?

책은 이 시대에 멘토가 어떻게 살아왔으며 그가 자신의 삶을 토대로 어떻게 멘토링 해왔는지 이야기 해준다.

그리고 이것이 시대의 어떤 흐름과 결부되어 나왔는지와 그래서 어떤 도움을 주었는지도 이야기해 준다.


그리고 정치와 생활이라는 1부와 2부로 나누었으면 하는 생각이 들었다.

한비야 씨와 김제동 씨는 묶일 수 있다.

김제동 씨와 박경철 씨도 묶일 수 있다.

그러나 김제동 씨와 안철수 씨는 묶을 수 없다.

아니, 묶으면 안 된다.

너무 강한 표현인가?


앞에서 말한 바와 같이 이 책의 앞부분 반은 정치적 성향이 너무 강하다.

문재인, 박원순, 김어준, 문성근 씨를 나는 멘토로 생각하지 못하겠다.

그들에게 굳이 배울 점이 없다는 점이 아니다.

각광받는 다른 사람들도 많은데 왜 이 사람들을 멘토로 삼아야 하는가?

여러 멘토들을 이야기하는 책이라 함께 묶어 두었다고 생각하지만 내 속에 작은 거부감이 꿈틀거렸다.


그러나 이 책의 좋은 점은 그 한 명 한 명에 대한 작가의 통찰이 있다는 점이다.

평범한 시민에 불과한 나로서는 알기 힘든 그들의 과거부터 그들이 한 말, 그리고 결정적으로 멘토들의 행보를 통해 그 사람을 비판적으로 보게 해주었다.

아마 그들이 지금이 지나 인기 없고, 별 영향력 없는 사람들이었다면 나는 작가가 보여준 통찰에 지금의 3분의 1정도만 고마워 했을지도 모르겠다.

그러나 이 사람들이 사회를 선도하고 있는 사람들이라는 점에서 나는 작가에게 온전한 1만큼 고마웠다.

나도 너무 정치 얘기만 했나?

이 책의 8장부터 13장까지는 내가 생각하는 진짜 멘토 이야기가 나온다.


그들도 사람이기에 넘어지고, 고민하고, 잘못을 시인하고, 때로 불의한 세상에 답답해하기도 한다.

하루에 몇 천, 몇 만 명이 그들의 하루 일과를 궁금해 하는 유명인이다.

그만큼 자유롭지 못하고 하는 일이 만천하에 공개되어 정신적 압박도 심할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자기 생각을 관철해 나간다는 것, 그리고 그것이 공익을 위한 것이라는 점이 감동적이었다.


사실 나도 제 밥벌이도 제대로 못하고 서른을 바라보는 이 나이에 새로운 일을 하겠다고 부모님께 붙어 사는 기생충 같은 존재다.

그러나 나도 세상에서 필요한 사람이 되어 살고 싶다.

그때 가장 중요한 것이 세상과 타협하지 않는 것과 공생을 위한 꿈을 꾸는 것 아닐까? 물론 아예 세상을 등지고 살라는 말이 아니다.

나도 아르바이트를 하며 생계를 연명하며 계속 꿈을 꾸고 있다.

다만 멘토들의 말대로 그들처럼 꿈을 꾸되 모두와 함께 잘 사는 꿈을 꾸자는 것이다.

세상에서 잘났다고 추앙받는 높은 곳에 사는 사람들은 자기만 가지려고 큰소리치는 사람들이 많다.

그러나 이들은 아래를 보고 우리가 내려가서 밧줄을 내려줄 테니, 잡고 위로 올라오라고 이야기하는 것 같다.


이들이 멘토가 될 수 있는 건 잘 살았다기보다, 함께 사는 법을 연구하는 사람들이기 때문은 아닐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