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의 미래 - 앨빈 토플러 (반양장)
앨빈 토플러 지음, 김중웅 옮김 / 청림출판 / 2006년 9월
평점 :
구판절판



 

 
 
 
‘미래쇼크, 제 3의 물결, 권력이동’등 그들의 전작에서 볼 수 있듯이
 
토플러 부부는 이제 미래지식의 대명사로 불리게 된지 오래다.
 
그리고 그들의 미래 예측이 단지 우공이산(愚公移山)이 아닌,
 
현재와 과거에 기반을 두고 만들어진 것임에 더 큰 의미가 있다.
 
 
 
그들은 이제 세상을 바꿀 것은 ‘부의 이동’이라고 말한다.
 
일찍이 아시아에 있었던 부가 유럽의 제국주의 시대의 지배 하에 종속되었지만,
 
이제 다시 부의 흐름이 아시아로 돌아온다고 밝히고 있다.
 
그러나 아무리 ‘2003년은 아시아의 분수령이라 해도 과언이 아니다.
 
심지어 일본과 인도는 계산에 포함시키지 않았는데도 싱가포르, 한국, 대만, 중국의 총 GDP가
 
유럽의 5개 경제 대국인 독일, 프랑스, 영국, 이탈리아, 스페인의 총계와 거의 맞먹었다.’고
 
 우리나라를 넣은 결과 치를 책에서 밝히고 있다손 치더라도,
 
60먹 인구와 비밀이 많은 그들의 경제구조를 우습게 봤다가는
 
자다가 봉창 두드리는 신세가 될지도 모르기에 그저 웃고 넘길 수가 없다.
 
 
 
실상을 따져보면 중국이 반을 넘기는 점유율을 차지했을지도 모른다.
 
그리고 우리는 그 큰 파도 안에서 중국에 의해 좌지우지되는
 
위성국가가 되지 않도록 조심할 필요가 있다.
 
 
 
위성국가가 되지 않기 위해서 우리의 정체성부터 확립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매스컴에선 연일 세계화를 외치지만,
 
먼저 우리의 세계화가 도대체 어디까지 왔나를 돌아볼 필요가 있다.
 
 우리는 여태 대한민국 안에서만 세계를 찾았지 세계 속에서 대한민국을 찾지 않은 것은 

한류가 어떤 인상을 가지고 있는지, 그 인기가 계속될 것인지 만을 묻는
 
저급한 세계화는 한류(韓流)가 아닌 한류(寒流)만을 양산할 뿐이다.
 
 
 
작지만 강한나라, 식민지를 40년도 안 되어 벗어난 나라,
 
원조 받던 나라에서 원조하는 나라로 바뀐 유일한 나라.
 
그러나 아무리 많은 수사법을 동원해도 독도와 간도는 아직도 영유권 싸움을 하고 있으며,
 
2002년 월드컵을 치르었음에도 불구하고 대한민국이 세계 모두가 아는 나라는 아니다.
 
우리가 진정한 세계화를 이루기 위해서는 좀더 엉거능축할 필요가 있다.
 
우리 스스로 힘을 내자고 말하는 것도 좋지만, 경제 위기에 세계인에게 힘을 내자고 하는 것은 어떤가.
 
 한국만을 알아달라고 하는 것이 아니라,
 
그들을 이해하고 우리 것을 이야기 할 때에야 비로소 그들도 우리의 얘기를 들을 여유가 생길 것이다.
 

책의 후반부에서 한반도의 통일에 대해
 
‘오직 시간만이 가장 중요한 결정 요인으로 작용할 것이다.’라는 말이 나온다.
 
이는 수없는 반추의 작업을 거듭해야겠지만, 전혀 부당한 이야기라고 보기도 힘들다.
 
 실제로 시간을 끄는 사이 중국이 북한에게 미치는 영향력은 커지고 있으며
 
이는 남북한이 맺어야 할 ‘형제애’가 북한과 중국의 것으로 변질되는 조짐을 보이기도 한다.
 
그러나 우리의 통일 정책은 북한이 그 ‘중국형제’에게 백두산의 30퍼센트를 팔아먹는(!)
 
모습을 지켜보아야만 한다.
 
이제 우리는 통일을 이루더라도 간도뿐 아니라
 
 백두산 영토 문제를 놓고 중국과 교묘한 외교전에 돌입해야 할 것이다.



거대한 부의 혁명 속에서 우리가 살아남기 위해서는
 
세계의 큰 흐름에 휩쓸리지 않고 함께 파도를 타거나, 바위처럼 우뚝 설 필요가 있다.
 
그리고 그것은 전체의 문제이기도 하지만 개인의 문제이기도 하다.
 
 
....유럽회의에서 세계화의 기준을 세계도시화로 결정했다고 한다.
 
 EU로 따지자면 EU가 있고, 런던과 파리는 있지만 영국과 프랑스는 의미가 희미해지는 것이다.
 
세계가 있고, 연방이 있고, 나라가 있고, 도시가 있고, 개인이 있다.
 
어느 도시도 개인 없이는 성립되지 않으며, 어느 나라나 연방도 개인의 연합이 아닌 곳이 없다.
 
이렇게 세계는 개인을 통해 만들어진다. ‘둑도 개미굴로 무너뜨릴 수 있지’만
 
아무것도 하지 않는 개미는 지나가는 소에게 밟혀죽는 정도의 의미밖에 없는 것이다.
역자 김중웅씨가 밝힌 바와 같이 이 책에서 다루는 내용은
 
 ‘물리학, 의학 등 과학의 영역에서부터 경제학, 사화학, 사회심리학 등
 
사회과학적인 영역에 이르기까지 광범위한 분야에 걸쳐 있다.’
 

그리고 우리는 모든 변화가 이제 단독적으로 일어나지 않고
 
위의 모든 것들이 융합되어 이루어짐을 알지만,
 
전문가가 아닌 이상 그 구체적인 모습을 확실히 아는 사람을 드물었을 것이다.
 
 
 
하지만 이제 독자는 세계의 미래 흐름과 그 안에서 우리가 나아가야 할 방향에 대해
 
생각할 기회를 얻게 될 것이다. ...책의 발간이 2006년인 것을 생각한다면, 
 
기회를 얻었을 것이 거의 확실시 된다.
 
그러니 우리도 모두 손을 쓰기 전에 준비를 마쳐야 할 것이다. 



2011.8.3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