빨래하는 날 네버랜드 우리 걸작 그림책 39
홍진숙 글, 원혜영 그림 / 시공주니어 / 2013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시공주니어 네버랜드 우리 걸작 그림책 빨래하는 날

 

 

시공주니어의 네버랜드 우리 걸작 그림책

우리 걸작이라는 말 그대로 우리의 옛 이야기를 알려줍니다

두 아이 모두 옛날 이야기인가봐요 라고 하면서 관심을 보여줍니다

 

책 속 아이들이 이불을 펄럭이며 신나서 뛰어다니는 모습에 태호씨도 흥분합니다

손으로 팔락팔락~~


 

 

온 식구가 냇가에 모여서 빨래하는 모습입니다

현호는 이 모습을 보고 제 모습을 이야기하더군요

매일 아이들 씻기고 저녁에 아이들 속옷을 빠는 모습을 생각해냈나봐요

"엄마는 왜 방망이는 없어요?"

 

 

 

풀물을 먹이는 모습입니다

저도 처음보는 모습이에요

아이들 책을 통해 저도 또 배워갑니다


 


하늘이 어둑해지고 장독대에 빨래를 널어 말립니다

저녁 이슬을 머금어서 빨래가 꼽꼽해지게 만든데요

이것 또한 처음 알았어요 빨래는 저녁 이슬 맞기 전에 걷어야하는 줄 알았거든요

풀물을 먹인 후 빨래는 이슬을 머금게 해서 밟아주면 구김살이 없어진다고해요


 

 

그리고 저도 그림책 속에서만 봤던 다듬이질

또드락 똑딱! 또드락 똑딱!

소리도 재미있죠? 이 말이 재미있어서 계속해서 이 부분만 되풀이해서 읽어줬어요

엄마따라 아이들도 까르르~~

 

화로에서 군고구마도 구워먹고 인두를 달궈 다림질도 하고 ㅎㅎ


 

책의 마지막엔 우리 전통 의상인 한복의 명칭들도 간단하게 알려줍니다

현호는 자신이 입었던 한복 상의가 [저고리]라는 이름이 있다는 사실에 놀라고

여자 친구들 머리를 묶었던 끈이 머리끈이 아닌 [댕기] 라고 하자 또 놀라더군요

우리 아이들에게 생소한 것들에 대해 알려줄 수 있어서 너무 좋은 책이었어요

 

 

책을 읽은 후 아이들과 목욕을 하면서 늘 엄마가 하던 빨래를 아이들과 함께 했어요

조물조물 작은 손으로 엄마를 돕겠다고(?) 얼마나 열심이던지요

 

 

아이들과 함께 책도 읽고 전통의상도 배우고 빨래도 하고

모두 즐거운 시간이었답니다


댓글(1)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파란놀 2013-11-12 06:28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요즘 이렁저렁 쓰지만,
'한복'은 우리 말이 아니랍니다.
예부터 우리한테는 옷이나 밥이나 집을 가리키는
다른 이름이 달리 없었어요.

일제강점기에 일본 학자가 한국 문화를 연구하면서
비로소 '한복-한식-한옥'이라는 이름을
한문으로 지었어요.

우리 겨레는 예부터 그냥 '옷-밥-집'이라고만 했거든요.
사내가 입는 옷은 '바지저고리'이고
가시내가 입는 옷은 '치마저고리'예요.
그러니, 우리 옷 가리키는 이름은
이렇게 '바지저고리-치마저고리'라 해야 올바릅니다.

아무튼, 그림책 빛깔이 아주 곱네요.
다만... 어느 시대인지 알 길이 없다는 것뿐인데 ^^;;;
저런 기와집 짓고 사는 집이라면
어머니가 손수 빨래를 하지 않아요.
머슴한테 시키겠지요.
뭐랄까 시대고증이 좀 아쉽습니다.

식구들이 나란히 냇가에서 빨래를 하는 집은
농사짓는 풀집(초가)에서 흰옷 입은 사람들이에요.
이런 대목을 그림책에서 잘 살리지 못하는구나 싶지만,
이만큼이라도 빨래 이야기를 들려주니 고맙고 반갑습니다.

아이들하고 집에서 빨래놀이도 누리시고
아름다운 책도 한껏 누리셔요~

잘 보았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