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름다운 우리 섬에 놀러 와 우리 그림책 39
허아성 지음 / 국민서관 / 2022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맑게 개인 파란 하늘, 아름다운 푸른 바다, 깨끗하고 넓은 모래 사장, 즐거워 보이는 사람들.

여름철 휴가 도서로 딱일 것 같은 아름다운 푸른 표지만 봐도 기분이 좋다. 🏖

표지 속 여자 아이는 짙푸른 돗자리 위에 한가롭게 앉아 있다. 여자 아이는 자신의 옆에 놓여 있던 플라스틱 병에 예쁜 조개 껍질과 종이 쪽지를 넣는다. 

그리고 손을 흔드는 아이를 뒤로 한채, 플라스틱병의 즐거운 여행이 시작된다. 

하지만 곧 시커먼 구름과 폭풍우를 만나게 되고, 청량한 느낌의 그림 대신 어둡고 캄캄한 그림들로 채워진다. 

그리고 플라스틱병은 
그물과 따개비로 고통 받는 거북이🐢와 
죽은 물고기들에 둘러싸인 고래 🐳를 만난다. 

아름다운 해변은 보이지 않고 사람들이 버리고 간 쓰레기와 그물로 가득한 해변만 보인다. 

플라스틱병은 여행을 하며 여러 갈매기들을 만나게 되는데, 여행의 시작 부분에는 여행의 설렘을 나누는 밝은 표정의 갈매기가 등장한다. 하지만 폭풍우 이후에 만난 갈매기들은 버려진 마스크를 물고 가거나, 알 수 없는 비닐 봉지를 쓰고 있다. 

보통의 그림책은 겉표지가 없거나, 겉표지 이야기의 확장이나 복제 정도의 그림을 보여준다. 하지만 #허아성 작가의 <아름다운 우리 섬에 놀러 와>는 겉표지와 속표지가 반전 수준이다. 

제목 폰트의 색상과 이미지도 다르고, 
심지어 그림책의 소개 멘트도 다르다.

겉표지 - 햇살 좋은 어느 날, 평화로운 바닷가에서 소녀가 소중한 마음을 플라스틱병에 담아 보냅니다. 플라스틱병의 바다 여행은 그렇게 시작됩니다.

속표지 - 기나긴 바다 여행 끝에 플라스틱병은 어딘가에 닿습니다. 떠나왔던 섬과는 완전히 다른 풍경인데, 왠지 모르게 익숙합니다.

'우리의 미래를 생각하게 만드는 그림책'이라는 문구처럼 최근 내 아이의 미래에 온전한 자연이 남아 있을지, 이상 기후의 영향은 어떠할지 걱정이 되고 있다. 

UN은 기후변화로 2050년엔 산불이 30% 증가될 것으로 보았고, 전세계 50억명 이상이 물 부족에 시달릴 것으로 보았다.


그림책의 뒷 면지는 플라스틱 병에 들어 있던 쪽지이다.
"아름다운 우리 섬에 놀러 와." 

과연 그 섬이 어떤 섬이 될지는 현재 지구를 살아가는 사람들의 손에 달린 것 같다.

#환경그림책 #국민서관은역시책맛집
#글없는그림책 #국민서관 

※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 받아 주관적인 후기를 남깁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