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1 | 2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
보트하우스
욘 포세 지음, 홍재웅 옮김 / 새움 / 2020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3149. 포세 『보트하우스』 : 새움


지난여름 적어도 10년은 보지 못했던 친구 크누텐과 우연히 마주친 이상 집밖에 나가지 않는다. 불안감이 엄습하여 밖에 나가지 못하는 것이다. ‘ 일을 하지 않고, 사람을 만나지 않으며, 집에 머문 , 오직 글쓰기에 몰두한다. 모든 이야기는 불안감에서 시작된다.


문밖에 나선 지도 달이 되었다. 불안 증세로 왼팔과 손가락 마디가 쑤신다. ‘ 글을 쓰려는 이유나 소설을 쓰기로 마음먹은 이유는 바로 불안감 때문이다. ‘ 지난여름 어린 시절 단짝이던 크누텐과 마주쳤다. 그는 결혼을 했고 딸이 있었다. 음악 교사가 크누텐은 휴가를 보내기 위해 이곳 고향을 방문했다. ‘ 가장 친했던 크누텐이 이제는 가장 멀게만 느껴진다. 지난여름 우연히 마주친 크누텐과 그의 아내, 그리고 딸은 불편하게 한다. ‘ 극심한 불안 증세를 겪는다. ‘ 불안하다.


오랜만에 마주친 친구와 그의 가족 사이에서 느껴지는 균열은에게 위기감을 조성한다. ‘ 자리를 모면하기 위해 저녁엔 피오르에서 낚시를 거라며 자리를 뜬다. 돌아본 크누텐의 아내는 매력적이다. 그녀는 바라본다. ‘ 점점 불안해진다.

저녁 무렵 피오르에 나가 작은 배에 오른다. 날씨가 좋은 여름 저녁 피오르에서의 낚시는 언제나 즐겁지만, 오늘의 불안하다. 어쩐지 크누텐의 아내가 나타날 것만 같아 불안하다. 10년의 공백은 익숙함을 낯설게 변모 시킨다. 그러나 단지 낯섦에 대한 문제가 아니다. ‘ 원인 모를 위기감에 빠지고, 계속해서 불안해진다.


피오르의 낚시에서 결국 크누텐의 아내를 만난다. 자그마한 낚싯배엔 크누텐 대신 그의 아내만 올라있다. 그녀의 배는 빠른 속도로 향해 다가온다. 그리곤 마디 인사를 나눈다. 우리는 그녀의 요청에 따라 작은 섬에 오른다. 멀리 절벽에선 크누텐이 눈으로 우릴 좇고 있다. ‘ 있다. 크누텐은 우리를 보고 있고, 우리를 의식하고 있다. 나는 불안하다. ‘ 크누텐과 함께한 행복한 시절을 회상한다. ‘’, 크누텐 그리고 친구들은보트하우스에서 모였다. 그날을 회상하는 나는 더없이 불안하다.


어느 저녁 크누텐의 아내는 크누텐과 묵고 있는 그의 옛집으로 초대한다. 크누텐은 아내에게 집착적이고, ‘ 불안은 강박에 가깝다. 그녀는 크누텐을 옆에 두고도 대놓고 유혹한다. 그녀의 유혹으로 어지럽고, 불안하다. 자리를 떠야 한다는 생각만이 머리를 지배한다. 크누텐과 아내의 티격 거림에 집을 나오지만, 발소리를 따라 이내 그녀도 집을 나온다. ‘ 그녀는 이윽고 우리의 터인보트하우스 도착한다. 아무도 없는 컴컴한 그곳에서 그녀만이 남아있다. ‘ 불안함을 감출 길이 없다. ‘ 불안하다.


개의 장으로 구성된 포세의 『보트하우스』는 1장에서 불안증세로 인하여 밖에 나가지 못하는 시점에서 진행된다. 놀라운 것은 2장에서 이어진다. 화자인 글쓰기라는 범주 내에서 친구 크누텐의 시점을 이용하여 서술하는데, 1장과 같은 내용을 서술함에도 아닌 크누텐의 시점으로 옮겨온 탓에 사건은 전혀 다르게 해석된다. 인연에서 시작된 인간의 관계는 꾸준히 생성되고 발전하다가 어느 시점에선가 이별을 경험할 있다. 그러나 그마저도 시간이 오래 지나고 나면 어떠한 이유에서 이별을 하게 되었는지 우리는 기억하지 못한다. 혹은 애써 기억한 이별의 이유는 각자의 관점에서 다르게 해석된다. 인간은 집단적이며 동시에 개별적이다. 그런 인간의 관계 속엔 서로 다른 인식이 포함된다. 다름에서 이어지는 낯섦의 현장은 참을 없는 불안감을 유발한다.


포세의 『보트하우스』의 구조는 희한하게도 직렬적이지 않다. 완전히 병렬적이지도 않을 만큼 이야기의 틈새엔 시점에 따른 공백이 존재한다. 여기서 표현된 공백은 허구를 실제로 바꾸는 힘을 지닌다. 생각해보라 우리의 기억에 얼마나 무수히 많은 공백이 존재하는가. 공백이 만들어낸 탄식은 안개와 같이 부옇기만 하다. 작가는 공백과 함께 반복된 서술 기법으로 끝없는 불안으로 몰고 가고, 독자는 통해 씻을 없는 불안감으로부터 해방되지 못한 크누텐 그리고 크누텐 아내의 균열 속에 머물게 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보트하우스
욘 포세 지음, 홍재웅 옮김 / 새움 / 2020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불안함에 대한 가장 섬세한 묘사.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권수정 산문집 - 산으로 간 문장들
권수정 지음 / 심다 / 2019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리암의서가] [#하루한권]
3137. 권수정 『권수정 산문집』 : 심다

가끔 그런 생각을 한다. 산문을 쓴다는 것은 어떤 의미에서 소설을 쓰는 것보다 훨씬 어려울 수 있다는 생각 말이다. 허구를 가공한 소설과는 다르게 산문이란 실재 인물의 실제 사건을 기반한다. 개인적인 견해이긴 하나 그럼에도 불구하고 산문이 평범한 몇 줄의 일기로 끝나지 않기 위해서는 작가적 세계관의 투영이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작가는 인생의 의의나 가치에 관한 통일적인 견해를 비추며 제 나름의 필치로 실제 사건을 끌어가야 한다.

나는 산문의 재미를 실제와 실재에서 찾는다. 허구와 진실은 감동의 깊이에서 결코 비교 대상이 될 수 없다. 물론 진실이 더 큰 감동을 보장하지는 않지만, 대체로 진실은 허구보다 깊은 감동을 선사한다. 문제는 사건이 지닌 서스펜스다.
어떠한 경우 실제의 사건이 허구의 사건보다 강력한 서스펜스를 지니기도 하지만, 대부분 실제의 사건은 평범하고 밋밋하기 마련이다. 이 책의 저자 역시 다행히도 평범하고 행복한 이십 대 후반의 삶을 살아가고 있다. 그러나 희한한 것은 저자의 평범함이 내게 전한 눈물이다. 단언컨대 수십 년 독서를 취미로 하며 단 한 번도 읽기를 통해 눈물을 흘려본 적이 없다. 『권수정 산문집』이 내가 읽은 수많은 책들 보다 예외적일 만큼 슬픈가 하면 그것도 아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나는 산문집의 가장 마지막 장에 나온 ‘**산업’에서 기어코 눈물을 쏟아내고 말았다. 조금 그럴싸한 표현으로 눈물이지 새벽 한 시, 불혹의 사내가 꺽꺽 소리를 내며 운다는 것은 꽤나 창피하고 서글픈 일이 아닐 수 없다. 그것도 첫 경험이라면 더욱이 얼굴을 붉힐 일이다.

저자가 18년 12월부터 19년 6월까지 퍼킨스 프로젝트를 통해 독자에게 매주 한 편씩 발송했던 일상 수기는 모음집의 형태가 되어 산문집으로 출간되었다. 저자는 『권수정 산문집』을 통해 시대에서 세대를, 세대에서 개인을 관통하는 ‘결핍’에 대해 이야기한다. 학창시절의 이야기로부터 공무원이 되어 사회를 경험하는 사건들 속에는 권수정이 저자로 거듭남에 필연적으로 겪어야 했던 읽기와 쓰기에 대한 내용이 서술되어 있다. 《나의 읽기(1)》에는 “책을 읽는 것은 영화 한 편을 보는 것과 크게 다르지 않다.”라는 문장이 나오는데, 저자는 활자를 읽는 일이 영상 매체를 보는 일보다 편하다고 하는 점에서 읽기에 대한 공감이 시작되었다. 또한 저자는 읽기를 통해 위로받는다고 하는데, 이와 반대로 나는 읽기에서 위로를 찾지는 않는다. 어쩌면 저자 역시 읽기보다 쓰기를 통해 위로를 받는 것은 아닐까 하는 생각이 들었는데, 그것은 꾸준히 읽기도 하지만 보다 더 꾸준히 쓰는 저자를 보며 느낀 것이다.

독서라는 취미는 꽤나 위험한 취미일 수 있다. 읽기는 내적으로 쌓이기만 하는 행위다 보니 계속해서 읽고 받아들이기만 반복하면 어느 한구석엔가 반드시 곪게 마련이다. 그러니 독서를 오랜 시간 지속해온 사람이라면 반드시라고 해도 좋을 만큼 외적으로 배출하는 쓰기를 통해 쌓인 양식들을 배설할 필요가 있다.
싸이월드 시절부터 인스타그램의 ‘수정 서재’에 이르기까지 저자는 읽는 행위로부터 쌓인 양식들을 쓰기로 배설한다. 이 과정의 반복이 독자를 위로해줌은 물론, 저자 자신에게도 큰 위로가 되었으리라. 오랜 시간 쌓아온 과정에 대한 부연 설명은 필요 없을 것이다.
간혹 지적 허영에 몸부림치는 젊은 작가들의 문장은 오직 분식(粉飾)을 위해 존재하는 듯, 내용은 없고 겉만 꾸며놓은 모양새를 하고 있는데 그에 비해 저자의 문장은 단순하며 담백하다. 삶의 소소한 풍경들을 단출하게 써 내려간 저자의 문장은 그 자체로 울림이 있다. 어쩌면 분식되지 않은 담백한 문장에 눈물이 서렸는지도 모른다.

회사를 마친 저자가 곧장 집으로 가지 않고 카페로 향한다. 보통은 뜨끈 쌉싸름한 아메리카노 한 잔, 스트레스 받은 날에는 달콤한 라떼 종류를 시켜놓고 노트북을 두드리고 있으면 되게 작가 포스가 나는 것 같다고 혼자 생각한다. 저자가 다녀간 공간의 온기와 미소를 머금은 평온한 삶을 떠올리며, 그의 삶에 작은 응원을 보낸다.


#권수정산문집 #권수정 #심다 #슬픔속에오래있었다 #결핍 #산문 #산문집 #에세이 #베스트셀러 #서평 #독후감 #책리뷰 #책소개 #북리뷰 #책추천 #독서 #독서스타그램 #독서그램 #북스타그램 #책 #책스타그램 #책탑 #신간 #에세이추천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빛의 과거
은희경 지음 / 문학과지성사 / 2019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리암의서가] [#하루한권]
3083 은희경 『빛의 과거』 : 문학과지성사

시내버스에서 라디오방송을 통해 우연히 듣게 된 목소리는 다름 아닌 희진의 목소리였다. 희진은 인터뷰 중에 ‘소설이란 자기 인생이라는 집을 부수어 그 벽돌로 다른 새로운 집을 짓는 일’이라는 외국 작가의 말을 인용한 뒤 그러나 옛 친구들이 자기 소설을 읽지 않기를 바란다고 농담했다.

유경(화자인 ‘나’)에게 희진은 가장 친한 친구가 아닌 것과는 상관없이 가장 오래된 친구이다. 둘은 밀착되지도, 그렇다고 분리되지도 못한 채 오랜 세월을 함께 한다. 소설은 2017년 유경이 희진의 소설 《지금은 없는 공주들을 위하여》를 읽으며 시작된다.

1977년 모든 것이 낯설었던 대학 기숙사. 화자인 ‘나’를 비롯하여 322호와 417호의 일곱 룸메이트가 저마다의 사연으로 이야기를 채운다. 유경과 희진은 분명 같은 시간을 보내며 같은 공간을 지배하고 같은 사람들과 나누었다. 그러나 리와인드 된 기억 속의 실체는 전혀 다른 기록들로 가득 차 있다.

작가가 된 희진에게 진신을 없다. 각자의 기억은 그 사람의 사적인 문학이고, 우리가 아는 자신의 삶은 실제 우리가 산 삶과는 다르며 이제까지 우리 스스로에게 들려준 이야기에 지나지 않았다. 그러나 ‘나’에게 기억은 인생이란 집의 재건축에 지나지 않는 것이 아니다. 서로의 기억은 같은 시간과 공간을 공유함에도 한쪽에서는 해체와 미화를 한쪽에서는 압축과 왜곡을 동시하고 있다. 우리의 기억은 이기적이다. 자신의 과거는 해체되고 상대의 과거는 압축된다. 동시에 자신의 과거는 미화되고 상대의 과거는 왜곡된다.
기억 변형의 산물은 희진의 소설 《지금은 없는 공주들을 위하여》가 되어 현재의 ‘나’에게 닿았고 빛의 과거는 수많은 기억들을 해체하며 희진의 소설을 부정한다.

스무 살, 모든 것이 완전히 새롭게 시작되는 나이이며, 또한 모든 것이 낯설 수밖에 없는 나이이기도 하다. 유경과 희진 그리고 322호와 417호의 룸메이트 모두 낯섬의 현장 속에서 저마다 다른 시선을 공유한 채, 몸은 성숙하고 마음은 미숙한 시절을 보낸다. 시간이 흘러 그들의 빛이 과거가 되었을 때, 기억의 편린은 진실과 허구 사이를 헤맨다. 여대 기숙사에서 벌어진 사건들의 조각은 ‘나’의 기억의 실체와 희진의 소설 속 기록으로 갈려진다.

은희경 작가는 글을 압축하는 힘을 지니고 있다. 여성 중심의 두터운 서사 안에는 유경의 기억과 희진의 기록이 교차한다. 같은 이야기를 양 갈래로 나누고 압축한 『빛의 과거』는 개인의 과거를 시대와 정치, 문화로 자연스레 녹인다. 허구 속에서 실제를 추출하지만 비판의 칼자루는 영리하게 독자의 몫으로 넘긴다.

나는 70년대가 아닌 80년대를 살아왔지만 두 시절은 뚜렷한 차이를 보이지 않는다. 거의 비슷한 분위기의 내 어린 시절이 떠올랐고 한편 화자의 현재 시점인 2017년의 유경을 보며 시대와 정치, 문화의 극명한 차이와 더불어, 지금의 나에게 도달한 ‘빛의 과거’를 만난다. 지난 시절의 내가 지금의 나에게 안부를 묻는다.



#빛의과거 #은희경 #문학과지성사 #새의선물 #태연한인생 #장편소설 #한국문학 #문학 #소설 #베스트셀러 #서평 #독후감 #책리뷰 #책소개 #북리뷰 #책추천 #독서 #독서스타그램 #독서그램 #북스타그램 #책 #책스타그램 #책탑 #신간 #소설추천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빛의 과거
은희경 지음 / 문학과지성사 / 2019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리암의서가] [#하루한권]
3083 은희경 『빛의 과거』 : 문학과지성사

시내버스에서 라디오방송을 통해 우연히 듣게 된 목소리는 다름 아닌 희진의 목소리였다. 희진은 인터뷰 중에 ‘소설이란 자기 인생이라는 집을 부수어 그 벽돌로 다른 새로운 집을 짓는 일’이라는 외국 작가의 말을 인용한 뒤 그러나 옛 친구들이 자기 소설을 읽지 않기를 바란다고 농담했다.

유경(화자인 ‘나’)에게 희진은 가장 친한 친구가 아닌 것과는 상관없이 가장 오래된 친구이다. 둘은 밀착되지도, 그렇다고 분리되지도 못한 채 오랜 세월을 함께 한다. 소설은 2017년 유경이 희진의 소설 《지금은 없는 공주들을 위하여》를 읽으며 시작된다.

1977년 모든 것이 낯설었던 대학 기숙사. 화자인 ‘나’를 비롯하여 322호와 417호의 일곱 룸메이트가 저마다의 사연으로 이야기를 채운다. 유경과 희진은 분명 같은 시간을 보내며 같은 공간을 지배하고 같은 사람들과 나누었다. 그러나 리와인드 된 기억 속의 실체는 전혀 다른 기록들로 가득 차 있다.

작가가 된 희진에게 진신을 없다. 각자의 기억은 그 사람의 사적인 문학이고, 우리가 아는 자신의 삶은 실제 우리가 산 삶과는 다르며 이제까지 우리 스스로에게 들려준 이야기에 지나지 않았다. 그러나 ‘나’에게 기억은 인생이란 집의 재건축에 지나지 않는 것이 아니다. 서로의 기억은 같은 시간과 공간을 공유함에도 한쪽에서는 해체와 미화를 한쪽에서는 압축과 왜곡을 동시하고 있다. 우리의 기억은 이기적이다. 자신의 과거는 해체되고 상대의 과거는 압축된다. 동시에 자신의 과거는 미화되고 상대의 과거는 왜곡된다.
기억 변형의 산물은 희진의 소설 《지금은 없는 공주들을 위하여》가 되어 현재의 ‘나’에게 닿았고 빛의 과거는 수많은 기억들을 해체하며 희진의 소설을 부정한다.

스무 살, 모든 것이 완전히 새롭게 시작되는 나이이며, 또한 모든 것이 낯설 수밖에 없는 나이이기도 하다. 유경과 희진 그리고 322호와 417호의 룸메이트 모두 낯섬의 현장 속에서 저마다 다른 시선을 공유한 채, 몸은 성숙하고 마음은 미숙한 시절을 보낸다. 시간이 흘러 그들의 빛이 과거가 되었을 때, 기억의 편린은 진실과 허구 사이를 헤맨다. 여대 기숙사에서 벌어진 사건들의 조각은 ‘나’의 기억의 실체와 희진의 소설 속 기록으로 갈려진다.

은희경 작가는 글을 압축하는 힘을 지니고 있다. 여성 중심의 두터운 서사 안에는 유경의 기억과 희진의 기록이 교차한다. 같은 이야기를 양 갈래로 나누고 압축한 『빛의 과거』는 개인의 과거를 시대와 정치, 문화로 자연스레 녹인다. 허구 속에서 실제를 추출하지만 비판의 칼자루는 영리하게 독자의 몫으로 넘긴다.

나는 70년대가 아닌 80년대를 살아왔지만 두 시절은 뚜렷한 차이를 보이지 않는다. 거의 비슷한 분위기의 내 어린 시절이 떠올랐고 한편 화자의 현재 시점인 2017년의 유경을 보며 시대와 정치, 문화의 극명한 차이와 더불어, 지금의 나에게 도달한 ‘빛의 과거’를 만난다. 지난 시절의 내가 지금의 나에게 안부를 묻는다.



#빛의과거 #은희경 #문학과지성사 #새의선물 #태연한인생 #장편소설 #한국문학 #문학 #소설 #베스트셀러 #서평 #독후감 #책리뷰 #책소개 #북리뷰 #책추천 #독서 #독서스타그램 #독서그램 #북스타그램 #책 #책스타그램 #책탑 #신간 #소설추천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1 | 2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